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1. 하루 리듬 지배하는 생체시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분비되지 않는다. 따라서 밤잠을 설치며 무리하게 공부하는 어린이들이 흔히 키가
작은
이유를 어느 정도 설명할 수 있다.세포의 활동을 자극하는 코티손 역시 대표적인 주기성 호르몬이다. 신장 옆에 달린 부신에서 분비되는 이 호르몬은 잠자는 동안 이른 새벽에 분비량이 증가해 아침 6-8시가 되면 ... ...
월척도 과학으로 낚는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그렇지 않다.보다 정확하게 구별하려면 아가미나 창자를 보면 된다. 주로 수중에 있는
작은
동식물성 플랑크톤을 먹는 떡붕어는 그것들을 걸러내기 위해 아가미속에 있는 새파(빨간 부위)의 수가 토종붕어에 비해 훨씬 많고 촘촘하다. 또 자기 몸의 5.7배에 달하는 긴 창자를 지닌 떡붕어의 배를 따 ... ...
억겁과 천재일우의 의미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수백만 인구로 생각할 수 있다. 현재 중국의 인구는 십수억을 헤아리지만 고대에는
작은
소국으로 나뉘어 있었고 인구도 훨씬 적었을 것이니 억조창생이라 해도 그리 많은 인구는 아니다. 만일 오늘날처럼 10의 4승 단위법으로 보면 억조는 수억(${10}^{8}$)-수조(${10}^{12}$)의 인구가 돼버리므로 수가 ... ...
공룡알에 숨겨진 비밀들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따라 자라고 조그만 나무들이 섬을 덮고 있었다. 발견된 오로드로미우스(Orodromeus)라는
작은
초식공룡 둥지에는 12개 내지 24개의 알들이 나선형으로 배열돼 있었다. 둥지에서 함께 발견된 식물의 잔해는 오로드로미우스가 알을 덮은 다음 썩게 함으로써 인큐베이터 같은 부화기술을 사용했음을 ... ...
단청의 전통색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편안하게 느끼는 색이 우리들의 색이된다. 그렇다고 우리 색만 좋다는 얘기는 아니다.
작은
공산품 하나에도 색깔의 조화를 배려하는 정신을 높이 사자는 말이다. 즉 단청 복원에서 수출품 색입히기 모두 우리의 색을 찾는 일부터 시작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 ...
왕가의 가족회의 세페우스자리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사이에 있다. 조랑말자리는 88개 별자리 가운데 남십자자리에 이어 하늘에서 두 번째로
작은
별자리로, 가장 넓은 바다뱀자리의 17분의 1에 지나지 않는다. 원래 신화와 함께 전해 내려온 오래된 다른 별자리들과 달리 기원전 127년 히파르쿠스가 새로 만든 별자리여서 연관된 신화가 없다. 전령의 신 ... ...
환경재앙 경고한 카슨의 '침묵의 봄'
과학동아
l
1999년 08호
1958년 1월 허킨스라는 여자가 보낸 한통의 편지 때문이었다. 그녀가 소중하게 생각하는
작은
세상에서 생명의 모습이 사라지고 있다는 슬픈 사연이었다. 카슨은 그녀의 이야기에 감동을 받아 살충제와 같은 화학물질이 어떻게 자연을 파괴하고 있는지 조사했다. 그 결과물이 ‘침묵의 봄’이다 ... ...
10대들의 고민 여드름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성기가 발육하는 것을 도와주는 주 호르몬이다. 남성 호르몬이라고 부르지만 여성에게도
작은
양이 분비된다.누구나 겪는 성인신고식안드로겐은 피부의 지방샘(피지선)에서 더 많은 피지가 만들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피지가 밖으로 배출되지 못하고 털구멍 내에 남아있으면 여드름의 주증상인 ... ...
탐구학습현장, 수영장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속에 늘 남아있는 공기 덕분에 물과 몸의 밀도는 비슷하기 때문이다. 물론 물보다 밀도가
작은
몸의 지방성분도 한몫 한다. 성인 남자의 경우 최대한 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양은 4.5L고, 보통 남아있는 공기량도 1.2-1.4L가 된다. 이것은 물 밀도의 8배나 되는 철로 만든 배가 물위에 뜰 수 있는 것과 같은 ... ...
원격수술로봇
과학동아
l
1999년 07호
능력도 뛰어나다. 또 슬레이브는 두 대의 크고
작은
로봇이 연결돼 있어 미세한 움직임은
작은
로봇이, 큰 움직임은 로봇팔이 맡는 협동작업이 가능한 구조로 이뤄져 움직임을 다양하게 조절할 수 있다.연구책임자인 권동수교수(기계공학과)는 실제로 수술은 못했지만 기술적인 것은 거의 ... ...
이전
664
665
666
667
668
669
670
671
67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