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별 태양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알아냈다. 화성까지의 거리를 이용해 카시니가 계산한 태양까지의 거리는 실제보다 약 7%
작은
값이었다.영국의 에드먼드 핼리는 금성이 태양면을 지날 때 유럽 각지의 천문대와 멀리 인도의 케이프타운에 관측단을 보내 태양까지의 정확한 거리를 구하고자 애썼다.오늘날에는 달과 화성의 표면에 ... ...
북극에서 온편지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전체 모습이 한눈에 들어왔고, 배 위에서 느낄 수 없었던 해빙의 기기묘묘한 굴곡이 마치
작은
산처럼 보였다. 해빙은 강렬하게 내리쬐는 햇빛에 계속 녹고 있었다. 해빙 웅덩이 근처에서는 눈 녹은 물방울 소리가 정적을 뚫고 내 귀를 자극했다. 해빙들 사이의 갈라진 틈에서 노출된 바닷물은 ... ...
생활속 의약품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그렇기 때문에 합성 의약품의 개발이 항상 성공적이지만은 않다.1950년대 말에 독일의
작은
제약회사였던 그뤼넨탈은 다이아제팜이나 바비탈과 구조가 매우 비슷한 물질을 합성한 후 ‘탈리도마이드’라고 이름지었다. 그뤼넨탈은 엄격한 임상시험을 거치지 않고 단순히 분자의 구조가 알려진 ... ...
4. 1천만년 후의 한반도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이음새는 흔히 화성암이나 변성암으로 용접돼 있다. 이 용접부는 덜 아문 상처와 같아서,
작은
충격에도 다시 떨어질 수 있다. 특히 4-5천만년 전에 있었던 태평양판의 운동 변화가 일본 주변부에 연약대를 만들었으며, 결국 2천3백만년 전 일본은 더이상 유라시아판에 붙어있지 못하고 태평양쪽으로 ... ...
2. 1백년 후 한국인 얼굴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경쟁을 통해 한가지 방향으로 발달하는 경향을 가진다. 예를 들어 코가 큰 사람과
작은
사람이 섞여 있는 경우 시간이 지날수록 집단의 구성원들은 어느 한쪽의 코를 가지는 형태로 진화한다. 한 계산에 따르면 집단의 12% 정도가 가진 유전형질은 3백년(약 10세대)이 지나면 사라진다고 한다. 1백명이 ... ...
꼬리 묶은 어머니와 아들
과학동아
l
1999년 10호
크고
작은
9개의 은하를 볼 수 있다. 별자리 중앙 아래에는 우리 국부은하군의 구성원인
작은
은하 하나와 몇 개의 구상성단으로 이루어진 공 모양의 화로은하계가 있다.10월의 천문현상이달은 찬란히 빛나는 행성들로 가을 밤하늘이 밝아질 것 같다. 가장 시선을 끄는 것은 목성과 토성이다. 목성은 ... ...
태양계의
작은
화석 소행성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궤도 중간에 있는 소행성대에 몰려있다. 태양으로부터의 거리는 2.3-3.3AU 사이이며 크고
작은
소행성이 커다란 띠를 이루며 행성처럼 일정한 궤도를 따라 태양을 중심으로 공전하고 있다.소행성대에는 많은 소행성이 흩어져 있지만 생각보다 빽빽하게 모여 있는 것은 아니다. 지름이 1㎞ 정도 되는 ... ...
2. 태풍도 엘니뇨 탄다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소멸하기도 하고 조금씩 성장해 아기 태풍이 되기도 한다. 열대지방에서 만들어진
작은
소용돌이는 하루 3백-5백km씩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인다. 바다를 지나면서 수증기가 충분히 공급되고 지구 자전에 의한 전향력으로 소용돌이의 크기와 강도가 커지면 이들은 열대저기압으로 발달하게 된다 ... ...
우주도 약육강식의 세계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내에 있는 4-8%의 별들이 주변 행성들을 흡수한 특징을 나타낸다고 한다. 지금까지 별이
작은
행성들을 끌어당기는 것은 이해되고 있었지만, 이번 관측으로 목성 같은 큰 행성도 별에 먹힐 수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별이 다른 천체를 흡수했다는 증거는 밝은 섬광이나 빠른 회전, 그리고 행성에서 ... ...
외줄 타는 사람은 왜 긴 막대를 가지고 있을까?
과학동아
l
1999년 09호
힘든 경우를 가리킨다. 예를 들어 같은 속도로 달리고 있을 때 질량이 큰 차가
작은
차에 비해 관성이 크기 때문에 속도변화는 그만큼 어렵다. 이렇게 직선 운동일 경우와 같이 회전하는 물체도 회전상태가 변하는 것에 저항하려는 성질이 있다. 이것이 바로 회전 관성이다. 즉 회전하는 물체는 계속 ... ...
이전
662
663
664
665
666
667
668
669
67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