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통민속놀이로 배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큰길가에서 가마니나 멍석을 깔고 높이 1m 정도로 던지면서 즐겼다.이에 비해 밤윷은
작은
밤알 크기로(길이 1.8cm, 두께 1cm) 만들어졌다. 밤윷은 주로 경상도 지방에서 사용하는데, 통상 간장종지 같은 것에 넣어 손바닥으로 덮어 쥐고 흔든 다음 속에 든 밤윷만 땅바닥에 뿌려 던진다.3 얼음판 위의 ... ...
5. 신소재 백화점 우주복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된 압력장갑 위에 작업용 장갑을 덧끼고 사용한다.우주복 무게 48kg장갑을 낀 후에는
작은
유성체나 자외선과 적외선으로부터 보호하는 기능을 갖는 헬멧을 착용한다. 헬멧은 강한 폴리카보네이트로 만든다. 태양빛으로부터 눈을 보호하기 위해 금으로 도금된 창이 헬멧의 앞쪽에 붙어 있다. ... ...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 지금도 하늘을 날고 있을뿐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좌우로 움직이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그러나 새와 가까운 관계에 있는 날렵한
작은
육식공룡의 경우 꼬리뼈가 줄어들면서 꼬리의 크기는 작아졌다. 뒷다리를 뒤로 당기는데 꼬리 근육을 사용하는 대신 새처럼 대퇴골에 슬건(膝腱)을 발달시켰다.한 예로 데이노니쿠스의 꼬리는 빳빳하게 굳어진 ... ...
1만원권 지폐에 새겨진 자동 물시계 자격루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떨어뜨린다. 이 쇠구슬은 정해진 통로를 타고 굴러 자동시보장치 안으로 들어간다.
작은
쇠구슬은 시보장치 안에서 도미노처럼 다시 다른 구동장치를 건드려 더 큰 쇠구슬을 떨어뜨린다. 이제 커다란 쇠구슬의 무게로 기어장치를 돌려서 그 시간에 해당되는 인형이 올라와 북을 치고 징을 치게 된다. ... ...
냄새와의 전쟁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먹는 하마’도 숯의 일종인 활성탄을 이용한 것이다. 활성탄의 구멍은 숯에 비해 훨씬
작은
약 20Å정도다. 냄새 분자가 활성탄의 구멍에 모두 흡착되면 더 이상 흡착을 못하므로 효과가 없다. 냄새 탈취제로 쓰인 활성탄을 정기적으로 바꿔줘야 하는 이유다. 따라서 숯을 냉장고에 넣어두었다면 가끔 ... ...
과학마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달라붙는 병유리병이 손바닥에서 떨어지지 않고 붙어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왜그럴까?
작은
주스병 크기의 유리병이 다루기 편하다. 갑자기 뜨거운 물을 부으면 유리병이 깨질 수도 있으므로 미지근한 물을 부어 미리 데워두는 것이 좋다. 끓기 직전의 물을 사용하면 되고, 손바닥으로 누르는 시간은 ... ...
1. 개성을 뽐내는 똑똑한 재료들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곳은 항공기, 잠수함 등의 파이프 이음이다. 연결하려는 파이프의 바깥쪽 지름보다
작은
지름의 파이프를 만든다. 파이프들을 잇기 전에 저온에서 파이프의 양끝을 확대해 연결시킨다. 온도가 올라가면서 원래 크기로 돌아오면서 강하게 연결된다.형상기억합금은 기억력이 좋을 뿐 아니라 탄성 ... ...
4. 인간을 닮으려는 바이오 소재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커진다는 말이다. 예를 들어 백혈구는 덩치가 큰 중합체에서는 반응하지 않지만
작은
단량체는 이물질로 인식해 먹어버리는 것과 같은 반응을 보인다.예전에는 협심증 환자의 경우 다리의 정맥을 떼어 심장의 관상동맥에 이식했다. 하지만 이제는 인공적으로 만든 혈관이 그 자리를 대신한다. ... ...
만약 마찰이 없다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때문이다. 바퀴가 구르는 표면은 바퀴 밑에서 움푹 들어가 바퀴가 땅에 닫는 지점은 마치
작은
화산의 분화구처럼 된다. 이러한 현상은 고무나 당구대 바닥의 천과 같은 매우 부드러운 표면 위에 딱딱한 공이 지나갈 때 관찰할 수 있다. 이런 경우 바퀴 앞에 표면의 일부분이 쌓인다. 바퀴 앞부분이 ... ...
2백살을 맞은 사나이(The Bicenntenial Man)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의해서도 진지하게 검토될 정도다. 물론 3원칙을 준수할 수 있는 고도의 전자두뇌 제
작은
아직 요원한 일이지만, 향후 로봇공학자들이 기준으로 삼을 수 있는 원칙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아시모프의 작업은 'SF의 사회적 예측력'을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아시모프의 로봇소설 중 백미는 단연 ' ... ...
이전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