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시인류는 흰개미를 먹었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1백만년 전 원시인류가 도구를 이용해 흰개미를 잡아먹고 살았다는 연구 결과가
지난
1월 16일자 영국 BBC 방송에 보도됐다. 남아프리카와 프랑스 공동연구팀은 인간과 유사한 종인 오스트랄로피테쿠스 로버스투스가 땅 속의 흰개미를 잡아먹기 위해 길고 날카로운 뼈를 도구로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 ...
2. 쓰레기로 몸살 앓는 우주공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무궁화 1호가 수명을 다하면서 무궁화 3호가 발사돼 바로 그 자리로 들어가게 됐다.
지난
해 6월 미국항공우주국(NASA)에서는 자세제어장치가 고장난 15.6t짜리대형위성을 태평양에 수장시키기도 했다. 주인공은 콤프턴 감마선 천문위성. 이 위성의 경우 3개의 자세제어장치 중 하나가 고장을 일으켜 ... ...
왜 고온에서 초전도체를 얻으려고 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이용되고 있다.컴퓨터 소자에서도 초전도체가 사용될 전망이다. 반도체 기술은
지난
30여년 동안 기하급수적인 속도로 발전돼 왔다. 그리고 꾸준히 개선돼 앞으로 15년 후에는 현재보다 약 1천배의 집적도를 갖게 될 전망이다.하지만 집적도에서 한계를 드러낼 것으로 보인다. 반도체 소자의 높은 ... ...
흉터 없애는 새로운 반창고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않은 흉터 때문에 고민해본 적은 없는가. 흉터는
지난
추억을 떠올리게 하는 단서일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사람들에게는 용어 그대로 보기 싫은 흔적이다. 얼굴처럼 중요한 부분에 있는 흉터는 사람을 더욱 괴롭게 만들고, 심지어 성향을 바꾸기까지 한다.그러나 이제 더이상 흉터 때문에 고민할 ... ...
운석에서 박테리아 합성물질 나와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발견했다. 관처럼 생긴 이 화석의 크기는 사람 머리카락 굵기의 1백분의 1로 매우 작다.
지난
1996년 연구팀은 화성 운석에서 화석화된 박테리아의 흔적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 그러나 박테리아의 화석으로 주장된 포도 모양의 탄소화합물 흔적이 지구상에서 덧붙여졌을 가능성이 제기되면서 진위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4시 49.5분에 지구 본그림자 속에 완전히 잠긴다. 개기식은 1시간 2분간 계속되는데 이것은
지난
7월 개기식에 비해서는 약 45분이 짧은 시간이다. 5시 21분에 달은 지구그림자 중심에 가장 가깝다. 이때 달은 서쪽하늘 쌍둥이자리에 위치하는데, 시골에서는 개기식 중에 주변의 겨울철별자리와 ... ...
데스크탑에 강력한 도전장 내민 휴대용 컴퓨터 포스트 PC열풍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환경에서 이제 컴퓨터가 사람에게 다가오는 환경인 포스트PC 시대가 도래하고 있다.
지난
컴덱스 2000년에서 보여줬던 무선모바일시스템은 항상 휴대하고 다니면서 인터넷은 물론, 다양한 컴퓨터 기능을 활용할 수 있는 신개념의 PC인 포스트PC에 대한 기대를 증폭시켰다. 무선인터넷 기능이 보강된 ... ...
1. 차세대 컴퓨터 주역 쟁탈전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어떤 형태로든 사용자에게 항상 컴퓨터를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해줄 전망이다.
지난
1970년대부터 약 30년 동안 사람들의 생활과 의식을 바꿀 정도로 혁명적인 발전을 거듭해오던 컴퓨터 분야가 이제 다시 한번 질적인 도약을 맞이하고 있다. 현재까지의 컴퓨터 분야가 데스크탑 중심의 ... ...
구장산술 주비산경 완역한, 사회학자 차종천교수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도대체 비결이 뭐예요?”“저희 재수하는 아들도 좀 봐주시면 안되나요?”
지난
1996년 말 당시 고3 대입수험생이었던 아들 세웅이 수능을 마쳤을 때 성균관대 차종천교수(사회학과)가 주변 사람들에게 들었던 놀라움과 부러움의 소리였다. 차교수의 말을 빌자면, 자신은 사회조사를 통해서 얻어진 ... ...
문단의 귀재 이윤기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푸코의 진자’를 읽은 사람이라면 이윤기를 ‘당대 최고의 번역가’로 기억한다. 그가
지난
20여년 간 내놓은 번역서는 무려 2백여권에 이른다.그런데 국내에서 발간된 신화 관련 번역서나 저서의 대부분에 이윤기라는 이름이 붙어있다는 사실을 아는 독자도 적지 않을 것이다. 다소 어색한 ... ...
이전
654
655
656
657
658
659
660
661
6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