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의미한다.그러나 단순히 기존보다 더 작게 만든다는 데만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난 20년을 이끌어온 마이크로기술은 고전역학이 지배하는 세상이다. 그러나 나노기술이 여는 세계는 양자역학이 지배한다. 따라서 나노물질은 이전까지 보여주지 않았던 새로운 특징들을 보여준다. 인간에게 ...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이들은 다이나믹하게 바뀌는 생체분자들의 구조를 실시간으로 재현시킬 수는 없다. 지난 10여년 동안 발전해온, 실시간으로 생체분자의 운동과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나노기술이 생물학의 문제를 푸는데 이용되고 있다. 과연 어떤 것들이 있을까.빛으로 만들어진 젓가락으로 줄다리기사람들이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1 인간게놈프로젝트 성공시킨 주인공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인플루엔자(Haemophilus influenzae)라는 박테리아 게놈 해독에 착수했다. 그로부터 6년이 지난 1998년 5월 벤터박사는 민간 바이오벤처 셀레라를 설립했다.셀레라를 설립하면서 벤터박사는 다국적팀과는 전혀 다른 연구방법을 제시했다. 그는 유전자지도 없이 염기서열만 분석하는 ‘샷건’ 방식을 통해 200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4 다국적팀과 셀레라의 팽팽한 '신경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연구논문을 사이언스의 경쟁지인 네이처에만 보내기로 결정하는 일이 최선이었다. 지난 2월 15일과 16일 네이처와 사이언스의 논문발표는 이런 ‘신경전’의 분위기 아래에서 이뤄진 일이었다. 2월 12일의 공동 기자회견에서도 다국적팀과 셀레라는 발표시간을 서로 길게 갖겠다고 실랑이를 벌였다고 ... ...
- 광우병'은 소만 걸리는 병인가과학동아 l2001년 03호
- 한창 유행하던 시기에 영국에서 동물성 사료를, 1996년 이전까지 유럽산 쇠고기를, 그리고 지난해 말까지 소의 부산물 등을 수입했다. 하지만 농림부는 1996년부터 단계적으로 유럽산 쇠고기와 소의 부산물에 대해 수입 금지 조치를 내렸고 1998년부터 작년까지 프랑스, 독일 등에서 수입한 소 골분과 ... ...
- '사이빌'에 등장한 16개 인격체 가진 여성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서점 아마존 통계에 따르면, 다중인격에 관한 서적은 이미 1백20권을 넘었으며, 대부분은 지난 10년 동안 발간된 것들이라고 한다.다중인격 장애의 발병률이 명확하지 않은 이유는 진단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영화에 나오는 인물들은 매우 심한 경우들이지만, 실제로 대부분의 다중인격 장애 ... ...
-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과학동아 l2001년 03호
- 10배나 많은 자료였다.이번 착륙 미션은 원래 계획에 없던 것이었다. 에로스 탐사계획은 지난 2월 14일로 마감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어차피 끝날 계획이고, 그동안 충분한 자료를 얻었기 때문에 도전적으로 나온 아이디어가 바로 표면에 착륙하자는 것이었다.물론 당초 생각은 착륙이 첫번째 목적이 ... ...
- 반달과 벌이는 별의 숨바꼭질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조금 넘어선 상태다.성식이 일어나는 시간은 달이 중천 높이 떠오른 한밤중이 조금 지난 때다. 새벽 1시 21분 쌍둥이자리 델타별은 달의 어두운 부분으로 잠입하기 시작해 그 모습이 사라진다. 새벽 2시 16분에는 반대편 방향인 달의 밝은 방향으로 나타난다. 달의 중앙 부근을 지나가므로 가려지는 ... ...
- 쌍안경으로 즐기는 달나라 여행과학동아 l2001년 03호
- 된 후 시간을 하루 단위로 나타낸 것을 월령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삭으로부터 3일이 지난 다음 하늘에 보이는 달을 월령 3일의 달이라고 한다. 이때는 예쁜 초승달의 모습을 한다. 월령 7일쯤이면 상현 반달에 이른다.삭으로부터 다시 삭까지를 1삭망월이라고 부르는데, 이 시간은 평균 29일 12시간 4 ...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과학동아 l2001년 03호
- 신기원을 이룩하기까지 지나온 길은 그리 짧지 않다. 현재 인간게놈지도를 완성하기까지 지난 역사는 크게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번째 시기는 멘델이 유전법칙을 발견하고 유전학에 대한 기초가 확립되는 시기다. 두번째는 유전물질로 생각되는 DNA의 구조를 밝히기 위해 노력하던 시기로 1953년 ... ...
이전65165265365465565665765865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