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파멸로 치닫는 투명인간의 욕망 할로우 맨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한번쯤 꿈꿔봤던 투명인간 이야기를 화려한 특수효과와 함께 실감나게 그려낸 작품이다.
지난
5월 11일 오후 6시 30분에 시작한 이번 방담회에는‘정재승 박사의 사이코 시네마’로 잘 알려진 고려대 물리학과 정재승 교수가 참석했다. 정교수가 얘기하는 투명인간의 가능성, 패널들이 주고받는 영화 ... ...
뜨거운 지구가 펭귄을 죽였다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특히 황제펭귄들은 1970년대 말 고온 기간 동안 크게 타격을 받았다.이와 같은 사실은
지난
10일자 영국 과학저널 네이처에 실렸다. 이번 연구논문의 공동저자 중 한사람인 프랑스의 앙리 웨이메르스키히 박사는 다행히 현재 황제펭귄의 수가 안정화됐다고 언급하면서도 “하지만 지구온난화가 ... ...
2백60억원짜리 최초 민간우주여행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미르호로 왕복여행을 원했던 것.하지만 그의 우주여행 꿈은 옛소련이 붕괴돼 미뤄졌고,
지난
해 미르호가 남태평양에 수장되면서는 아예 접어야 하는 것처럼 보였다. 그의 꿈이 가시화되기 시작한 것은 러시아가 여행지를 국제우주정거장(ISS)으로 선회하면서부터다. 물론 우여곡절이 있었다.특히 ... ...
13년만에 성큼 다가온 붉은 행성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달 크기의 1백20분의 1에 불과하다. 올해는 시직경이 최대 20.8″에 이른다. 이 크기는
지난
1993년에 비하면 약 50%나 더 커진 것이다. 지금부터 2년 뒤에 맞이하는 대접근 때인 2003년에는 시직경이 25.1″이나 돼 1993년 접근 때에 비해 거의 두배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현재 화성은 전갈자리에 위치해 ... ...
다이어트의 새로운 돌풍 비만약
과학동아
l
2001년 06호
목표 중 하나는 인체가 음식물로부터 칼로리를 흡수하지 못하도록 하는 것이다. 실제로
지난
1월부터 국내에 시판되기 시작한 ‘제니칼’이란 약이 그 대표적 예다. 제니칼은 한때 만능 다이어트 약으로 오인돼 날씬한 몸매를 유지하려는 여성들이 앞다투어 구입대열에 나서는 등 이상열풍을 ... ...
고대문헌 판독에 우주기술 쓰인다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광영상 기술을 사용할 경우 그을린 고대문헌을 깨끗하게 바꿔 2천년 전의 기록을 마치
지난
주에 쓰여진 것처럼 읽을 수 있다.
지난
4월 19일 미국 브리그햄영대 연구소의 스티븐 부라스 박사가 미중서부와 남부의 고전협회 정기모임에서 이런 신기술을 성공적으로 시현해 참석자들을 열광시켰다. ... ...
외부 유전자를 삽입한 복제 돼지 탄생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때문에 인간의 부족한 장기를 대신하는 일은 지금까지 공상에 불과했다.PPL사 연구팀은
지난
해 돼지 피부세포의 핵을 뽑아내 핵이 제거된 돼지의 난자에 넣어주는 방법으로 복제돼지 밀리를 탄생시켰다. 그런데 이번에는 특정 유전표지를 삽입한 핵을 난자에 넣어줘, 외부 유전자가 삽입된 ... ...
바닷물 온도 상승 인간 때문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지난
50년간 해양의 평균 온도가 0.06℃ 상승한 원인이 인간이라는 증거가 컴퓨터 모델을 통해 제시됐다. 미국의 두 연구팀은 이와 같은 연구결과를 4월 13일자 사이언스에 동시에 발표했다.지구 표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해양은 상당한 양의 열을 보유하기 때문에 기후 모델에서 중요하다. 그러나 ... ...
발빠른 수성 5월 22일 관측 최적기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보였으며, 그 무렵 흑점도 크기면에서나 개수면에서 극대기를 맞았다.이로부터 11년이
지난
2000년에 다시 태양의 활동은 극대기를 맞았다. 동시에 우리는 또다시 수많은 흑점을 볼 수 있게 됐다. 2000년을 전후해 태양의 표면에서 맨눈으로도 볼 수 있을 만큼 큰 거대흑점을 몇번 볼 수 있었다. 1999년 1 ... ...
동물도 생각할까!?
과학동아
l
2001년 05호
던져 먹이를 낚아채기도 하고,장대비를 피하기 위해 나뭇잎으로 피신처를 만들기도 한다.
지난
3월 15일 열린‘영화보다 재미있는 극장식 과학강연’(동아사이언스 주관)서울대 최재천 교수의 강연을 통해, 생각하는 동물의 세계를 살펴보자.동물도 과연 생각할 수 있을까. 아니 생각은 차치하더라도 ... ...
이전
647
648
649
650
651
652
653
654
6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