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최초 소행성 착륙 성공 그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10배나 많은 자료였다.이번 착륙 미션은 원래 계획에 없던 것이었다. 에로스 탐사계획은
지난
2월 14일로 마감할 예정이었다. 그런데 어차피 끝날 계획이고, 그동안 충분한 자료를 얻었기 때문에 도전적으로 나온 아이디어가 바로 표면에 착륙하자는 것이었다.물론 당초 생각은 착륙이 첫번째 목적이 ... ...
PART 1. 백과사전 24권을 핀 머리에 써넣는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의미한다.그러나 단순히 기존보다 더 작게 만든다는 데만 의미가 있는 것은 아니다.
지난
20년을 이끌어온 마이크로기술은 고전역학이 지배하는 세상이다. 그러나 나노기술이 여는 세계는 양자역학이 지배한다. 따라서 나노물질은 이전까지 보여주지 않았던 새로운 특징들을 보여준다. 인간에게 ... ...
PART 4. 프로펠러 달고 몸 속 누비는 생체기계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이들은 다이나믹하게 바뀌는 생체분자들의 구조를 실시간으로 재현시킬 수는 없다.
지난
10여년 동안 발전해온, 실시간으로 생체분자의 운동과 기능을 측정할 수 있는 나노기술이 생물학의 문제를 푸는데 이용되고 있다. 과연 어떤 것들이 있을까.빛으로 만들어진 젓가락으로 줄다리기사람들이 ... ...
한국인 과학자 게놈프로젝트에 기여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부위를 찾아내 정상유전자를 주입하는 등의 치료법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지난
해 4월에 김교수는 서울대 교수들과 함께 생명공학 벤처회사인 팬제노믹스를 설립했으며 팬제노믹스는 현재 간경화 치료제를 개발중이다. 또한 인간게놈프로젝트를 지원하고 있는 미국 에너지부로부터 1천만 ... ...
Ⅱ. 본격적인 유전자 시대 개막 알린 영광의 주역들 : 2 수도원에 뿌려진 작은 씨앗에서 피어난 신기원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신기원을 이룩하기까지 지나온 길은 그리 짧지 않다. 현재 인간게놈지도를 완성하기까지
지난
역사는 크게 4시기로 구분할 수 있다. 첫번째 시기는 멘델이 유전법칙을 발견하고 유전학에 대한 기초가 확립되는 시기다. 두번째는 유전물질로 생각되는 DNA의 구조를 밝히기 위해 노력하던 시기로 1953년 ... ...
Ⅲ 이제는 포스트게놈 시대다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그 의미를 밝힌 두페이지짜리 짤막한 논문을 ‘네이처’지에 실었다. 그로부터 48년이
지난
올해 같은 저널 2월 15일자에는 전세계 20곳의 연구실에서 11년 간 공동연구를 통해 밝혀낸 인간게놈에 대한 연구 결과가 62페이지에 걸쳐 소개됐다. 연구자들은 자신들의 작업이 왓슨과 크릭의 업적에는 못 ... ...
킥보드의 물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따르면, 최근 킥보드를 찾는 소비자가 거의 없다고 한다.한편 한국소비자보호원은
지난
해 11월 28일 위급한 상황에서 킥보드의 제동효과가 거의 없다는 분석결과를 발표했다. 체중 60kg인 사람이 경사 5도인 내리막길에서 킥보드를 타고 5m가량 내려온 뒤 제동을 걸면 제동거리가 2.1-2.8m, 8도의 급경사 ... ...
과학으로 풀어본 희로애락 - 웃음
과학동아
l
2001년 03호
갑작스런 웃음보를 터뜨렸다.웃음이 신체를 어떻게 변화시키는지에 대한 연구도 있다.
지난
1996년 미국 캘리포니아주 로마린다 의대 리 버크와 스탠리 탠 교수팀은 성인 60명을 대상으로 정상상태의 혈액과 1시간 동안 코미디 프로그램을 시청하게 한 후의 혈액을 비교했다.그 결과 세균에 저항할 수 ... ...
무선 통신망의 정보전송량 6배 늘리는 방법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지난
1월 18일 네이처는 하버드 대학과 벨연구소의 과학자들이 공동으로 무선통신망의 정보전송용량을 6배 늘리는 방법을 발견했다고 발표했다.이 획기적인 방법은 도심에서 전파 신호가 고층빌딩으로 인해 산란이 일어난다는 점을 이용한다. 전파 산란은 도심 빌딩 숲 속에서 통화불통지역이 ... ...
유전자조작 원숭이 '앤디' 탄생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크게 공헌할 수 있다는 말이다.한편 앤디의 유전자조작실험을 주도한 셰튼 박사는
지난
해 수정란 분할을 통해 복제원숭이 ‘테트라’를 탄생시킨 사람이기도 하다. 따라서 셰튼 박사는 유전자조작 원숭이를 복제와 연관지을 가능성이 크다. 유전자조작은 성공가능성이 매우 낮지만, 복제는 ... ...
이전
652
653
654
655
656
657
658
659
6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