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옛일
과거사
기왕지사
jinan
d라이브러리
"
지난
"(으)로 총 9,141건 검색되었습니다.
20세기 대우주탐험가 에드윈 허블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천문학계에서는 아인슈타인을 능가한다고 평가받는 그의 발자취를 뒤따라가보자.
지난
20세기 초만 해도 우주공간에 우리은하 말고 또다른 은하가 있을까 하는 문제는 천문학자들 사이에서도 큰 논쟁거리였다. 현재 가장 뛰어난 성능의 망원경으로는 북두칠성의 국자 안에서만도 수백만개의 은하를 ... ...
복제인간 탄생 초읽기에 들어가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연구는 미국 네바다주의 한 실험실에서 비밀리에 이뤄질 예정이다. 복제될 대상은
지난
2월 사망한 생후 10개월 된 여자아이로, 아이의 부모는 복제를 위해 라엘리언에 50만달러(약 5억5천만원)의 거금을 기부했다.복제인간에 사용되는 기술은 멸종동물을 복제하는 기술과 똑같은 것으로 인간의 ... ...
공룔출현 이전 직립보행 파충류 화석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공룡이 출현하기 이전에 두발로 걸었던 파충류가 있었음을 보여주는 화석이 발견됐다고
지난
11월 2일 보도했다. 캐나다의 토론토대 로버트 라이즈 교수가 이끄는 국제연구팀이 독일 채석장에서 발굴한 이 화석은 2억9천만년 전의 ‘에우디바무스 쿠르소리스’라는 원시파충류의 것이다.과학자들에 ... ...
12억원 상금 걸린 수학문제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돈을 주나’ 하는 생각도 들지만 ‘얼마나 골치아픈 문제길래’ 라는 생각이 더 앞선다.
지난
5월 24일 파리에서 미국 매사추세츠주 캠브리지의 클레이 수학연구소 주최로 열린 ‘새천년 모임’에서는 수학의 7대 난제(새천년 수학문제)를 제시하면서 1문제당 1백만달러를 상금으로 걸었다.오는 12월 ... ...
② 국내 연구진 벼·배추·고추에 주력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있다.고추의 게놈연구는 서울대 SRC분자유전육종센터(소장 김병동교수)를 중심으로
지난
1995년에 시작돼 활발하게 진행중이다.현재 3백개 이상의 표지를 가지는 유전자지도가 제작됐다.여기에는 제한효소를 이용해 자르거나,증폭 그리고 유전자길이를 변환한 다양한 첨단 표지들이 사용됐다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같은 방향에 놓여 나란히 빛나는 모습은 자주 볼 수 있는 현상이 아니다. 이번 겨울이
지난
후 다시 이와 같은 모습을 보려면 2059년 11월까지 기다려야 한다.갈릴레이위성의 숨바꼭질태양계 가장 큰 행성인 목성은 지름이 지구보다 11배나 더 크다. 목성은 크기도 거대하지만 표면에서 햇빛을 잘 ... ...
냄새의 신비
과학동아
l
2000년 12호
위치한 한쌍의 움푹 팬 곳으로 양서류, 파충류, 대부분의 포유류에서 발견되는 기관이다.
지난
1994년 미국 콜럼비아대의 리처드 액셀 연구팀은 쥐의 서골비 기관에 있는 페로몬 수용체 유전자를 발견했으며, 이 연구가 인간의 서골비 기관에도 페로몬 수용체가 있음을 강력하게 시사한다고 주장했다. ... ...
외계인 피랍체험의 진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지난
중세 때의 과학 패러다임보다 더 진실에 가깝다는 확신을 전제로 한 것이다.
지난
날 종교적 환상이라는 것이 매우 생생하고 사실적으로 보이는 환각이었다고 정의할 수 있다면 말이다.이런 환각들은 종종 텔레파시로 의사소통을 하는 하늘로부터 날아온 이상한 존재들이 한밤중 벽을 뚫고 ... ...
사랑의 신 에로스 베일 벗다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각종 관측장비로 측정한 자료를 전송해왔다. 약 1년으로 계획된 임무기간 중 절반 이상
지난
시점에서 그동안 밝혀진 에로스의 진면목을 살펴보자.소행성 에로스는 지구근접 소행성 중 두번째로 크고, 가장 먼저 발견돼 이제까지 지상관측을 통해 그 모양과 크기가 어느 정도 알려져 왔다. 그러나 ... ...
1백10억년 전 폭발한 천체 발견
과학동아
l
2000년 11호
빛을 내고는 약해지는데 어떤 것은 몇번에 걸쳐 산발적인 폭발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지난
10월 19일 유럽우주국에서는 율리시즈를 비롯한 4대의 우주탐사선이 힘을 합쳐 이런 감마선 폭발천체 중 가장 거리가 먼 것을 관측했다고 발표했다. ‘GRB 000131’이라는 이 감마선 폭발천체는 적색편이가 4.5로 ... ...
이전
657
658
659
660
661
662
663
664
6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