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스페셜
"
생물학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7.15
몽골 초원의 말들을 유심히 관찰했고 마침내 1879년 그 야생말을 발견한 것이다. 1881년
생물학
자 폴리아코프는 이 말의 학명을 발견자 프리제발스키를 기려 ‘에쿠스 프르제발스키(Equus przewalskii)’라고 명명했다. 그 뒤 이 말은 프리제발스키 말 또는 몽고야생말(Mongolian wild horse)로 불린다. ... ...
폐경기 생긴 건 젊은 여자만 좋아하는 남자들 때문?
동아사이언스
l
2013.07.08
별 차이가 없다(intial survival(짧은 점선), YF survival(▼이 있는 실선)). - 플로스 계산
생물학
제공 연구자들은 여성이 죽을 때까지 생식력을 갖고 있다는 초기 조건에서 출발했다. 그리고 남성들도 여성의 나이에 따른 선호도의 차이가 없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남성들이 젊은 여성들을 선호하게 ... ...
과학계의 미래는 과학계 스스로 만든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7.08
실험을 진행하는 이번 캠프는 초등 5~6학년을 대상으로 생활 속의 생명과학과 최신
생물학
을 소개한다. 접수는 6월 24일부터다. 출연연과 과학관도 캠프 문 활짝 열어 출연연 중에서는 항공우주연구원의 '대학생 항공우주 비전 캠프'가 눈에 띈다. 항공우주 분야의 진로 탐색과 현장탐방의 기회를 ... ...
[채널A] 1억년 된 공룡화석, 3D프린터로 부활…한국 ‘세계 최초’
동아사이언스
l
2013.07.06
본떠 복제하던 기존 방식보다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이는 효과가 있어 공룡을 포함한 고
생물학
연구에 더욱 활발히 쓰일 전망입니다. 채널A 뉴스 이현경입니다. (모바일에서 영상보기 : http://news.ichannela.com/economy/3/01/20130705/56314793/1 ... ...
닐스 보어는 어떻게 양자역학의 전설이 되었나
동아사이언스
l
2013.07.02
순간 깨달으면서 아데닌과 티민, 구아닌과 시토신이 짝을 이루는 DNA이중나선 구조가
생물학
적으로 필연임을 확신했다. 지금 생각하면 샤가프가 다 잡은 고치를 놓친 것처럼 보이지만, 설사 시간이 더 있었더라도 그가 자신의 데이터만으로 DNA이중나선을 떠올릴 수는 없었을 것이다. 1922년 ... ...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방해하면 생명체가 유지될 수 없기 때문이다. 화학자들은 열심히 화합물을 합성했고
생물학
자들은 이를 암 모델 동물에 적용해 약효와 부작용을 조사했다. 5년여에 걸쳐 만든 화합물 가운데 CGP-57148B라는 일련번호를 붙인 약물이 가장 효과가 좋았는데, 이 약물은 만성골수성백혈병을 일으키는 ... ...
‘인내’와 ‘상상력’이 바이오기업의 성공 키워드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벤처를 찾고 분석하며 투자를 진행해 함께 성장시키는 일이 그의 업무다. 대학 때
생물학
을 복수 전공한 김 박사는 텍사스대학에서 발생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이 때문에 단순히 벤처 분석과 기업 성장 노하우 뿐만 아니라 상당히 높은 수준의 바이오 지식을 자랑한다. 이런 배경 덕분에 그는 ... ...
[연구실탐방] ComSto 연구실 특명! error를 줄여라!
KAIST
l
2013.06.10
과학자들이 주시하고 있는 인간의 뇌는 세상에 존재하는 가장 효율적인 알고리즘을 가진
생물학
적 머신이라고 할 수 있다. 아직까지 과학자들이 완벽히 이해하지 못한 머신이기도 하다. 예를 들어서 굉장히 시끄러운 장소에서도 사람들은 늘상 같이 대화하던 가까운 사람들의 말은 잘 알아듣는다. ... ...
세포 공장 만드는 '바이오디자인'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6.07
만들 수 있도록 온도와 습도, 영양물질의 농도 등을 적당히 맞춰 주는 데 그쳤지만 합성
생물학
은 대장균의 내부를 완전히 뜯어고쳐 인슐린을 만드는 공장처럼 만들어 주는 것입니다." 바이오디자이너들이 가장 먼저 고안한 방법은 대장균의 유전자를 단순하게 만드는 것이었다. 수십억 년을 살아온 ... ...
자연에게서 배운 인간의 수강 이력
KOITA
l
2013.05.14
박물학이 출현했다. 이때 축적된 세계 각지의 자연 정보가 바탕이 되어 이후 지질학과
생물학
을 비롯한 과학 전반이 급속히 발전할 수 있었다. 지식이 축적되자 자연을 모방하는 기술도 크게 발전했다. 레오나르도의 사례에서 보듯, 인간은 자연을 훌륭하게 모사해내기는 했지만, 대부분은 ... ...
이전
60
61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