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스페셜
"
생물학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칼 우즈,
생물학
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입문할 때 과학적 감각을 유지할 수 있고 열린 마음과 호기심을 지닐 수 있답니다.
생물학
을 공부할 때는 역사적인 배경부터 시작하세요. 현재 트렌드의 바탕을 이해해야 그 한계도 알 수 있으니까요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유전자 염기서열을 해독했고 1976년 역시 처음으로 바이러스의 전체 게놈을 해독한 분자
생물학
의 개척자다. 1980년, 그는 독감 바이러스로 관심을 돌려 1965년 유행했던 독감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를 해독했다. 1968년에는 홍콩독감 대유행을 일으킨 바이러스의 헤마글루티닌 유전자도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젭슨의 와이오밍 화석 탐사대에 참가한 뒤 화석 탐사에 매료됐다. 1964년 예일대에서 고
생물학
박사과정을 시작한 젠킨스는 초기 포유류 화석에 흥미를 느꼈다. 1971년 하버드대 비교동물학박물관(MCZ)에 자리를 잡은 젠킨스는 정기적인 화석 탐사와 함께 근전도검사법 같은 기술을 써서 양서류와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그 뒤 학교로 돌아와 1951년 프린스턴대에서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았다. 그 뒤 브리튼은
생물학
으로 관심을 돌려 카네기연구소에서 생물리학을 연구했고 1971년 칼텍으로옮겼다. 물리학자의 관점으로 생명현상을 바라본 브리튼은 DNA 이중나선이 온도에 따라 풀리고 엮이는 과정을 분석해 게놈의 ... ...
2012년 하늘나라로 간 과학계의 별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레이더연구에 참여한 뒤, 미래는
생물학
의 시대가 되리라고 판단하고 펜실베이니아대
생물학
과 대학원에 들어갔지만 흥미를 느끼지 못하다가 1947년 우연히 X선 결정학 논문을 읽고 다시 물리학으로 진로를 바꿨다. 같은 해 소설가 앤 콜쿤과 결혼했고 영국으로 건너가 1951년 옥스퍼드대에서 ... ...
소리없는 살인자, 방사성 물질
동아사이언스
l
2013.04.24
달리 원자력 발전 연구가 아니라, 원자로에서 발생하는 방사선이나 중성자를 이용하여
생물학
, 나노 공학 등 다양한 분야의 기초연구를 수행하는 데 활용하고 있다. 연구자나 산업관계자 처지에서 때로는 여론의 우려와 다른 방향으로 움직여야 할 때도 있는 법이다 ... ...
프르제발스키 말을 아시나요?
동아사이언스
l
2013.04.01
몽골 초원의 말들을 유심히 관찰했고 마침내 1879년 그 야생말을 발견한 것이다. 1881년
생물학
자 폴리아코프는 이 말의 학명을 발견자 프리제발스키를 기려 ‘에쿠스 프르제발스키(Equus przewalskii)’라고 명명했다. 그 뒤 이 말은 프리제발스키 말 또는 몽고야생말(Mongolian wild horse)로 불린다. ... ...
“건강하게 오래 사는 것, 국가 경쟁력이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2.28
김 교수는 “논란이 많다는 사실은 노화과학 연구에 할 일이 많다”는 방증이라며 “분자
생물학
, 줄기세포, 약물요법 등 다양한 연구들이 복합적으로 진행된다면 건강수명 연장의 꿈이 현실화될 수 있다”고 말했다. 권 센터장도 노화를 일으키는 인자를 찾고 작용 메커니즘을 정확하게 파악하는 등 ... ...
“기초 연구에 투자한 만큼 성과 나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2.10.29
연구원 1983~현재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동물학과 교수 1990~2000년 영국 웰컴/CRC 세포
생물학
및암 연구소(2001년 거던연구소로 명칭 변경) 2001~현재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거던연구소 소장 1989년 울프상 의학부문 2009년 알버트 래스커 기초의학연구상 2012년 노벨 생리의학상(12월 10일 수상 예정) ※ 이 ... ...
“교육 선진화도 못하면서 바이오선진화 꿈도 꾸지마라”
동아사이언스
l
2012.08.28
절실 △줄기세포 분야 연구 포기해서는 안돼 김광수 교수는 1977년 서울대학교 미
생물학
과 학사 1979년 KAIST 생물공학과 석사 1983년 KAIST 생물공학과 박사 1983~1989년 미국 MIT대 박사후연구원 1989~1994년 미국 코넬대 의대 조교수 1994~1998년 미국 테네시대 의대 부교수 1998~2011년 미국 하버드대 의대 부교수 ... ...
이전
62
63
64
65
66
67
6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