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스페셜
"
생물학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률적인 연구평가방식 맞춤형으로 바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10.06
박사후연구원 - 2002년~현재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 2003년~현재 충남대
생물학
과 겸임교수 - 2004년~현재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UST) 겸임교수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기획했습니다.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대한민국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
2010.07.28
정 단장을 16일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안에 있는 그의 사무실에서 만났다. 그는 전공인
생물학
을 바탕으로 생물자원 확보가 미래의 성장 동력을 창출하고 신약 개발의 견인차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 국내 식물은행에서 세계 식물은행으로 국내외 논문 1056건, 특허 출원 920건, 기술이전 43건과 107억 ... ...
합성세포 창조한 비결… “황당한 주제 당연하게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0.06.21
빼내거나 이어붙이는 방법을 써왔던 기존의 분자
생물학
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셈. 합성
생물학
을 이용하면 사람이 처음부터 유전자를 설계하고 이들의 배치도 마음대로 디자인할 수 있다. 그 극단이 바로 합성게놈이다. “금요일에 최종단계의 실험을 하고 월요일 출근해 결과를 확인할 때까지 ... ...
한국 바이오에는 ‘B&D’가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2.09
회장, 대통령직인수위 자문위원,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등을 역임했다. 그는 전공인
생물학
을 기반으로 생명 공학을 육성할 방법에 대해서 평소의 생각을 피력했다. ●연구와 산업의 불균형 해소하기 위한 중계개발(B&D) 필요 이 원장은 우리나라 바이오 분야의 연구 수준에 대해서는 일단 후한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해야 한다. 이상경 교수는 1993년 경희대 유전공학 학사 1996년 미국 뉴욕시티대 분자
생물학
석사 2000년 미국 뉴욕시티대 세포면역학 박사 2000년~2004년 미국 하버드의대 연구교수 2004년~2005년 미국 하버드의대 교수 2005년~현재 한양대 생명공학과 부교수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 ...
“신약개발에 1조원 든다는 얘기는 과장”
동아사이언스
l
2009.09.12
▽최경업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위원=신약 개발비용을 따질 때 화학적 조성인지
생물학
적 조성인지를 구분해서 생각해야 한다. 이미 몸에 있는 것을 대량 생산하는 기술은 화학적인 공정을 거치는 것보다 적은 비용으로도 가능하다. 그러나 새로운 화학물질로 약을 만든다고 했을 때는 그 물질에 ... ...
“의료현장 요구 연구로 이어가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5.06
밝혀내는 것이지요.” 방대한 의료자료와 잘 발달된 정보기술(IT). 방 교수는 “시스템
생물학
에 최적 환경을 갖춘 곳이 바로 한국”이라며 “새로운 연구기법으로 세계와 당당히 겨룰 날을 꿈꾼다”고 말했다. 방사익 교수의 ‘이것만은 꼭!’ ○의사가 의료현장에서 필요를 느낀 연구를 할 수 있는 ... ...
“바이오 전담 부처와 장관 있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4.14
개진과 통합된 목소리가 필요하다는 것이다. 배 의원은 뉴욕주립대학교에서 세포분자
생물학
박사를 받은 바이오 전문가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연구원과 BT 전문기업인 리젠 바이오텍 사장을 지내 학계와 산업계를 모두 경험한 인물. 자신의 경험을 바탕으로 바이오 관련 정부 정책 개선을 위해 ... ...
“융합형 뇌 연구는 시대의 흐름…대형 연구소 세워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3.25
국립신경과학연구소가 있지만 최근 체제를 개편하고 있다. 뇌 질환에 치중했던 분야에
생물학
, 공학, 인지과학 분야를 융합하기 위해서다. 동아일보 자료사진 한국과 비슷한 시기에 뇌 연구를 시작한 중국도 성큼 앞서나가고 있다. 중국은 1999년 상하이에 독립적인 신경과학연구소를 세웠다. ... ...
“‘내셔널 아젠다’ 집중하면 한국 BT 미래 밝아”
동아사이언스
l
2009.02.24
박 원장은 생명공학 안에서도 한쪽으로 치우치는 쏠림 현상은 경계했다. 그는 “기초
생물학
연구 인력이 최근 눈에 띄게 줄었다”며 “머지않아 국내에서 식물 분류나 동물학처럼 기초 중의 기초를 연구하는 인력이 모자랄 수 있다”고 우려했다. 박영훈 원장의 ‘이것만은 꼭!’ ○ 바이오 ... ...
이전
64
65
66
67
68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