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생물
생명체
생태학
biological
biology
스페셜
"
생물학
"(으)로 총 680건 검색되었습니다.
이제 과학도 요리가 대세?
2015.03.30
영역에서도 시작된 것일까. 생명과학 분야의 권위지인 ‘셀’ 3월 26일자는 ‘식품의
생물학
’을 특집으로 다뤘다. 그런데 이게 보통 특집이 아닌게 3월 26일자 전체를 할애한 것. 170여 쪽에 걸쳐 20편 가까운 글이 실렸고 다들 흥미로운 주제를 다루고 있다. 한마디로 지난 10년 동안 식품과 ... ...
DNA 복구 과정 밝혀 암과 노화 수수께끼 푼다
IBS
l
2015.02.26
졸업하고, 동 대학에서 분자
생물학
으로 석사학위를 받은 뒤 미국 브라운대에서 분자
생물학
으로 박사학위를 받았는데, 흥미롭게도 학부 때부터 DNA 복구에 관심을 갖고 관련 연구에 참여했다고 한다. 학부 때는 DNA 이중가닥 중 하나만 고장 날 때 이를 고치는 '뉴클레오티드 절단 복구(Nucleotide Excision ... ...
암은 여전히 은유로서의 질병인가
2015.02.16
’라는 제목의 기사도 실렸다. 기사에서 네덜란드 후브레쉬트연구소의 줄기세포‧암
생물학
자인 한스 클러베스는 이번 연구에 대해 “암 발생이 임의로 일어난다는 사실이 두려운 일일수도 있지만 긍정적인 측면도 있다”며 “암환자 대부분은 운이 없었던 것일 뿐이므로 암에 걸린 게 자신들의 ... ...
[만화] 9시 등교가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
KISTI
l
2015.02.02
깨우는 게 낫다는 거야.” “수면 패턴이 바뀌어요? 어떻게요?” “사춘기가 되면 여러
생물학
적 변화와 함께 생체리듬도 바뀐단다. 수면유도 호르몬인 멜라토닌이 성인보다 최대 2시간 정도 늦게 분비되기 때문에 어른들은 잠이 쏟아지는 밤 11시에 청소년들은 잠이 안 와서 말똥말똥 깨어있고, ... ...
수의대 출신 연구원의 "연구가 좋았어요"
IBS
l
2015.01.19
실험실을 찾지 못해서 다른 학교의 실험실을 알아보고 다녔다. 그러다 기초과학, 기초
생물학
을 하는 실험실을 돌면서 인턴 경험을 쌓았다. 세포를 키우고 시약을 처리하는 등 세포 컬쳐하는 모습.ⓒ유기현 "RNA연구단이 다섯 번째로 오게 된 곳이에요. 처음에는 인맥이 닿는 실험실을 알아보는 것이 ... ...
분자 동영상 촬영해 물질의 3차원 구조 밝힌다
IBS
l
2015.01.16
즉 키랄 구조를 규명하기 위한 측정법을 개발해 '네이처'에 발표했다. 자연에 존재하는
생물학
적 분자, 인체 속 분자는 일정한 입체성을 띠는 구조인 키랄 구조(왼손과 오른손처럼 서로 겹치지 않는 구조)를 갖는데, 이런 입체구조는 굉장히 짧은 시간에 달라지고 그 신호도 너무 작아 문제였다. 조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2회]
2014.12.29
필요하기 때문이다. 1993년 샌프란시스코 캘리포니아대에 자리를 잡은 두프는 조류
생물학
실험실을 운영하며 정신과 임상의 생활을 병행했다. 두프는 새가 노래를 배울 때 일어나는 뉴런의 발화패턴을 연구했고 그 결과를 사람의 뇌에 적용하는 시도를 했다. 예를 들어 새의 지저귐에 관여하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이를 본 길버트가 이들이 틀렸다며 논문을 썼다. 당시 길버트는 이미 삼 년째 분자
생물학
논문을 쓰고 있었다. 그러다 1962년 다시 입자물리학(자발적 대칭성 깨짐)에 관심을 가지면서 두 분야 연구를 병행하고 있었다. 이휘소의 논문을 반박한 1964년 6월 22일자 논문이 길버트가 쓴 입자물리학 ... ...
패러다임 바꾸는 연구가 노벨과학상을 받는다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1.12
뛰어나다. 청색 LED 기술은 살균 기능이 있는 자외선램프에도 쓰이기 때문에 보건위생과
생물학
분야에서도 필수적이다. 노벨상의 영광을 안긴 것은 주변의 손가락질에 영향 받지 않는 뚝심이었다. 지난 21일 한국을 찾은 슈지 교수는 "널리 시도되던 셀렌화아연(ZnSe) 대신에 질화갈륨(GaN)을 ... ...
어느 줄기세포 학자의 비극적 죽음에 부쳐
2014.09.15
교토대 의대에 진학해 1986년 의학박사학위까지 받았지만 임상의학의 한계를 느끼고 분자
생물학
을 공부해 1993년 이학박사학위를 받았다. LA 캘리포니아대의 발생학자 에드워드 드 리베르티스 교수의 실험실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사사이는 신경계 형성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코딘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