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결합에너지
"(으)로 총 943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 과학자들, 바닷물-민물 농도차 발전 핵심기술 원리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9.09
순천만의 일몰 모습. 쪽빛 하늘과 S자로 굽이쳐 흐르는 강하구. 그리고 석양을 가린 구름이 한폭의 그림과 같다. 순천만에서는 누구나 사진작가가 된다고 한다. 바닷물과 민물 사이의 염분 농도 차이를 이용해 전기를 생산하는 재생에너지 기술인 ‘해양 염분차발전’ 기술의 핵심 원리를 밝히는 수 ... ...
‘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송석호 한양대 교수...신개념 광소자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9.09.04
송석호 한양대 물리학과 교수. 과기정통부 제공. 송석호 한양대 물리학과 교수가 ‘이달의 과학기술인상’ 9월 수상자에 선정됐다. ‘열린-양자역학계에서의 비대칭적 에너지 흐름’을 독창적으로 연구해 신개념 광소자를 개발한 공로가 높은 평가를 받았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 ... ...
전기분해 수소생산 복합재료 촉매 개발…“비싼 백금 대체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19.08.27
이성호 KIST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장. K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물을 전기분해해 수소를 생산할 때 사용하는 값비싼 백금 촉매를 대체할 저비용 촉매 복합재료를 개발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이성호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센터장과 조한익 건국대 미래에너지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 ...
인공 전자피부도 찔리면 “아파요”
동아사이언스
l
2019.08.26
싱가포르서 개발한 인공 전자피부 0.001초 만에 감지하고 신호전달 스스로 상처 봉합하는 피부도 만들어 DGIST, 고통 느끼는 전자피부 완성 압력-온도 감지하고 고통까지 표현 올해 7월 싱가포르국립대 연구팀은 초고속 촉각센서를 개발해 감촉을 느끼는 인공 전자피부를 만들었다. 사진 속 검지 ... ...
스펀지 구조 나노소재로 열을 전기로 바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20
탄소나노튜브에서 열을 전기로 바꾸는 모습을 형상화한 그림이다. 한국화학연구원 제공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입는 전자기기’의 열을 전기로 바꿀 수 있는 초소형 발전소자가 개발됐다. 입는 전자기기 외에 항공우주, 자동차 등에서 버려지는 에너지를 전기로 바꾸는 데 유용하게 이용될 것으로 ... ...
"방사성 오염수 저장부지 없다는 日 주장은 거짓"
동아사이언스
l
2019.08.14
숀 버니 그린피스 독일사무소 수석 원자력전문가가 14일 국회의원회관에서 열린 ‘후쿠시마 오염수의 문제점과 진실’ 기자간담회에서 방사성 오염수를 방류할 경우 해류를 타고 어떻게 동해와 태평양에 퍼지는지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이정아 기자 “한국은 일본과 지리적으로 가장 가까운 나라 ... ...
1조 분의 1초만에 사라지는 핫전자 잡아 태양전지 효율 12배 높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12
박정영(가운데)∙이효철(왼쪽) 기초과학연구원(IBS) 나노물질및화학반응연구단 부연구단장(KAIST 화학과 교수)교수 공동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를 이용한 핫전자 태양지를 개발했다. 박유진(KAIST 화학과 박사과정생∙오른쪽) IBS 나노물질화학반응연구단 연구원도 제1저자로 함께 연구에 참여했다. ... ...
폭염 속 전기 없어도 시원한 빌딩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9
뜨거운 열기 하늘로 방출하는 '복사냉각 기술' 활용 주간 6도, 야간 13도가량 건물 냉각효과 입증 태양열을 받아들이는 아스팔트와 빌딩숲으로 가득 찬 도심. 전기를 쓰지 않으면서도 빌딩의 온도를 낮춰주는 '복사냉각 기술'이 효과를 입증했다. 게티이미지뱅크 한차례 태풍이 지나고 비를 뿌리 ... ...
백금촉매에 탄소껍질 씌워 수소차 핵심 연료전지 수명 4배 늘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8.07
왼쪽부터 성영은 교수, 임태호 교수, 권오중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국내 연구진이 수소자동차에 쓰이는 핵심기술인 연료전지의 수명을 늘릴 수 있는 단일 열처리 공정을 개발했다. 권오중 인천대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와 임태호 숭실대 화학공학과 교수, 성영은 서울대 화학생물공학부 교 ... ...
알파고 한계 뛰어넘는 ‘AI 자전거’ 나오나
동아사이언스
l
2019.08.05
中 연구진, 자율주행 자전거 칩 개발… 장애물 알아서 피하고 방향전환 가능 ‘인간의 뇌’ 닮은 AGI 구현에 성큼 중국 칭화대가 기존의 기계학습과 뇌를 닮은 뉴로모픽 칩을 결합한 인공지능 기술을 선보였다. 네이처 제공 중국 칭화대 스루핑 교수 연구팀은 지난달 31일 국제학술지 네이처에 ... ...
이전
59
60
61
62
63
64
65
66
6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