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결합에너지
"(으)로 총 997건 검색되었습니다.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
2020.08.27
미국립생의학연구소(NBRF)에 재직할 당시의 마가렛 데이호프(왼쪽에서 두번째) 의 모습. 그는 이 곳에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의 데이터베이스를 20년동안 구축했다. 익스페리멘터스 뮤지엄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제한도 두지 않고 이 데이터를 전 세계 사람들이 사용하도록 했다는 것입니다. ... ...
[IBS 과학리포트] 강력했던 2020년 장마는 과연 지구온난화가 주요 원인일까
2020.08.26
연합뉴스 제공 동아시아 여름 몬순의 일부인 한반도 장마는 올해 강력했고 1973년 이래 가장 길었다. 기록적인 폭우는 전국적인 산사태, 홍수, 인명 피해로 이어져 큰 피해를 낳았다. 이번 장마가 이례적으로 강했던 것이 지구온난화 때문일까? 간단하게 답하자면 ‘아니다.’ 지난 100년 동안 지 ... ...
0.001mm 공간에 빛 가두는 이론 나왔다...나노레이저 등 응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08.19
왼쪽은 빛이 박막도파로 광결정에 갇혀 있는 모습이다. 오른쪽은 박막도파로 광결정위로 방출되는 모습이다. GIST 제공 미세한 공간에 빛을 가둘 수 있는 이론적 원리가 규명됐다. 새로운 광소재 개발에 응용해 나노 레이저의 효율을 높이거나 보안성 높은 미래 통신 기술인 양자암호통신 개발에 활 ... ...
붉은 벽돌에 전구 달았더니 빛이 '번쩍'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줄리오 다르시 미국 워싱턴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벽돌 전지다. 벽돌 하나를 LED 전구에 연결하면 10분간 빛을 낸다. 워싱턴대 제공 스마트폰이 고장 나거나 배터리가 충전이 안될 때 ‘벽돌’이 됐다는 표현을 하곤 한다. 5000년 전부터 건축자재로 쓰여오며 지금도 가장 값싼 자재로 사랑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
2020.08.13
GET 컨퍼런스에서 한 연사가 1953년 DNA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직후 모형을 설명하는 프랜시스 크릭(오른쪽 위)과 이를 올려다보는 제임스 왓슨(왼쪽 위)의 모습이 담긴 유명한 사진을 스크린에 비추자 올 해 82세인 왓슨(왼쪽 아래)이 사진속의 크릭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크릭은 88세인 2004년 사망 ... ...
소리로 화학반응 제어할 방법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8.11
기초과학연구원(IBS) 복잡계자기조립연구단 연구팀이 개발한 '소리를 이용한 화학반응 유도기술'로 액체 표면에 다양한 물결 무늬를 만들어 시각화학 작품이다. IBS가 주최한 '아트인사이언스' 전시에 지난해 출품됐다. 스피커의 소리가 그 위 염료에 파동을 만들고, 그에 따라 표면의 산소 용해도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미토콘드리아 게놈 편집 성공했다
2020.07.28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나이가 들수록 ‘부익부 빈익빈(富益富 貧益貧)’이라는 말에 점점 더 공감하게 된다. ‘눈덩이 효과’도 비슷한 말이다. 초기 약간의 차이가 시간이 지날수록 점점 더 벌어져 나중에는 다른 세상에 사는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반복해서 목격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잘 나 ... ...
꿈의 신소재 '그래핀' 고품질로 여러 층 쌓는 합성법 개발
연합뉴스
l
2020.07.28
IBS·삼성종기원 "반도체 고집적 전극 등에 활용" [IBS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기초과학연구원(IBS)은 나노구조물리연구단 이영희 단장과 삼성종합기술원, 부산대 공동 연구팀이 고품질의 4층 짜리 그래핀을 합성하는 데 성공했다고 28일 밝혔다. 그래핀은 흑연의 한 층에서 떼어낸 2차원 물질로 ... ...
공기 중 유해물질 바이러스 입힌 센서로 잡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27
송영민 광주과학기술원(GIST) 전기전자컴퓨터공학부 교수(오른쪽)와 유영진 박사과정생(왼쪽), 고주환 박사과정생 연구팀은 주변 환경의 변화를 색으로 보여주는 바이러스 기반 컬러 센서를 개발했다. GIST 제공 바이러스를 바른 센서를 이용해 공기 속 벤젠이나 아세톤 같은 위험한 화학약품이나 내 ... ...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 효율 13.4%에서 14.1%로 올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7.14
왼쪽부터 김영훈 DGIST 선임연구원과 고민재 한양대 화학공학과 교수. DG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의 성능과 안정성을 높이는 데 성공했다. 페로브스카이트 양자점 태양전지는 빛을 전기에너지로 바꾸거나 전기를 빛으로 바꾸는 특성을 가져 차세대 태양전지로 주목받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