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결합에너지
"(으)로 총 942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전지 효율 이론 한계 뛰어넘을 가능성 열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02
이영희 IBS 나노구조물리연구단장. IBS 제공. 태양전지의 광전 변환 효율을 비약적으로 높일 수 있는 길이 열렸다. 기존 태양전지 효율의 한계 33.7%를 넘어 46%까지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기초과학연구원(IBS)은 이영희 나노구조물리연구단 단장 연구팀이 네덜란드 암스테르담대학과 공동으로 ... ...
몸 대사 과정 조절하는 '똑똑한 스위치'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9
연구팀이 기능을 밝힌 LARS1 효소와, ULK1 효소 사이의 결합을 표현한 논문 속 사진이다. 왼쪽이 에너지원인 탄수화물(포도당)이 부족한 환경이고 오른쪽은 풍족한 환경이다. 에너지원이 부족한 환경에서는 ULK1이 LARS1이 과발현된 채 결합을 더 많이 해(왼쪽 파란색~녹색) 류신 합성을 저해한다. 반면 에 ... ...
가격은 수백 배 싸고 성능은 25% 높인 촉매로 물에서 수소 뽑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5
김광수 울산과학기술원(UNIST) 화학과 특훈교수(아랫줄 가운데) 연구팀은 물 전기분해의 효율을 기존 상용 촉매보다 25% 높이면서도 가격은 저렴한 촉매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울산과학기술원 제공 친환경 에너지 자원으로 꼽히는 수소는 물을 분해하면 얻을 수 있지만 많은 전기가 필요해 상용화에 ... ...
활성 높은 분자촉매 '나노 새장'에 넣어 안정성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24
최경민 숙명여대 화공생명공학부 교수(왼쪽)과 김우열 교수(가운데), 이현신 연구원 공동연구팀은 새장 모양으로 촉매를 감싸 분자촉매의 효율을 떨어트리지 않으면서도 안정성을 높이는 기술을 찾아냈다. 한국연구재단 제공 활성은 높으나 자기들끼리 결합하며 망가지는 단점을 가진 분자촉매를 ... ...
미래 공장은 무엇으로 구성될까
동아사이언스
l
2019.11.13
미국제조업자협회 제공 미래의 공장은 어떻게 구성되고 관리될까. 미국제조업자협회 산하 제조리더십위원회는 지난해 학자, 산업계 전문가들과 함께 10년 뒤 제조업에 불어닥칠 새로운 변화를 분석해 공개했다. 미국제조업자협회는 미국내 1만4000개 제조기업을 대표하는 단체다. 짐 데이비스 청정 ... ...
미래車 방향은 '지능형'과 '친환경'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후이 펑 미국 미시간대 교수가 이달 11일 제주 KAIST 친환경스마트자동차연구센터에서 열린 '국제 미래자동차 기술 심포지엄'에서 기조연설하고 있다. 조승한 기자 shinjsh@donga.com 세계적인 자동차 전문가인 후이 펑 미국 미시간대 교수는 11일 “자동차 시장은 침체되는 반면 전기차에 대한 수요는 늘 ... ...
원유 정제 부산물 황 폐기물로 고부가가치 그래핀 만드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1.10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탄소융합소재연구센터 유남호 선임연구원과 남기호·김경민 연구원(왼쪽부터) 국내 연구팀이 환경 문제를 낳고 있는 황을 이용해 꿈의 소재로 불리는 그래핀을 만드는 방법을 개발했다. 석유 정제과정에서 대량 발생하는 황 폐기물을 줄이면서 이를 활용해 고부가가치 제 ... ...
양성자 크기를 둘러싼 10여년 물리학 논쟁 종지부 찍나
동아사이언스
l
2019.11.09
미국 토머스제퍼슨국립가속기가 양성자의 크기를 측정하는 실험을 진행했다. 미국 에너지부 제퍼슨랩 제공. 양성자의 크기를 알아내기 위한 가장 최근 실험에서 양성자의 반경이 0.831펨토미터(1펨토미터는 1000조분의 1초)라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이번 결과는 양성자의 크기를 알아내기 위한 두 ... ...
‘친환경·자율·안전’ 미래 자동차 전문가 제주에 모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KAIST 제공 한국과 미국, 홍콩, 싱가포르의 연구자들이 모여 교통 관리, 자율주행차 등 미래차 연구를 한데 모아 조망하는 자리가 열린다. KAIST는 이달 11일 제주 KAIST 친환경스마트자동차연구센터에서 ‘국제 미래자동차 기술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7일 밝혔다. ‘자동차 기술의 미래: 자율주행 ... ...
스트레스가 다재다능한 그래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연구팀이 그래핀을 형성할 때 구리 기판 표면의 결정구조에 따라 반응성을 분석한 결과. 라만분광법을 이용해 구리 001과 110, 111 등 결정구조에 따라 실험했다. 그 결과 구리 111 표면에서 가장 빠르고 균일하게 반응이 일어났다(맨 윗줄). UNIST 제공 탄소가 육각형 벌집 구조로 이어진 얇은 탄소막 '그 ... ...
이전
56
57
58
59
60
61
62
63
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