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뉴스
"
전류
"(으)로 총 856건 검색되었습니다.
[과학사진관] 폭포는 곧은 절벽을 무서운 기색도 없이 떨어진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5.17
있고 반응성이 매우 작다. 백금선(線)의 끝부분을 전극으로 활용해 물방울에 3kV의 고압
전류
를 가한 후 확대한 사진이다. 이 사진은 순수한 물의 미시적 표면 구조가 강한 전압에서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하는 실험 중 포착했다. 순수한 물에 백금선으로 전기를 흘려보냈더니 백금선 끝에 갈색으로 ... ...
130년 이어온 알루미늄 가공법 바꾸는 아이폰의 힘
2018.05.11
소재 자체에는 산소 성분이 좋은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그래서 알루미늄에 강력한
전류
를 흘려 산소를 제거해 산화를 막는 기술을 쓴다. 1886년 알코아코퍼레이션 창업자 찰스 홀이 이 제련 방법을 발견하면서부터 알루미늄은 우리 생활에 쓰이기 시작했다. 지금은 강도와 무게 양쪽을 함께 ... ...
미래 건 양자컴퓨터 5파전..."양자 통제 기술과 소재가 관건"
동아사이언스
l
2018.05.11
지배를 받는 입자를 이용해 계산을 하는 새로운 개념의 컴퓨터다. 기존 컴퓨터는
전류
흐름(on)과 멈춤(off)처럼 서로 구분되는 두 물리값(상태)을 이용해 각각 1 또는 0의 정보를 따로 처리한다. 이에 반해 양자컴퓨터는 두 상태가 서로 분리되지 않는(즉 관측 전까지는 0이기도 하고 1이기도 한) 양자 ... ...
“쓸데없어 보이는 연구가 세상을 바꿀 수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8
교수가 바르는 배터리를 이용해 만든 티셔츠를 입었다. 바르는 배터리에서 나온
전류
로 가슴 쪽 LED전구에 불이 들어왔다. 이 배터리는 물세탁에도 성능이 유지된다. 이 교수는 사물 인터넷 시대에 형태가 자유로운 배터리가 필요하다고 생각해 다양한 소재를 이용한 배터리를 개발한다. UNIST 제공. 이 ... ...
‘꿈의 소재’ 그래핀으로 만든 초고강도 고성능 케이블
동아사이언스
l
2018.04.16
전선을 만들자, 기존 구리 전선보다 2배 이상의 기계적 강도와 10배 이상의 최대 허용
전류
량을 확보했다. 연구팀이 개발한 그래핀-구리금속 복합전선은 고효율 전력전송선뿐 아니라 자동차 내 배선에 쓰이는 하네스 케이블 등에 쓸 수 있다. 전기모터의 성능을 높이고 경량화하는 데에도 핵심 ... ...
[全기자의 영화 속 로봇]⑦ 내 의식을 로봇에 옮겨심는다면… 써로게이트
동아사이언스
l
2018.04.13
찔러 넣고 미세한
전류
변화를 측정하는 뇌침습수술, 뇌에서 혈액이 흐르며 발생하는 미세
전류
를 읽어내는 EEG 시스템, 두개골을 통과해 뇌속 혈액의 흐름을 알아볼 수 있는 ‘근적외선 촬영시스템’, 뇌에서 발생하는 미세자기장을 읽어내는 ‘뇌자도 기술’ 등이다. 어느 것이든 아직 효율이 그리 ... ...
차세대 M램 소재 개발...전원 꺼져도 작업 내용 날릴 걱정 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4.11
메모리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이경진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스핀
전류
의 동작 방향을 제어할 수 있음을 이론 및 실험으로 규명했다”며 “추가 연구를 통해서 개발된 소재를 기반으로 하는 M램 개발을 실제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과학학술지 ‘네이쳐 ... ...
[섭섭박사의 메이커스쿨] 무선 충전 조명등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4.06
즉 ‘
전류
’가 된답니다. 또 이
전류
가 만들어내는 에너지가 ‘전기’지요. 이렇게
전류
를 한 방향으로 흘려 보내기 위해 주의해야 할 것이 있어요. 바로 조명등을 조립할 때 전선의 방향에 따라 짝꿍을 잘 지어주는 거예요. 특히 DIY 무선 충전 조명 만들기에서는 건전지, 전선, 트랜지스터 ... ...
[표지로 읽는 과학] 응집물질 위상절연체로 고효율 레이저를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8
또는
전류
의 수직 방향으로 모두 잴 수 있다.
전류
가 흐르는 방향에 수직으로 잰 전압과
전류
를 간단한 수식에 넣어서 계산한 값은 띄엄띄엄 특정 정수로 나타난다. 이 값을 ‘홀 전도도’라고 하며, 이 현상을 ‘양자홀 효과’라고 한다. 본래 양자 홀 효과는 아주 섬세하게 가공한 반도체 계면 ... ...
꿈의 반도체 물질? 그래핀으로 염색약도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8.03.16
규소)보다는 100배 빠르게
전류
를 흘릴 수 있어 꿈의 반도체 물질로 불리고 있다. 다만
전류
를 제어하기가 어려워 그래핀 반도체 양산에 필요한 기술이 현재진행형으로 개발되고 있다. 황 교수 팀은 그래핀의 전기적 특징 대신 얇은 두께에서 코팅제의 단서를 찾았다. 그래핀은 두께 0.2nm(나노미터·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