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전류"(으)로 총 8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계 최초로 열린 나노카 레이스, 승자는?과학동아 l2017.08.15
- 나노카 레이스는 주사터널현미경(STM)으로 중계됐으며, 나노카들은 STM 탐침에서 나오는 전류로 움직였다. CEMES/CNRS Photheque 제공 ● 분자 바퀴, 공중부양…중계엔 전자현미경 나노카 레이스의 1등은 미국 라이스대와 오스트리아 그래즈대가 연합한 나노프릭스 팀과 스위스 바젤대의 스위스 팀이 ... ...
- 산화물 원자 구조 바뀌는 과정을 실시간으로 보는 기술 개발동아사이언스 l2017.07.25
- 반응에 의해 양극(+)에서 생겨난 산소이온이 음극(-)에서 수소와 반응하며 전자를 생성해 전류가 발생하기 때문에 산소 환원에 따른 구조변화 이해가 중요하다. 기존 구조 연구는 전자빔으로 물질을 투과해 분석하는 투과전자현미경의 특성 때문에 실험 과정에서 시료 손상이 불가피했다. ... ...
-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④] 돌고 도는 단위, 마지막으로 합류한 ‘켈빈’동아사이언스 l2017.07.24
- 단위는 상호 보완적인 관계에 있다. 1m를 정의하기 위해서는 시간(초)이 필요하고, 시간(초)을 정의하기 위해서는 온도 기준이 필요하다( ... 물질량(㏖)입니다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③]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을 대신할 전류의 새 정의 ※ 동아사이언스·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공동 ... ...
- 도체인 듯 부도체인 듯 ‘위상부도체’, 예상보다 훨씬 흔하다동아사이언스 l2017.07.23
- 된다. 반면 일부 공간이 비어있을 경우에는 원자에서 원자로 전자가 이동할 수 있고, 전류를 전달할 수 있다. 연구진은 먼저 도체를 제외하고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부도체 결정의 패턴과 대칭성을 고려해, 가능한 모든 전자 밴드의 구조를 체계적으로 분류했다. 그리고 검색 엔진에서 사용하는 ... ...
-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③]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을 대신할 전류의 새 정의동아사이언스 l2017.07.21
- C(쿨롱)을 띄는 자유 전자 n개가 전자의 지름과 같은 도선을 1 초 동안 통과할 때 생기는 전류’ 같은 식으로 정의할 수 있기 때문이다. ※ 동아사이언스·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공동 기획 전자 1개의 전하량을 측정하려는 시도는 이미 1910년부터 있었다. 미국의 물리학자 로버트 밀리컨은 평행하게 ... ...
-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②] 재정의되는 건 몰질량(M) 아니죠~ 물질량(㏖)입니다동아사이언스 l2017.07.16
- 다시 정의한다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③]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을 대신할 전류의 새 정의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④] 돌고 도는 단위, 마지막으로 합류한 ... ...
-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①] kg, 4대 물리상수 ‘플랑크 상수’ 이용해 다시 정의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7.11
- 물질량(㏖)입니다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③]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을 대신할 전류의 새 정의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④] 돌고 도는 단위, 마지막으로 합류한 ‘켈빈’ ※ 동아사이언스·한국표준과학연구원 공동 ... ...
- 1 kg의 새로운 정의, 수학과 물리학이 만든다동아사이언스 l2017.07.07
- 물질량(㏖)입니다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③] 무한히 길고 무시할 수 있을…을 대신할 전류의 새 정의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④] 돌고 도는 단위, 마지막으로 합류한 ... ...
- 정전기로 그래핀 전자소자 간편히 구동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7.02
- 필요한 위치, 원하는 크기나 형태로 게이트를 만들거나 바꾸고, 없앨 수 있다. 그만큼 전류를 미세하게 제어할 수 있는 셈이다. 정전기로 구현한 무형의 게이트는 그래핀의 전기전도도 특성을 제어할 뿐만 아니라 향상시키기도 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렇게 생성되는 마찰전기는 수일 이상 ... ...
- 1m의 새로운 정의는?...국제단위계, 발전된 과학기술로 새롭게 정의한다동아사이언스 l2017.06.30
- 다른 단위를 재정의하자는 안건이 제출됐고, 2011년 제24차 총회에서 질량, 물질량, 온도, 전류를 새로 정의하기로 결정했다. 그리고 내년, 오랜 실험을 거쳐 정확하게 알게된 물리 상수를 이용해 단위가 재정의되고, 2019년 5월 20일 세계 측정의 날부터 공식적으로 사용할 예정이다. 2018년 재정의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