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뉴스
"
전류
"(으)로 총 812건 검색되었습니다.
위성 통신장애 일으키는 ‘블랙오로라’ 전기장 원인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7.11.22
약 100㎞ 상공의 지구이온층에서 정오 무렵 동쪽으로 발생하는
전류
현상인 ‘적도고층
전류
’의 전기장 역시 동일한 방식으로 설명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 성과는 기존 플라즈마 물리학의 기본원리로 알려진 ‘준중성 이론*’이 플라즈마 경계 영역에서는 성립되지 않는다는 사실도 새롭게 ... ...
성냥과 라이터 없이 불을 피워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1.15
실험에서 껌 종이의 가운데 부분을 좁게 만드는 것도 이 때문이다. 껌 종이의 알루미늄에
전류
가 흐르면 좁은 부분에서 열이 발생하고, 이 열이 종이로 전해져서 불이 붙는다. 실험 방법 둘. 지퍼백으로 간이 렌즈를 만들어라! 제안 독자 : 손예준, 이해원, 김태연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준비물 : ... ...
긴 몸을 꿈틀꿈틀! 뱀 로봇 만들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7.10.30
수 있도록 전지, 전선, LED, 모터 등 전기 부품을 연결한 것을 말해요. 전지에서 출발한
전류
가 LED나 모터 등을 거쳐 다시 전지로 돌아올 수 있도록 전기가 다니는 길을 잘 만들어 줘야 하지요. 이번 메이커 스쿨에서는 ‘브래드보드’라 불리는 판에 전선 및 각종 부품을 꽂아 전기회로를 만들었어요. ... ...
북한의 EMP 공격 막을 수 있는 차폐소재, 어디까지 왔나
동아사이언스
l
2017.10.20
99.9% 막을 수 있는 다양한 소재를 개발해 왔다. 구 연구원은 “전기전도성이 높을수록
전류
가 외부로 산란되면서 차폐 효과가 커지기 때문에 기존엔 은이나 구리 등 금속을 차폐 재료로 활용했다. 하지만 초소형 전자기기의 기판에 쓰기에는 상대적으로 무겁고 가공이 어려운 편이어서 미래 ... ...
‘옴의 법칙’ 190년만에 한국인 과학자가 깼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22
있다. 향후 연구를 거듭하면 모든 전자가 통로를 통해 움직여 저항을 전혀 받지 않고
전류
가 흐르는 소자를 만들 수 있다. 바일 금속의 최초 발견자도 국내 과학자다. 김기석 포스텍 교수와 김헌정 교수 등 국내 연구진이 2013년 발견했다. 금속의 최초 발견부터 성질 규명까지 모두 국내 연구진 손에서 ... ...
주방용품 재료로 인공광합성 가능하게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9.11
포함돼 있다는 점에 주목했다. 스테인리스 스틸을 강한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넣고
전류
를 흘려주면 스테인리스 스틸에 들어있던 니켈이 금속 표면으로 녹아 나오면서 니켈옥시하이드록사이트로 변한다. 이 물질은 물 분해를 아주 잘 도와주는 촉매다. 특히 중성 환경에서 촉매로 작용하기 때문에 ... ...
서울 부산 20분, 꿈의 열차 어디까지 왔나
과학동아
l
2017.09.09
전자석을 배열하고 열차 바닥에 초전도자석을 깔아 놓는 방식으로 가속한다. 레일의
전류
를 제어해서 앞뒤 교대로 배치된 N극과 S극의 위치를 바꿔주면 열차에 설치된 초전도자석이 밀고 당기는 힘을 받으면서 움직인다 ... ...
"현재 강한 지자기폭풍 진행중" 10년 만에 발생한 초대형 태양 섬광이 원인
동아사이언스
l
2017.09.08
말했다. 다만 “북미 대륙은 좀더 피해가 클 수 있다”며 “지자기폭풍이 땅 속
전류
에도 영향을 미쳐 정전까지도 일어날 수 있다”고 경고했다. 한편 CME와 함께 발생한 섬광현상(플레어)은 역사적으로도 손꼽히는 플레어가 될 전망이다. 태양물리학자들은 플레어를 세 대의 미국의 정지기상위성 ... ...
입고 숨만 쉬어도 전기 만들어지는 ‘티셔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8.25
부피가 줄어든다. 이때 전하 저장 용량도 함께 줄어 전하를 밖으로 내놓는 과정에서
전류
가 생긴다. 연구진은 약 0.02g의 트위스트론으로 소형 발광다이오드(LED) 전구의 불을 밝히는 데 성공했다. 초당 30회의 속도로 수축·이완한다면 1kg으로 250W(와트)의 전력을 생산할 수 있다. 이는 태양광 패널 1개가 ... ...
빛으로 전기 신호 제어하는 트랜지스터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7.08.21
연구진은 다공성 실리콘에 레이저를 쪼이면 구속됐던 전자들이 에너지를 받아 탈출해
전류
가 흐르게 된다는 특성을 세계 최초로 확인했다. 빛으로 전기적 특성을 제어할 수 있다는 의미다. 이 특성에 착안, 연구진은 실리콘 나노선에 다공성 실리콘을 부분적으로 삽입해 ‘나노선 트랜지스터’를 ... ...
이전
55
56
57
58
59
60
61
62
6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