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스페셜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연구도 중요하다. 지난해 노벨 물리학상은 일상적인 3차원 세상과 1·2차원 세상에서도
전류
가 저항 없이 흐르는 초전도 상태가 생길 수 있음을 규명한 3명의 영국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수상자들의 연구는 미래 컴퓨터인 양자컴퓨터의 재료로 사용되는 2차원 자성필름이나 초전도체 박막 등을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저차원 전자계 연구단(단장 : 염한웅)은 전자를 원하는 방향으로 한 개씩만 이동시켜
전류
를 흐르게 하는 원자선을 발견해 2015년 10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영하 150℃ 이하의 저온에서 부도체인 인듐 원자선이 전자를 하나씩 옮기는 '카이럴 솔리톤(chiral soliton)'이라는 새로운 ... ...
말 못 할 고민, 과민성 방광
2016.10.21
경우 시술을 하기도 한다. 시술 중 하나인 전기자극 치료는 골반 근육과 방광에 약한
전류
를 흘려 요도 괄약근이나 방광의 수축을 억제하는 방법이다. 또 강력한 자기장을 환자의 골반에 쏘아 골반 근육 내 신경세포를 자극해 수축과 이완을 유도하는 체외 자기장 치료도 있다. 난치의 경우에는 ... ...
광유전학, 빛으로 뇌의 비밀 풀고 새로운 치료법 찾는다
IBS
l
2016.09.01
전류
가 흐르는데, 여러 실험 결과 채널로돕신이란 단백질이 청색 빛을 받으면
전류
를 만들어 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채널로돕신을 동물 신경세포에 처음 적용한 사람은 미국 스탠퍼드대의 칼 다이서로스 교수였다. 2005년 다이서로스 교수팀은 채널로돕신을 생쥐의 신경세포에 이식하고 빛을 쪼여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질문하면 답해ZOOM] 슬라임이 피부에 닿으면 왜 해롭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동전의 종류마다 속도의 변화가 다르거든요. 동전을 넣으면 물건을 내려주는 자동판매기도
전류
와 자기장을 측정해 진짜 동전과 가짜 동전을 가려낸답니다 ... ...
[뉴럴링크] BCI 기술의 네 가지 미래
과학동아
l
2024년 04호
흐름을 원활하게 만드는 등 여러 가지 뇌 신경 조절 기술도 발전할 것이다. 뇌에 미세
전류
를 보내 질병을 치료하는 기술 ‘전자약’도 이것의 일종이라고 볼 수 있다. 이로써 치매로 손상된 기억이나 인지 기능을 회복시키거나, 우울증과 같은 정서적인 장애를 극복하고, 파킨슨병으로 저하된 운동 ... ...
[도전! 섭섭박사 메이커] 동전 먹는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연결된 입도 같이 열어요. 그러면 동전이 로봇 안쪽으로 떨어집니다. 양팔에 흐르던
전류
도 끊어지죠. 하지만 전동기의 회전축이 움직일 때 차단 스위치도 함께 열렸기 때문에 전동기는 계속 작동합니다. 전동기의 회전축이 한 바퀴 돌면, 차단 스위치가 눌린 로봇은 다시 동전을 올릴 때까지 ... ...
[통합과학 교과서] 신들에게 전기를 보내려면?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까지 전기를 보내는 데에도 전압을 바꾸기 쉬운 교류가 더 유리했어요. 결국 두 사람의
전류
전쟁은 테슬라의 승리로 끝났고, 전 세계 전력망은 교류로 만들어 졌습니다. 교류 전기는 송전 과정에서 손실이 크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 전력망이 복잡해 전선 한 개가 끊어지면 다른 전선들까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지구지킴이 3. 집에서 아주 쉽게 태양광 전지판 만들기!
기사
l
20250910
전자가 에너지를 얻어 원자핵으로부터 분리되어 튀어나옵니다. 이때, N형 반도체와 P형 반도체가 만난 p-n 접합에서 전자가 이동해
전류
가 흐르며 전기를 얻는 것이죠. 이 원리를 바탕으로 태양광전지는 어떻게 만들어질까요? 가장 대표적인 실리콘 전지를 예로 들어 설명하겠습니다. 먼저, 석영에서 실리콘을 추출해서 잉곳(고온에서 녹인 실리콘으로 만 ...
번개는 왜 일직선이 아닌 지그재그로 칠까?
기사
l
20250130
있습니다. 그런데 왜 번개는 일직선으로 치지 않고 지그재즈로 치는 걸까요?
전류
가 흐르는 것을 방해하는 작용을 저항이라고 합니다.
전류
는 저항이 더 작은 쪽으로 흐르려고 하는 특성이 있습니다. 전기가 통하지 않는 물질을 절연체라고 하는데 공기는 원래 절연체 입니다. 그런데 적란운이 만들어져 지면과 구름 사이에 높은 전압차이가 발생하 ...
학원 끝났으요
포스팅
l
20241027
하핳★이따 또 가야해요오ㅗ 여다ㅁ이지만 과학시험 그거 외우는거 중에
전류
의 흐름과 물의 흐름 비교하는거 있어서스위치->밸브를 스밸~이러면서 외웠다는...ㅎ ...
보령 현장 미션: 아이들의 꿈을 우주로
기사
l
20240903
양이 많을수록 점성이 커지는 결과
전류
를 흘려 보냈을 때도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식용유를 많이 참가할 수록 점성이 커진 결과.
전류
를 흐러 보냈을 때도 같은 결과가 나왔습니다. 내오디옴 자석은 4개일 때 점성이 가장 큽니다. 결론적으로 작기장을 형성 했을 때 점성이 가장 큽니다. 추후에 우주정거장과 비슷한 환경에서의 실험이 요구 ...
번개가 치는 이유
기사
l
20240526
무거운 알갱이는 음전하를 띠며 구름 아랫부분으로 내려갑니다. 구름이 성장하면서 전하가 쌓이다가 전위차가 커지면 순간적으로
전류
가 흐르는 방전 현상, 즉 번개가 치게 되는 것 입니다. 양전하란 양의 전기를 띤 전하입니다. 또는 양의 부호를 가지는 전하입니다. 물체가 음전기보다 양전기를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