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남쪽"(으)로 총 1,057건 검색되었습니다.
- 달은 매일 어떻게 뜨고 지나과학동아 l200104
- 사실을 고려하면 달 지름의 약 30배 이동해 있어야 하는 것이다. 문제의 그림에서 우리가 남쪽 하늘을 보고 있으니까 왼쪽이 동쪽이 되고 오른쪽은 서쪽이 된다는 점에 주의하자.달은 약 27$\frac{1}{3}$일 걸려서 지구를 한번 공전하므로 하루에 3백60°÷ 27$\frac{1}{3}$ ≒ 13°씩 하늘에서 움직인다. 그런데 ... ...
- 여행달력겸용 해시계 만들기과학동아 l200103
- 어느날 갑자기 시계 없이 무인ㄷ에 떨어진다면? 그리고 어느 시간에 배가 무인도에 떨어진 자신을 찾으러 온다고 한다면 어떻게 그 시간을 맞출 수 있을까. 과거 선조들이 사용했던 해를 이 ... 정오에 해가 남쪽에 있으니까 짧은 바늘을 해가 있는 쪽으로 향하면 바로 그 쪽이 남쪽이다 ... ...
- 북극에서 해는 어떻게 뜨고 질까과학동아 l200102
- 가장 높이 걸릴 때인 정오를 정의할 수 없기 때문이다. 물론 북위 89도 지역에서는 해가 남쪽하늘에 가장 높이 떴을 때를 정오라고 해 아무 문제가 없다 ... ...
- 뱀의 해 , 나라 앞날 걱정한 지혜의 영물과학동아 l200101
- 누가 파 놓았거나, 자연적으로 형성된 구멍을 이용한다. 그 구멍은 대개 햇볕이 잘 드는 남쪽의 돌담 틈 사이나 큰 바위의 쪼개진 틈, 물가의 돌무더기 또는 큰 나무의 뿌리 밑 틈새 등에 있다. 구멍의 깊이는 그다지 깊지 않고, 얼지 않을 정도다.뱀은 일단 겨울잠을 자는데 좋은 장소를 발견하면 매년 ... ...
- 1. 단군성전은 실재하는가과학동아 l200101
- 논란이 제기돼 왔다.그런데 1993년 10월 북한학자들은 평양시 강동군 강동읍 대박산 동남쪽 기슭에 있는 단군릉에서 단군과 부인의 유골을 발견했다고 공식 발표했다. 과연 이 유골이 5천년 전 고조선을 세운 단군의 것일까.빈약한 신상명세서역사자료는 단군에 대한 기초 정보를 제공한다. 그런데 ... ...
- 2001년을 여는 장엄한 개기월식과학동아 l200101
- 그러나 3일 밤 10시부터 자정 사이에 복사점의 고도가 낮을 때는 북두칠성 아래에서 남쪽 오리온자리쪽으로 별똥별이 가끔 천천히 길게 흘러가는 모습도 발견할 수 있다. 드물지만 이런 모습은 놀라운 감동을 느끼게 해준다. 도시에서도 주위의 불빛이 직접 눈에 들어오지 않는 장소에서는 밝은 ... ...
- 내일은 해가 어디에서 뜰까과학동아 l200101
- 달라진다. 춘분때 해는 정동 방향에서 뜨지만 한달 전에는, 즉 2월에는 정동 방향보다 남쪽에서 뜨기 때문이다. 따라서 문제 (4)의 정답은 여전히 C다. 하지만 한달 후에는, 즉 4월에는 해는 정동 방향보다 북쪽에서 뜬다. 따라서 문제(5)의 정답은 B다 ... ...
- 한민족 고유의 바닥 난방, 구들과학동아 l200101
- 아자방이렇게 완성된 구들에 대해 불가사의한 전설이 내려온다. 지리산 반야봉의 동남쪽 해발 약 8백m 고지에 자리잡은 칠불사에는 신라 금관가야에서 온 구들도사 담공선사가 만든 ‘아자방’이라는 구들방이 있었다. 고래모양이 아(亞)자처럼 생겨서 붙여진 이름인데, 이 방에 불을 한번 지피면 ... ...
- 우리민족 산학의 뿌리 '구장산술'과학동아 l200101
- 남쪽 막대그림자와 막대간 거리의 곱을 나뉨수로 삼아서 나눠주면, 곧 남쪽 막대로부터 남쪽의 해 바로 아래에 있는 곳까지의 거리가 된다”고 한 유휘의 말과 정확하게 일치함을 알 수 있다.세계최초로 행렬식 개발한 일본인개개인이 자라나면서 수학적 지식을 습득하는 과정은 상당한 정도까지 ... ...
- 좀생이별이 들러리 선 거대행성 목성과 토성과학동아 l200012
- 기울기가 변한다(그림). 올해부터 2002년까지 고리의 기울기가 가장 크기 때문에 고리의 남쪽 아래 면이 아주 잘 보이는 시기다. 1백배율 정도부터 앙증맞은 고리의 모습을 볼 수 있지만, 좀더 크고 멋진 모습을 보려면 과학관이나 공공천문대의 좀더 큰 망원경을 이용해 3백배 이상의 배율로 관찰해야 ... ...
이전56575859606162636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