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057건 검색되었습니다.
까마귀 옆에 있는 더듬이의 정체
과학동아
l
200205
우주 최대의 교통사고 현장이라고 하는데…웬만큼 별이 보이는 지역이라면 봄밤하늘
남쪽
지평선 근처에서 어두운 사각형 모양의 별자리를 찾을 수 있다. 그 모양으로는 도저히 상상하기 힘들지만 까마귀자리다. 까마귀의 머리 부근 하늘을 커다란 망원경으로 살피다보면, 재미있는 모양의 천체를 ... ...
봄에 떠나는 생명 여행
과학동아
l
200204
책이다. 우리나라의 순수 야생 식물 1백50여종의 생태를 계절별로 분류해놓았다.따뜻한
남쪽
바람에 실려 날아오는 꽃 소식을 기다려본 적이 있는 사람들, 꽃이 피는 것을 보고 봄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권한다.나무처럼 살고 싶다면꽃에 대한 작은 백과사전으로‘쉽게 찾는 우리꽃’시리즈가 있다면, ... ...
토성과 반달의 봄맞이 랑데부
과학동아
l
200203
동서로 가로지른 지역에 한정된다. 이 지역이 바로 이번 토성식의
남쪽
한계선이다. 좀더
남쪽
인 제주도로 가면 토성식은 일어나지 않는다.토성식의 접식은 해당 지역에서 평생 한번 보기 힘들 만큼 매우 진귀한 현상이다. 그러므로 이번에 나타나는 토성식에서 제일 어렵고 의미있는 것은 접식을 ... ...
빅뱅과 인플레이션 따라잡기
과학동아
l
200203
북극점에서 더 북쪽은 어디인지를 묻는 질문과 같다. 북극점에서 움직일 수 있는 곳은
남쪽
뿐이다. 또 빅뱅이 어디에서 일어났냐고 묻는 질문도 마찬가지로 잘못된 것이다. 공간도 빅뱅과 함께 탄생했기 때문이다. 물론 최근 전체우주 안에서 우리우주를 막으로 보는 이론에서는 다른 공간을 생각할 ... ...
2002년은 말머리성운의 해?
과학동아
l
200201
별 때문에 겨울밤하늘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말머리성운은 세별 중 왼쪽 별(제타별)의
남쪽
에 위치한다. 아쉽지만 말머리성운은 맨눈으로 볼 수 없다. 또 아마추어 수준의 망원경으로도 찾기 쉽지 않다. 망원경을 다룰 줄 아는 아마추어 천문가들 사이에서도 말머리성운은 자신의 관측기술을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01
위치는 목성 표면에서 위도 -23.3°, 경도 75° 부근에 위치한다. 즉 목성 적도에서 약간
남쪽
띠에 있다. 따라서 대적반을 볼 수 있는 때는 대적반의 경도가 지구에서 볼 때 목성 중앙부근에 오는 시기다.우선 오른쪽 (표)를 이용해 원하는 시각에 지구에서 봤을 때 목성 중앙부분이 해당하는 경도를 ... ...
① '수능 프리즘'을 통해 본 과학
과학동아
l
200112
보기는 불가능하다). 따라서 ‘옳지 않은 것’을 고르는 위 문제에서 답은 ‘행성A는
남쪽
하늘에서 볼 수 있다’는 ①번이 된다.그런데 이런 내용은 공통과학 교과서 12종 가운데 단 한종(두산동아 간행 교과서)에만 나온다. 2000학년도에는 반도체의 온도-저항 그래프가 출제된 적이 있는데, 이 경우 ... ...
기상천외한 동물의 의사소통
과학동아
l
200112
떨어진 코끼리 집단은 이런 위험을 미리 감지한다. 그뿐 아니라 이 울림에 의해 ‘아
남쪽
에서 비가 올라오는구나’하는 정보도 안다고 한다. 원치 않던 의사 전달소리로 의사소통을 하는 동물의 경우에 여러가지 장점이 있다. 우선 상당히 장거리에서도 의사 소통이 가능하다. 또 장애물도 ... ...
겨울밤 화려하게 뿌려진 보석 잔치
과학동아
l
200112
다음으로 밝다.1등성이 만드는 다이아몬드겨울 별자리를 찾는 길잡이는 오리온자리다.
남쪽
하늘에 밝은 세 별이 나란히 빛나고 그 주위를 네 별이 사각형 꼴로 감싸면 오리온자리가 그려진다. 잘생기고 힘센 사냥꾼을 나타내는 별자리 모양은 방패연 같기도 하고 밤하늘을 밝히는 창문 같기도 하다 ... ...
한민족의 오랜 벗 한국개의 기원
과학동아
l
200112
뚜렷한 액단을 갖고 있다. 일본개도 한국개처럼 액단이 뚜렷한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일본
남쪽
끝의 유구 지방과 북쪽 끝단의 북해도에서는 얕은 액단의 개가 많이 발견된다. 유구견의 경우 50%가 액단이 얕은 개이고, 북해도견의 경우는 18%가 중간 정도의 액단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한국개는 중부 ... ...
이전
52
53
54
55
56
57
58
59
6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