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057건 검색되었습니다.
은하수로 떠나는 한여름밤의 꿈
과학동아
l
200108
두 별이 실제로 가까워지지는 않는다.화성에 대적하는 별 직녀와 견우를 꼭지점으로 해
남쪽
으로 삼각형을 그릴 수도 있다. 나머지별은 땅꾼자리의 라스알하게이다. 직녀와 라스알하게를 이어 지평선 가까이 내려오면 전갈자리의 안타레스를 찾을 수 있다. 안타레스는 전갈의 심장에 해당하며, ... ...
오누이가 타고 올라간 동아줄 미수
과학동아
l
200108
서양의 전갈자리가 된다. 오누이가 승천할 때 잡아탄 동아줄이 다름아닌 미수라고 한다.
남쪽
하늘에 S자처럼 길게 누운 전갈의 꼬리가 바로 그것이다.미수와 관련된 해님 달님 얘기에 다시 한번 귀기울여보자. 사람 잡아먹는 호랑이 얘기옛날 어느 산속에 세 아이를 키우며 사는 어머니가 있었다. ... ...
8월 혹한 이겨내는 남극동물 이야기
과학동아
l
200108
상당히 떨어지면 상당히 많은 숫자가 한꺼번에 나타나는 수가 있다. 아마도 세종기지
남쪽
에 있는 물개서식지역 부근의 바다가 얼면서 물개들이 먹이를 얻기 힘들어 바다가 얇게 얼거나 얼지 않은 곳을 찾아 함께 몰려다니는 것으로 생각된다.계절에 따른 해표와 남극물개의 변화는 먹이와 기후, 곧 ... ...
뒤집어본 제주도 지질 상식
과학동아
l
200107
산방산은 약 70만년전에 형성된 화산으로 제주도에서는 나이가 꽤 많은 암석에 속한다.
남쪽
사면을 자세히 살펴보면 벌집모양의 구명과 암석의 수직방향으로 기둥모양의 틈이 발달돼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벌집모양의 구멍은 타포니라고 불리는데, 풍화작용으로 생긴 구멍이다. 기둥모양의 ... ...
에이즈 연구 유전자칩으로 가속화
과학동아
l
200107
잃은 사람은 2천1백80만명, 지난해 말 현재 감염자는 3천6백10만명(이 가운데 사하라사막
남쪽
의 아프리카지역에만 2천5백30만명)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지난 한해에만 5백30만명이 감염된 것으로 집계됐는데, 이는 하루 1만5천명꼴인 수치다.하지만 아직까지 에이즈를 치료하기 위한 뾰족한 ... ...
여름밤에 펼쳐지는 달의 몰락 부분월식
과학동아
l
200107
mm나 24mm 렌즈를 쓰는 것이 좋다. 본영식이 시작되는 밤 10시 30분 경부터 끝날 때까지 달은
남쪽
하늘을 가로질러 오른쪽으로 35° 가량 움직이는 것을 참고해 구도를 정한다. 필름은 ISO 100 컬러필름이 적당하다. 연속 사진을 찍으려면 촬영간격은 5-10분 정도가 적당하다.이번 월식 때 카메라의 f수는 8이 ... ...
북두칠성은 어느 방향으로 돌까
과학동아
l
200107
추가로 고려해야 한다. 지난호에서 매일 같은 시각에 관측하면 지구의 공전 때문에
남쪽
하늘의 별은 약 1°씩 서진한다는 사실을 알았다.마찬가지로 지구의 공전운동으로 인해 북극성 주위 별은 매일 시계 반대방향으로 1°씩 더 회전한다. 따라서 문제(3)의 정답은 북두칠성이 1°×90일=90°만큼 더 ... ...
뜨거운 지구가 펭귄을 죽였다
과학동아
l
200106
그들의 주먹이인 크릴새우의 감소가 원인이었다.조그만 새우를 닮은 크릴새우는 남극의
남쪽
해양에 떼지어 사는 갑각류로 고래, 바다표범, 그리고 펭귄의 주식이다. 어린 크릴새우는 바다 빙산에 붙어사는 말류를 먹고 산다. 그런데 기온이 올라가면 바다 빙산이 줄기 때문에 말류가 감소하고 ... ...
13년만에 성큼 다가온 붉은 행성
과학동아
l
200106
매우 작은 모습이지만 의외로 대단히 다양하고 복잡하다. 어떤 망원경이든 손쉽게 화성
남쪽
끝에서 환히 빛나고 있는 극관을 볼 수 있다. 이 극관은 화성의 계절에 따라 크기가 달라지므로 이번에 화성이 접근할 때도 화성이 멀어질 때까지 장기적으로 관측해보면 변화를 알아낼 수 있다.이밖에 ... ...
별은 매일 4분씩 일찍 뜬다
과학동아
l
200106
해를 한바퀴(360°) 공전하므로 하루에 약 1°를 움직인다.따라서 전날 자정에 남중(천체가
남쪽
하늘에 가장 높이 걸리는 현상)했던 별은 다음날 자정에 남중하지 않고 오른쪽 그림에서처럼 반드시 서쪽으로 약 1°씩 치우치게 된다.이는 물론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는 시간이 별이 아니라 해를 ... ...
이전
54
55
56
57
58
59
60
61
6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