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남녘
남방
남녁
남향
남
남방셔츠
셔츠
d라이브러리
"
남쪽
"(으)로 총 1,057건 검색되었습니다.
7. 사막에 세워진 대피라미드
과학동아
l
200012
가장 특이한 점은 높이 20cm, 폭 22cm의 천체창이 있다는 것이다. 미국의 천문학자 트림블은
남쪽
의 환기구멍이 기원전 2600년에서 기원전 2400년경의 오리온자리 세별에 정확하게 조준돼 있다는 것을 발표했다.이것을 근거로 환기 구멍이라기보다는 천체창이라는 명칭으로 더 많이 불린다. 실제로 ... ...
우주속 숨은그림 찾기
과학동아
l
200011
커다란 멕시코모자와 똑같다. 이름도 멕시코모자를 뜻하는 ‘솜브레로’다.처녀자리
남쪽
까마귀자리에는 특이한 모양의 은하가 발견된다. 마치 곤충의 더듬이를 닮았다고 해서 ‘더듬이은하’로 불린다. 더듬이은하는 실제로 두개의 은하(NGC 4038/4039)가 충돌하고 있는 모습을 보여주는 끔직한 ... ...
내장산 단풍이 더 아름다운 이유
과학동아
l
200011
남부기후대의 개서어나무가 함께 있다. 또 내장산은 비자나무나 굴거리나무와 같이
남쪽
에 자라는 수종이 자랄 수 있는 북쪽 한계선이기도 하다.물론 내장산의 지형적인 요건이 단풍의 아름다움을 증가시킨다. 가을이 되면 천혜의 지형을 가진 내장산에서 다양한 식물들이 온갖 가을빛깔을 만들어 ... ...
붉은 시리우스가 청백색으로 변신한 사연
과학동아
l
200011
알리는 오리온자리의 1등성 베텔게우스다. 다시
남쪽
으로 눈을 돌리면 푸르게 빛나는
남쪽
물고기자리 1등성인 포말하우트를 발견할 수 있을 것이다. 이 두별은 확연히 다른 색의 대조를 느낄 수 있다. 색의 대비가 아름다운 별의 조합으로는 서쪽 지평선 위에 걸려있는 백조자리의 베타별인 ... ...
바위에 새겨진 고대인의 흔적 암각화
과학동아
l
200011
대체로 사람의 팔이 닿으며 조각을 새기는데 유리한 조건을 선택한 듯하다.강가 근처 동
남쪽
향해 위치그림이 새겨진 바위 면은 대부분 동향 또는 남향이어서 아침부터 저녁까지 햇볕을 받는다. 또 대체로 강가의 바위절벽에 위치한다. 암각화가 태양과 물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음을 직잠케 해주는 ... ...
향기속에 살다간 후각의 천재들
과학동아
l
200010
세상에 펼쳐진 향기의 풍요로움을 얼마나 인식하며 살아갈까?"과일의 향기는 나의
남쪽
고향,복숭아 과수원에서 뛰놀던 어린 시절로 나를 보낸다.냄새에 대해 생각만 해도 내 코는 지나간 여름과 무르익는 들판의 달콤한 기억을 일깨우는 향기로 가득 찬다."주위의 걱정스런 시선을 받으며 복숭아 ... ...
가을에 만나는 황도 별자리
과학동아
l
200010
된다.황도 제1궁은 양자리인가 물고기자리인가물병자리를 지난 태양은 안드로메다자리
남쪽
에서 황도 12궁의 마지막 별자리인 물고기자리와 첫째 별자리인 양자리로 올라온다. 물고기자리는 가장 밝은 알파별도 4등급에 지나지 않아 달빛이 없고 맑은 날에만 겨우 보이는데, 페가수스자리 사각형을 ... ...
러시아 툰트라
과학동아
l
200010
9℃, 염분은 32.3ppt으로 비교적 높은 온도를 나타냈다.8월 6일 오후 4시 10분경 콜구예브 섬
남쪽
에 이르렀다. 수심은 10m 이내. 바다의 수온은 9.6℃, 염분은 32.3ppt. 여전히 무르만스크 해류의 영향으로 높은 수온을 보였다. 이제야 왜 이 지역이 겨울에도 얼지 않는 부동항인지를 이해할 수 있었다.이곳 ... ...
극지 생존법
과학동아
l
200009
지점이다.흥미롭게도 극점에서는 방향을 정할 수 없다.북극에서는 어느 방향으로 가나
남쪽
방향이고,남극에서는 어느 방향으로 가나 북쪽 방향이다.극점으로부터 어느 곳으로나 한발짝 벗어났을 때에야 비로소 동서남북 방향이 생긴다.이 극점은 지구 자전축이 지나는 곳이다. 하지만 ... ...
우주의 등대 변광성
과학동아
l
200009
가을밤하늘에서 미라를 찾아보자. 페가수스 대사각형의 동쪽 변을 2배 정도 연장하면 동
남쪽
하늘에서 고래자리의 가장 밝은 베타별(2등성)을 찾을 수 있다. 고래자리에서 중간쯤에 있는 별이 역사상 처음 발견된 변광성 미라(오미크론별)다. 이 미라는 전형적인 맥동변광성으로 밝기 변화의 주기가 ... ...
이전
57
58
59
60
61
62
63
64
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