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별밭에 숨어 있는 보물 석호성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여름이 지나고 가을에 접어드는 9월. 초저녁의 밤하늘엔 여전히 여름의 대삼각형이 빛나고 있다. 이곳을 가로질러 남쪽으로 내려가는 은하수 또한 아 ... 밝다. 목성을 찾았으면 목성과 지평선의 중간 위치를 살펴본다. 눈에 보일 듯 말 듯한
작은
별이 하나 떠 있으면 이것이 바로 수성이다 ... ...
1. 미국 최악의 정전사태 맞은 이유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회로를 새기는 식각 장비는 전기 품질이 조금만 떨어져도, 즉 전기 구성요소에 아주
작은
변동이 있어도 안된다. 전기 품질은 반도체의 실패율과 직결된다는 얘기다. 성능은 기본, 신뢰성도 중요해다른 산업제품은 품질의 차이로 인해 시장에서 가격이 결정되지만, 중전기기 제품은 성능과 신뢰성 ... ...
10억분의 1세계에서 반도체용 소자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의 핵심소재로 주목받고 있다. 기존 브라운관이 하나의 큰 전자총으로 이뤄진 반면 FED는
작은
전자총이 많이 배열된 형태로 두께가 얇고 가벼운 디스플레이다. FED의 핵심기술은 전자총 소재를 개발하는 것인데, 최근 안정성이 뛰어나고 전자방출 효율이 높은 탄소나노튜브를 적용하는 연구가 ... ...
2 한국 2020년이면 비구름을 부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대기 중으로 이동해온 해염 입자가 응결핵으로 작용해 큰 구름입자가 생성되고, 이것이
작은
구름 입자를 병합하면서 성장해 비가 내린다는 것이다.빙정설에 속하는 구름에 대해서는 드라이아이스와 요오드화은이 쓰인다. 요오드화은 입자를 연소시켰을 때 발생하는 미립자가 영하 5℃ 이하에서 ... ...
거대 바위들의 장엄한 행렬 비슬산 돌강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있는 지형이기 때문에 학술적으로 매우 중요하다. 또한 등산로의 왼쪽에는 각진 형태의
작은
돌들이 좀더 급한 경사를 이루며 너덜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같은 화강암이라도 형성된 방식에 따라 다른 지형을 만들어낸 돌강과 너덜지대를 한번에 관찰할 수 있는 비슬산은 그 자체가 훌륭한 ... ...
패턴의 바다에서 솟아나는 직관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사이의 치열한 경쟁이 숨어있는 것이다.서로 결합해 상위의 좋은 스키마를 만들 수 있는
작은
스키마들이 풍부하게 있으면 유전알고리즘은 좀더 쉽게 진화한다. 그러므로 대체로 해집단의 크기가 크면 운영하는 염색체 수가 많아 내재한 스키마들도 훨씬 풍부해진다. 그렇지만 해집단이 커지면 ... ...
붉은별 화성이 다가온다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만년만의 화성 대접근을 그냥 놓쳐버릴 수 없다. 소형천체망원경으로 들여다보면 화성은
작은
원반형으로 나타난다. 목성이나 토성에 비해 더 작긴 하지만 의외로 훨씬 더 다양하고 흥미로운 모습을 볼 수 있다.소형망원경에서 보이는 화성의 표면은 전반적으로 붉고 남쪽 끝이 하얗게 보인다. ... ...
1 라면스프에서 휴대폰까지 진공장비 필수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칩 크기가 점점 작아질수록 칩 위에 새겨야 하는 모양도 더 조밀해진다. 따라서 매우
작은
입자도 칩의 동작에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공정에 사용되는 장비 안의 오염 입자가 많이 제거될수록 생산성이 높아지는 것이다.펌프로 뽑아내고 끈끈이로 붙인다진공기술이 응용되는 범위는 이처럼 점점 ... ...
원자핵마저 얼어붙는 극저온 실현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냉장고 등에서 온도를 낮추는 원리다. 압축기를 통해 만들어진 고압의 냉매가스가
작은
모세관 또는 팽창 밸브를 지나면 팽창하면서 저압으로 떨어지는데, 이때 기체의 온도가 내려간다. 물론 모든 기체가 언제나 고압에서 저압으로 팽창될 때 온도가 내려가는 것은 아니다. 기체마다 온도가 내려갈 ... ...
형제자매 해치는 동물들의 기막힌 사연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정도로 포식성이 아주 강하다. 그리고 도롱뇽은 동족을 잡아먹을 때 자신보다 몸집이
작은
쪽을 선호한다. 또 죽은 동족은 먹지 않고 살아 움직이는 쪽을 먹이로 선택한다. 본능적으로 움직이는 물체에 자극을 받기 때문이다. 물론 살아있는 도롱뇽 가운데 상대적으로 덜 활발한 도롱뇽이 먹히는 ... ...
이전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59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