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 세상 최강의 방패 양자암호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이론적으로 ${(3/4)}^{500}$이다. 3/4의 8제곱이 대략 0.1이므로,이는 1/10의 60제곱보다도
작은
수다. 따라서 흔적을 남기지 않고 해킹을 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렇게 양자암호체계는 도청이 있을 경우, 그 즉시 현장에서 해킹의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래서 양자암호를 현재까지 알려진 가장 안전한 ... ...
실험실에 떠오른 목성과 무지개
과학동아
l
2003년 08호
때 태양을 등지고 서면 반원형의 무지개를 볼 수 있다. 공기 중에 떠있는 수천-수만개의
작은
물방울은 프리즘 역할을 한다. 빛이 물방울을 통과한 후 여러가지 색깔로 분리돼 나타난 것이 바로 무지개다.검은 도화지에 붙인 미세한 유리구슬은 공기 중에 떠있는 물방울과 같은 역할을 한다. 불빛을 ... ...
두번째 대멸종은 운석 충돌 때문?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억8천만년 전에 지구에 떨어진 운석은 공룡을 멸종시킨 운석의 크기인 직경 10km보다 조금
작은
편일 것”이라고 예상했다. 그러나 영국 자연사박물관 노만 맥레오드 박사는“이 시기의 대멸종 사건이 오랫동안 진행된 사건이라는 점에서운석 충돌이 가장 큰 멸종 원인이라고 단정할 수는 없다”고 ... ...
핏빛으로 물든 괴물 기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것이다. 이와 유사한 과정은 성운의 상부 왼쪽에 보이는 별 하나를 둘러싼 가스에서도
작은
규모로 일어나고 있다. 잘 보면 붉은빛이 활 모양을 하고 있다. 이 활 모양의 구조만 해도 태양계 지름의 65배나 되는 크기다.아울러 별에서 뿜어져 나오는 자외선은 어두운 성운의 가장자리에 열을 가하고, ... ...
쌍둥이 로버 화성으로 향하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하면 관절염이 완치되는 것은 미생물을 직접 이용하는 좋은 예이다바이러스와 그 밖의
작은
병균을 다른 병균이 침식하게 함으로써 치료하는 경우도 있다 미생물을 연구재료로 사용하는 유전학의 한 분야 1941년에 미국의 G W 비들과 E L 태텀이 자낭균의 일종인 붉은곰팡이를 사용한 생화학적 ... ...
인공지능학자 커츠와일 '매트릭스 실현가능성 높다' 예측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현실과 식별할 수 없는 가상현실 기술이 가능하다고 예측한다. 그때면 인간의 혈구보다
작은
로봇인 나노봇이 완전몰입형 가상현실을 제공할 것이라고 한다. 어떻게 가능할까. 수십억대의 나노봇이 시각, 청각 등 모든 감각으로부터 나오는 뉴런 간 연결조직 근처에 자리잡는 방법을 사용한다 ... ...
3 근육 단백질로 100% 효율의 모터 만든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수 있게 해주는 것으로 밝혀진 다이네인, 세포 내에서 물질들을 운반하는 세계에서 가장
작은
화물차인 키네신 등이 모터 단백질이다. 이들 모터 단백질의 생체 내 기능을 나노소재로 이용하려는 시도가 꾸준히 이뤄지고 있다. 이 외에도 DNA 자체를 하나의 소재로 개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DNA가 ... ...
지수귀문도 해결의 열쇠 유전알고리즘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나중에 좋은 해에 기여할 수 있는
작은
패턴들이 숨어있다. 진화의 과정을 통해 이런
작은
패턴들이 결합돼 점점 더 큰 패턴을 만들어가는 과정이 유전알고리즘이다. 이런 패턴들을 ‘스키마’라고 하는데,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다음 연재에서 다룬다.스티븐 레비는 그의 저서 ‘인공생명’ ... ...
신의 입자 검출하려는 노력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투과측광 · 흡수측광 · 형광측광 · 편광측광 장치를 꾸며 시스템화한 것
작은
것을 확대해 본다는 지금까지의 현미경 사용방법에서 발전하여 시료에 자외선을 대고 거기에서 나오는 형광을 측정하는 등 현미분광형광 수법을 사용하게 되어 그 목적에 맞는 현미경이 만들어지게 되었다생화학 · ... ...
노안 부르는 수정체 변화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잡아당겨 수정체를 얇게 만든다. 얇은 수정체는 굴절력이 작으므로 빛이 통과하면서
작은
각도로 꺾인다. 정상 시력을 가진 눈에서는 이렇게 수정체의 두께가 변하기 때문에 항상 물체의 상이 망막에 정확히 맺힌다.1850년 독일의 헬름홀츠 박사는 나이가 들면 수정체 자체의 탄력성이 감소하기 ... ...
이전
591
592
593
594
595
596
597
598
59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