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화를 말로 바꿔주는 장갑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부분에 기류에 근소한 각도를 갖게 하여 八자형으로 나란히 부착시킨 5cm 각 정도의 극히
작은
날개를 말한다영국의 기상학자 F 보퍼트가 제안한 풍력계급 풍속계가 만들어지기 이전의 것으로 연기가 똑바로 올라가는 정온상태를 0으로 하고 태풍에 동반된 심한 폭풍을 12로 하여 등급구분을 1 ... ...
3 분자 하나로 컴퓨터 메모리 기능 수행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크기다. 또한 유기물은 원하는 크기로 쉽게 설계할 수 있다. 게다가 최근에는 이렇게
작은
유기분자가 정보를 처리하는 트랜지스터의 기본특성인 전류의 on/off를 구현하고 신호의 증폭 기능도 갖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유기분자들을 레고쌓기처럼 조립하면 집적회로를 제조하는 일이 ... ...
3 레이저빔 발사해 안개를 거둔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한다.제트비행기 엔진 열로 안개 증발이온화된 흡습성 물질을 뿌려주면 안개를 이루는
작은
물방울들이 이온화된 흡습성 물질의 음이온에 의해 반대전하를 띠게 된다. 따라서 흡습성 물질과 물방울 간 정전기가 발생해 서로 끌어당기게 된다. 그 결과 수증기가 이 물방울에 증착돼 결국 빗방울이 ... ...
인간과 공동조상 가진 진흙 생명체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제노튜벨라는 지금것 발견된 무척추동물 중에서 가장 인간과 가까운 친척이다”며 “이
작은
동물이 인간처럼 오랜 시간을 진화해왔다는 사실은 정말 흥미롭다”고 밝혔다.과학자들은 이번 연구가 인간의 오랜 진화과정을이해하는데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지금까지 제노튜벨라에 ... ...
밤하늘 별은 7천억의 1천억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어두워지는 우주드라이버 박사가 별들의 개수를 직접 센 것은 물론 아니다. 밤하늘의
작은
부분을 선택해 강력한 망원경으로 약 1만개의 은하를 찾아냈고 이 은하들의 밝기를 세밀하게 측정해 개개의 은하에 포함된 별들의 수를 계산해냈다. 그 다음에 전체 밤하늘로 확장했고 관측 가능한 우주의 ... ...
꼬마 소금쟁이가 물위에서 걷는 비결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흐름을 추적하기 위해 머리카락 굵기 정도인 50-1백μm(마이크로미터, 1μm=${10}^{-6}$m)의
작은
입자를 물에 뿌렸다. 그리고 이 입자가 물의 흐름에 따라 이동하는 흔적을 눈으로 확인하기 위해 물에 식용색소와 지시약인 티몰블루를 넣어서 색을 냈다.비디오카메라의 영상을 분석한 결과, 연구팀은 ... ...
1 무기여 안녕! 유기전자공학 시대 도래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전기적으로 자극해주는 인공망막이 그렇다. 현재는 눈에 이식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전기시스템을 만드는데 무기물이 이용된다. 하지만 무기물은 인체 내 단백질과 같은 생체물질에 잘 이식되지 않는다. 유기물은 생체물질을 이루고 있기 때문에 이 문제를 단박에 해결해줄 수 있다.이처럼 ... ...
1 태풍잡는 사나이로 변신한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변환해 지구의 수전소로 전력을 전송하는 것이다.그의 계산에 따르면 상대적으로
작은
수km 지름의 태양전지판을 갖는 우주태양광발전소로도 10억W 이상을 생산할 수 있는데, 이것으로 태풍이나 토네이도에게 상당한 타격을 손쉽게 줄 수 있다. 다만 여기에 쓰일 마이크로파 레이더 시스템은 ... ...
과학을 입힌다 첨단도료의 세계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열에 쉽게 분해되지 않는 물질, 즉 분해반응이 일어나는 온도가 높은 물질을 사용하면
작은
열의 발생이 화재로 진행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난연성 도료에서 분자구조 설계를 통해 열적으로 안정화한 고분자 물질이 도막에 형성되도록 하는 이유다.한편 난연성 도료에서는 인계화합물이라는 ... ...
어린 블랙홀 수 늘고 있다
과학동아
l
2003년 09호
것으로 생각돼 왔다. 그러나 관찰 결과 거대 블랙홀은 기존의 생각처럼 죽어가고 있지만
작은
블랙홀은 오히려 수가 늘고 활동력이 증가하고 있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 ...
이전
588
589
590
591
592
593
594
595
59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