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d라이브러리
"
작은
"(으)로 총 8,654건 검색되었습니다.
하늘처녀 옆에 떨어진 밀짚모자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동쪽으로 약간 떨어진 곳에 위치하고 있다. 맨눈으로 보기에는 너무 어둡지만,
작은
망원경으로는 쉽게 발견할 수 있다.솜브레로가 특이하게 모자 모양을 하게 된 이유는 무엇일까. 솜브레로의 사연을 처녀자리에 내려오는 이야기에서 찾는다면 억지일까.처녀자리에는 몇가지 신화가 전해져 오는데, ... ...
3 2020년에는 사이버 섹스도 가능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0.005N(뉴튼, 힘의 단위로 1N은 1kg의 물체에 1m/s2의 가속도를 더해주는 양)이다. 즉 0.005N보다
작은
힘은 제대로 느낄 수 없다. 또 사람은 손가락 끝으로 머리카락 굵기의 1백분의 1 정도인 1μm의 미세한 높이 차이를 구분할 수 있다. 따라서 촉감재생기술은 이런 미묘한 수준의 힘을 재생하는 정밀도가 ... ...
2003 제2회 닮고 싶고 되고 싶은 과학기술인의 끼끈꾀꿈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사망일을 기념해 4월 19일을 ‘과학데이’로 정한 적이 있다. 불과 이틀 차이지만 결코
작은
차이로 느껴지지 않는다.또 우리의 과학사를 세계 속에서 바라보는 큰 안목을 지녀야 한다는 점을 알리고 싶다. 한국 역사는 특히 19세기 이후는 세계사의 한 부분일 수밖에 없다. 역사를 연구하는 사람들과 ... ...
물 이용한 새로운 발전법 개발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않는 전기생산방법이라 더욱 주목을 받고 있다”며 “휴대전화나 전자계산기처럼
작은
전자제품에 사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앞으로의 연구를 통해 상업용 전지를 만들 것으로 내다봤다. 영국 런던 임페리얼 칼리지의 존 기빈스 박사는 “대규모 전력은 생산이 어렵다”면서도 ... ...
근대화학의 아버지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위해 인공적으로 공기가 흐르도록 만든 장치바닷물 하천 호수의 물 속에 떠돌아 다니는
작은
생물 운동력이 매우 약하기 때문에 자기 자신이 잘 방향을 잡지 못하고, 조류(潮流)에 따라 떠돌아 다니면서 번식한다 이 때문에 부유(浮游)생물이라고도 불린다 종류는 크게 그 상태와 형태에 따라서 ... ...
바람난 제주 돌담 태풍을 막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표현이라고 할 수 있다. 척박한 환경 속에서 개인의 힘은 너무나 미약하다. 돌담에는
작은
힘 하나하나를 모아 자연환경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며 함께 살아가고자 하는 의지가 고스란히 스며든 것이다. 갈등과 반목, 대립의 현대사회를 살아가는 우리들에게 사상 최대의 폭풍에도 무너져 내리지 않은 ... ...
비스킷은 왜 부서질까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가장자리에서는 팽창이 일어난다. 이때 수축과 팽창에 의해 발생하는 힘 때문에 점차
작은
균열들이 생기고 결국 비스킷이 부서진다.살림씨의 지도교수 리키 윌드먼 박사는 “비스킷을 보통 때보다 낮은 온도에서 오랫동안 구움으로써 비스킷 내에 있는 수분 함량의 변화를 줄여 잘 부서지지 않는 ... ...
물리학이 경락의 실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구조적, 화학적 분석을 하기에는 채취된 샘플의 길이가 너무 짧았다. 또 이때는 그
작은
조각이 봉한관인지를 판단하기가 어려웠다.혈관 속 세포핵과 다른 모양 발견흰쥐와 토끼를 이용해 이같은 반복 실험과 실패를 거듭한 끝에 2003년 6월김봉한박사가 주장한 혈관 내 실같은 구조를 확인하는데 ... ...
목성 탐사선 갈릴레오호가 남긴 것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이후 갈릴레오는 2002년 11월 이전보다 목성에 더 가까이 가며 이오 크기의 10분의 1보다 더
작은
위성 아말테아를 탐사하고 목성의 고리와 가장 안쪽의 자기권을 조사했다. 2003년 9월에는 목성의 대기에 정면 충돌하며 마지막 미션을 마쳤다. 탐사선의 연료가 다됐기 때문에 훗날 통제 불능 상태에 빠져 ... ...
페트병 속에 가둔 구름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온도가 내려간다. 수증기가 응결해
작은
물방울이 돼 모인 것이 구름이다. 공기 중
작은
먼지나 연기가 응결핵 역할을 한다.뚝딱 실험2 인사하는 페트병■왜 그럴까?!공기는 눈에 보이지 않지만 부피와 질량을 갖고 있다. 바닥을 잘라낸 페트병 안에도 공기가 있다. 따라서 물속에 넣으면 물이 페트병 ... ...
이전
586
587
588
589
590
591
592
593
59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