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으로 밝혀낸 걸음걸이의 비밀
수학동아
l
2015년 09호
로봇미국 코넬대 기계항공공학과 호드 립슨
교수
와 버몬트대 컴퓨터과학과 조시 본가드
교수
공동연구팀은 바닥에 불가사리처럼 납작하게 누워 있다가 다리를 세우면서 일어나 걸어 다니는 ‘스타피쉬’ 로봇을 만들었다. 이 로봇은 관절마다 센서가 붙어 있어서 갑작스러운 신체 변화에 스스로 ... ...
PART5. 어떻게 살 것인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안 좋을 것이다.이 : 그래서 나는 항상 긍정적으로 살려고 노력한다. 노 : 그래서 이대엽
교수
가 항상 그렇게 웃으셨구나(웃음).▼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PART2. 세포의 DNA 사용 설명서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PART4. 그들이 ‘변신’하는 ... ...
공기 나빠도 운동은 하고 보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게 낫다’는 게 과학자들의 결론이다. 덴마크 코펜하겐대 공중보건학과 조라나 안데르센
교수
팀은 정부가 코펜하겐과 아르후스 지역에서 실시한 대규모 코호트 조사를 분석했다. 코호트 조사는 50~65세 주민 5만2061명이 하고 있는 운동 종류와 정도, 해당 지역의 대기오염 정보를 1993년부터 1997년까지 ... ...
비만 탓 남성 유방암 증가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지수(BMI)가 25 이상인 남성은 혈중 여성호르몬 농도가 평균보다 높았기 때문이다. 스피어
교수
는 “남성 유방암 환자의 90%는 여성호르몬 수용체가 발달해 있다”면서 “여성호르몬이 유방암 세포를 자극해 성장시켰다는 간접증거로 볼 수 있다”고 밝혔다 ... ...
‘펜타쿼크’ 반세기 만에 발견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찾았다는 보고는 이전에도 수차례 있었다. 2002년에는 일본 오사카대의 나카노 타카시
교수
팀이 X선으로 탄소원자를 분쇄해 펜타쿼크를 발견했다고 보고해 화제가 됐지만 3년 뒤 착오로 밝혀졌다. CERN 연구진은 이번 발견이 10시그마의 정확도라고 설명했다. 이는 검출된 데이터가 펜타쿼크가 아닐 ... ...
[핫이슈] 남북 과학 협력하려면 말부터 합쳐야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20여 년 전, 남북고위급 회담 당시 남한을 방문한 북한 대표단이 남한 측에 비공식적으로 요청한 사항이 있었다. ‘물코끼리벌레(Bagous kagiash)’라는 해충을 박멸할 살충제를 지원해달라는 부탁이었다. 하지만 남한은 이 부탁을 들어주지 못했다. ‘물코끼리 벌레’가 어떤 생물인지 아무도 이해하지 ... ...
[핫이슈] 폭염은 재난이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사망자 수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열에 지친 몸을 회복할 시간이 없기 때문이다. 하
교수
가 1964년부터 2008년까지 조사한 서울지역의 열대야 증가추세는 무섭다. 100년 동안 13일이 늘어나는 속도기 때문이다. 밤에도 지표가 식지 않는 날이 계속되면서 폭염지속일수도 덩달아 증가한다.유엔 산하 ... ...
수학으로 그리는 생명의 나뭇가지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교수
를 만난 자리에서 이렇게 물은 적이 있다. “미적분학은 왜 이렇게 어려운 건가요?”
교수
는 당황스러운 듯 잠시 말이 없었다. 머쓱했다. 잠시 뒤 그가 입을 열었다. “세상이 원래 복잡해서 그렇습니다. 이렇게 복잡한 세상을 토대로 만든 수학 모델이 쉽다면, 그게 더 이상하지 않겠어요?” ... ...
우주론을 바꾼 역사 뒤편의 영웅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허먼으로서는 무척 화가 나는 일이었지만, 이 주제로 박사학위를 줄 수 있는 유일한
교수
가 바로 가모프였기 때문에 선택의 여지가 없었다. 실상 우주 핵생성 문제를 푸는 데 가모프는 거의 도움을 주지않았다. 하지만 사람들은 빅뱅이론을 말할 때 가모프를 이야기하지 앨퍼와 허먼의 이름은 거의 ... ...
“ 해상 안전의 첫 걸음은 바다를 이해하는 것”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저는 둘 다 경험해 본 케이스예요. 회사에서 10년 정도 일을 하다가 다시 공부를 해서
교수
가 됐거든요. 둘 다 경험해보니 각각 장단점이 있어요. 연구를 하게 되면 본인이 궁금했던, 알고 싶었던 연구 주제를 깊이 공부할 수 있어요. 반면 회사는 깊이 있는 공부는 어렵지만 본인이 알고 있는 이론을 ... ...
이전
573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