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1. 후성유전학이 태어나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저장하는 유일한 수단이 아니라는 것을 시사한다. 1996년 미국 록펠러대 데이비드 앨리스
교수
가 원핵생물인 테트라하이메나(Tetrahymena )에서 히스톤 아세틸기전달효소를 발견했다. 이 효소는 히스톤의 아미노산 중 라이신에만 아세틸기를 붙이는 역할을 한다. 더욱 중요한 사실은 아세틸기전달효소가 ... ...
PART2. 무서운 공포영화엔 이런 장면 꼭 있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가지 수치가 전부 작으면 풍부한 음색이라고 평가한다. 이시훈 계명대 미디어영상학부
교수
는 논문 ‘목소리 구성 요소의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 ‘음색이 빈약한 목소리에 비해 음색이 풍부한 목소리인 경우 화자에 대한 공신력 평가가 더 높다’고 밝혔다. 즉, ‘이 동영상을 보면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지식과 교양을 과시할 수 있는 중요한 내용을 적어야 한다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다. 안
교수
는 “조선 중기 이후로는 한문시나 산문 속에서 음식과 관련된 이야기가 급격히 늘어난다”며 “사람들이 음식을 만들고 먹는 일을 중요하게 여기기 시작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조선 시대 음식 ... ...
[과학뉴스] GPS로 졸음운전 막는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한 뒤, 차량이 정상적으로 움직이지 않으면 경고음이 울리는 GPS 장비를 시험했다. 필처
교수
는 “GPS 장비는 생체측정 기술을 이용하는 기존의 졸음방지 장치에 비해 정확도가 높고 간편했다”며 “운전 중에 핸드폰을 보거나 바닥에 있는 물건을 집는 행동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 ... ...
아내에게 바치는 마지막 논문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도
교수
는 논문 출판을 위해 병상에서도 연구를 지도한 것으로 알려졌다. 남편 류
교수
는 “연구가 백신이나 항체 같은 질병 치료제를 개발하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란다”고 밝혔다 ... ...
공유경제 ‘프로포즈 공식’으로 거듭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거래 후 시장을 떠나게 하는 방법이다.이런 알고리듬은 실제 시장에 반영됐다. 앨빈 로스
교수
는 병원들이 의대 졸업생들에게 레지던트 자리를 제안하는 방식이 잠정 수락 알고리듬이라는 것을 증명했다. 2003년에는 고등학교에 학생을 배정하는 데 잠정 수락 알고리듬을 활용하자고 제안했다. 200 ... ...
[Knowledge] 한-미 협력으로 중국발 초미세먼지 밝힌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수도 있겠지만, 단순히 문제제기만 해서는 외교문제만 생기고 실익이 없을 수 있다. 민
교수
는 “중국도 대기오염으로 골머리를 앓고 있는 만큼, 기술적 대안을 함께 제시하는 쪽으로 접근해야 중국 과학계에서 받아들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단순화시킨 세 단계 반응에서, A와 B가 언제 ... ...
임미희 자연과학부
교수
- 알츠하이머 고치는 화학자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환자 가족들이 뜨개질로 만든 수제품을 팔아 번 돈으로 연구비를 지원하기도 한다. 임
교수
의 첫 연구비도 그들이 지원한 돈이었다.“알츠하이머도 평범한 질병이에요. 이 사실을 자연스럽게 받아들이는 사회가 돼야 연구도, 치료제 개발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어요. 우리나라가 그렇게 변한다면 ... ...
밤마다 그린라이트를 켜는 귀신버섯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밤에 빛을 내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어요. 그런데 최근 미국 가이젤의대 제이 던랩
교수
팀은 귀신버섯이 내는 빛이 곤충을 더 불러들여 포자를 퍼뜨리는 역할을 한다는 것을 알아냈어요.연구팀은 우선 버섯을 채취해 일정 온도를 유지하며 관찰했어요. 그 결과, 가장 빛을 많이 내는 시기는 2 ... ...
순간 포착! 아기별의 진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아래위로 나오는 형태)으로 계속 변하고 있다는 걸 확인할 수 있었어요. 2013년 김순욱
교수
와 김정숙 박사의 연구 결과가 입증된 셈이에요. 연구팀은 ‘앞으로 아기별이 왜 분출물의 방향을 바꾸는지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어요.사람들은 우주가 어떻게 생겨났는지, 어떻게 진화하는지 ... ...
이전
574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