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개굴~ 개굴~ 개구리, 노래를 한다~♪ 아들 손자 며느리~ 다~ 모여서~♬’개구리가 우는 계절이 돌아왔어요! 겨우내 딱딱하게 언 땅에서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들은 봄이 되면 앞다투어 즐겁게 노래하기 시작하지요. 그런데 정말 가족이 다 모여 반가워서 노래할까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 걸까 ... ...
[지식] 슬쩍 슬쩍 글 도둑 표절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정도다. 비슷한 정도가 1000점인 두 문서가 우연히 만들어질 확률은 십만 분의 일이다. 조
교수
는 “범죄 현장에서 얻은 혈흔으로 유전자 검사를 해 범인을 찾는 원리와 비슷하다”고 덧붙였다.말뭉치★ 글을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형태로 바꿔 모아 놓은 자료.글쓰기는 정직하고 안전하게요즘은 ... ...
[생활] 이종필
교수
와 백북스 수학아카데미 사람들 우리도 아인슈타인이 될 수 있을까요?
수학동아
l
2015년 08호
한 물리학자가 대중 강연 자리에서 “미적분을 알면 세상이 달라 보입니다”라고 말하자, 사람들의 눈빛이 반짝였다. 수학에는 거의 문 ... 오는 9월부터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케이무크(K-MOOC)’에서 제공할 예정이다. 이
교수
의 전국민 아인슈타인 만들기 프로젝트는 이렇게 계속된다 ... ...
감정은 마음먹기에 달렸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난다. 최근 ‘실험심리학 저널’에 실린 미국 하버드대 비즈니스 스쿨 앨리슨 브룩
교수
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나는 지금 불안한 게 아니라 신난 것’이라고 감정을 재평가하는 것이 긴장을 푸는 데 훨씬 효과적이다.연구팀은 참가자들에게 발표를 하거나 수학시험을 보게 해 긴장도를 높였다. 그 ... ...
익숙하지만 낯선 이름들, V와 Hz 그리고 W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History볼트와 헤르츠Ⅰ전압의 단위인 V(볼트)는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알레산드로 볼타의 이름에서 따왔다. 볼타는 최초로 화학적인 방법으로 전지를 만들었다. 볼타 전지라 불리는 이 장치는 구리판과 아연판을 여러 층으로 쌓고 이들을 묽은 황산용액에 넣어 만든다. 구리·아연 층이 쌓일수록 전압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➍ 나트륨 줄이기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가장 좋은 건 적게 먹는 것이다. 좋다고 많이 쓰면 결국 더 많은 나트륨을 먹게 된다. 이
교수
는 “일반 정제소금보다 나트륨 함량이 적은 천일염도 많이 먹으면 나트륨이 몸에 쌓인다”고 강조했다. 윤은경 식품의약품안전처 연구관도 “나트륨 사용을 줄이려면 식습관 개선이 먼저”라고 밝혔다 ... ...
INTRO. 쌍둥이는 왜 다를까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물었다. 번쩍 손을 든 기자는 “나와 똑같은 DNA를 가진 유일한 사람입니다”라고 답했다.
교수
가 반문했다. “그럼 일란성 쌍둥이는?” “….”사람이 붐비는 신도림역에서 첫 쌍둥이를 만났다. 홀로 인터뷰에 나온 김영채 씨는 미술을 전공한 대학원생이다. 그녀의 쌍둥이 언니 역시 대학에서 ... ...
PART3. 쓰레기 RNA가 암 정복한다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가장 처음으로 도전할 질병치료 분야다. 1983년에 미국 존스홉킨스대 앤드류 페인버그
교수
는 인간 암세포에서 특정 유전자의 메틸화 정도가 정상세포에 비해 현저히 낮다는 것을 발견했다. 암과 후성유전학의 관련성이 처음으로 입증된 것이다. 최근에는 국제암유전체연구단이 50여 가지 암과 DNA ... ...
PART4. 그들이 ‘변신’하는 이유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유연한 유전자의 비밀은 후성유전학식물은 빛과 토양의 상태에 따라 다르게 생장할 수 있다. 빛이 충분한 경우에는 이를 효과적으로 이용하기 위해 잎을 넓게 발달시킨다. 반대로 빛이 부족하면 잎의 크기를 줄이고 보다 나은 빛 환경을 찾을 수 있게 줄기를 길게 만든다. 질소가 풍부한 토양을 만 ... ...
9년의 기다림, 몇 초의 만남
과학동아
l
2015년 08호
논란은 절정에 달했다. 에리스를 발견한 미국 캘리포니아공대(칼텍)의 마이클 브라운
교수
는 “명왕성이 행성이라면 이들 천체 역시 행성이라고 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IAU는 수년에 걸친 논의 끝에 2006년 8월 24일, 행성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내렸다. “태양의 주위를 돌고 있어야 하며, 자신의 ... ...
이전
575
576
577
578
579
580
581
582
58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