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교수"(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 “세상 모든 문제를 해결하는 학문, 컴퓨터공학”과학동아 l2015년 10호
- 기술을 연구하고 있습니다.자신의 가능성을 파악하려는 노력, 실천할 용기이선민 교수님의 학부 전공은 전자공학인데, 어떻게 전공을 바꿀 생각을 하셨나요?전병곤 4학년 때 컴퓨터공학부에서 개설된 알고리듬 수업을 우연히 듣게 됐어요. 근데 너무 재미있는 거예요. 다른 학생들보다 조금 ... ...
- 당구공에서 인공심장까지! 플라스틱의 변신어린이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런 단점을 극복하고 금속만큼 단단해진 플라스틱이 있어요. 인하대학교 심봉섭 교수가 참여한 미국 연구팀이 금속만큼 단단한 플라스틱을 만들었거든요.연구팀은 단단하면서도 깨지지 않는 진주표면에 주목했어요. 진주는 총 3개의 층으로 나뉘어 있어요. 그중에서도 가장 바깥쪽의 표면을 ... ...
- [지식] SOS! 스마트폰 중독 벗어나기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특히 통제계수가 작은지(통제를 못함) 큰지(통제를 잘 함)에 따라 결과가 매우 달랐다. 배 교수팀은 앞으로 인체와 심리를 좀 더 정확하게 반영한 디지털중독 수학 모형에 대해 연구할 계획이다. 중독은 청소년에게 특히 위험하다전문가들은 특히 청소년이 디지털 중독에 빠질 확률도 높고 그 위험도 ... ...
- [지식] 접기+자르기+수학=무한한 가능성!수학동아 l2015년 09호
- 판자에 기본 패턴을 그리고, 레이저로 오려서 끼우는 방식으로만 작품을 완성했다.하트 교수처럼 한 가지 기본 패턴을 이용해 작품을 만드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의 기리가미 작가들은 여러 종류의 기본 패턴을 활용해 유명한 건축물이나 구조물, 또는 창작물을 만들곤 한다. 수학자들의 즐겁고 ... ...
- [Life & Tech] 비만? 고기보다 음료수가 문제!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당을 섭취하면 열량은 높고 포만감은 적어서 조금 있다가 또 음식을 먹기 마련이다. 송 교수는 “음료를 통해 흡수한 당은 흡수가 빨라 혈당을 급격히 올리기 때문에 우리 몸에 혈당 쇼크를 줄 수 있다”고 설명했다. 미국 식생활지침자문위원회도 이번에 처음으로 탄산음료를 통한 설탕 섭취량을 ... ...
- [과학뉴스] 테트리스가 만병통치약?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비해 음식, 커피, 수면 등에 대한 욕구가 평균 13.9% 낮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안드라데 교수는 “우리가 욕구를 해소할 때와 테트리스와 같은 게임을 할 때 일어나는 정신적 과정이 비슷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 ...
- [과학뉴스] 장거리 주자도 뛰는 건 괴로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너무 낀다는 가벼운 불평부터, 상스러운 욕설까지 불평의 종류도 다양했다. 셔면 교수는 “기억에 의존하지 않고 장거리 주자들의 생각을 모은 최초의 연구”라며 “GPS 등을 활용해 달리는 도중에 한 생각과 성적의 상관관계를 밝힐 것”이라고 밝혔다. 이 연구는 ‘운동과 운동심리학 국제저널’ ...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과학동아 l2015년 09호
- 탄산음료처럼 톡톡 쏘는 와인이다.정확한 성분 분석에 나선 프랑스 랭스대 필리프 진뎃 교수는 170년 전과 현재의 베브 끄리꼬 뽕사르당을 직접 비교했다. 분석 결과 가장 눈에 띄는 것은 당도였다. 170년 전 샴페인에는 설탕이 리터당 150g이 들어있었다. 오늘날의 샴페인의 리터당 설탕 농도는 6~8g ... ...
- [Knowledge] 에너지를 태워주는 너란 지방, 베이지색지방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이어질지도 아직 미지수기 때문에 다이어트 약을 논의하기엔 이르다”고 말했다.최 교수의 설명은 이렇다. 비만인 사람과 마른 사람이 함께 오랜 시간 추운 곳에 있었다고 하자. 두 사람을 PET-CT로 촬영하면 마른 사람에게서 더 많은 양의 갈색지방이 발견된다(116쪽 PET-CT 사진 참고). 이 결과를 두고 ... ...
- Part 2. 현대수학은 ‘편미방’을 모른다?과학동아 l2015년 09호
- 일어난다. 컴퓨터 그래픽으로 만든 불꽃이 어색해 보이고 일기 예보가 틀리는 이유다.채 교수는 “현대 수학은 편미분방정식을 이해할 준비가 아직 덜 돼 있다”고 덧붙였다. “‘3 이상 지수의 거듭제곱수는 같은 지수의 두 거듭제곱수의 합으로 나타낼 수 없다’는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 ...
이전56957057157257357457557657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