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교수님
교사
가르치기
수업
교육
정교수
선생
d라이브러리
"
교수
"(으)로 총 12,487건 검색되었습니다.
[Hot Issue] 조선시대에도 5차 방정식을 풀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4월이 윤달이다.’이 경쟁에서 승리하기 위해선 적절한 과학적 근거가 필요했다. 김
교수
는 “자신의 주장을 설득시키기 위해서는 반드시 산학 공부가 필요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당쟁에서 계속 밀린 문인들은 더 높은 관직으로 오르기가 어려웠다”며 “결국 조선시대에도 산학은 승진을 ... ...
[과학뉴스] 짠물에 버티는 식물, 식량문제 해결할까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높은 환경에서 자라게 했을 때, 정상 애기장대보다 성장이 더딘 것을 확인했다. 퍼슨
교수
는 “식품 생산의 큰 걸림돌이었던 염분을 극복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고 말했다. 이 연구는 ‘셀’ 9월 4일자에 실렸다 ... ...
[Life & Tech] 세상이 궁금한 수원청개구리의 외출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방사했기 때문에, 이 논에서만 모두 150마리의 수원청개구리가 자연으로 돌아갔다. 장
교수
는 “이 가운데 10%(15마리) 정도만 살아 나가도 큰 성공일 것”이라며 “방사가 성공할 수 있도록 3일마다 와서 모니터링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 ...
[Hot Issue] 남의 고통은 나의 행복?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교수
는 질투가 인간의 유일한 본성은 아니므로 좌절할 필요가 없다고 말한다. 김
교수
는 “사람은 악하고 선한 본성을 모두 가지고 있다”며 “만 2세 미만의 어린 아이도 다른 사람에게 자기 음식을 줄 때 기쁨을 느낀다거나 자기보다 다른 사람을 위해 돈을 쓸 때 더 큰 행복감을 느낀다는 연구 ... ...
호모 에렉투스, 요리의 비밀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5년 10호
깨물 때 들렸던 소리가 클수록 감자칩이 더 신선하고 바삭하다고 평가했지요. 스펜스
교수
는 이 연구로 2008년 이그노벨상 영양학상을 수상했답니다. 특별 인터뷰 맛있는 요리 비결은 ○○이다?이번에는 맛있는 요리 비결을 찾기 위해 두 팀을 만나 봤어. 바로 요리하는 실험실 모더니스트 ... ...
[수학뉴스] 3차원 모형으로 밝힌 돌연변이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속 시원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습니다. 그런데 최근 미국 하버드대 수학과 마틴 노박
교수
팀이 종양 구조를 3차원으로 분석함과 동시에 유전적인 변화까지 설명할 수 있는 수학 모형을 ‘네이처’ 8월 26일자에 발표했습니다.종양 구조와 유전적 특징을 동시에 나타내는 모형은 처음입니다. 종양의 ... ...
[수학뉴스] 수학으로 푼 몸속 시계의 원리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하나가 있을 때보다 여러 개가 있을 때 더 안정적인 리듬을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김
교수
는 “모형으로 먼저 모의실험을 하게 되면 실제로 해야 하는 실험 횟수를 줄여 전보다 쉽고 빠르게 연구 결과를 얻을 수 있다”며 “수리생물학 연구를 진행해 생물학 실험에서 봉착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 ... ...
[스마트하게 날아오르다 DRONE] PART2 똑똑한 드론의 임무 수행기!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계산도 더 복잡해집니다.군집드론은 예술 공연에도 쓰일 수 있습니다. 라파엘로
교수
는 아티스트 그룹 버라이어티 판당고스튜디오와 함께 ‘불꽃’ 공연을 기획했습니다. 드론에 예쁜 옷을 입히고 불빛을 내도록 했죠. 거실을 고요하게 밝히던 전등이 집밖으로 뛰쳐 나와 신이 난 듯 하늘을 날며 ... ...
Part 2. 물거품은 매듭을 알고 있다
수학동아
l
2015년 10호
된다물이 매듭 모양으로 흐른다면 어떻게 될까? 미국 시카고대 물리학과 더스틴 레크너
교수
는 물거품을 매듭 모양으로 만들기 위해 3D 프린터로 출력한 매듭 모형을 물속에 집어넣고 초속 약 3.1m로 빠르게 잡아당겼다. 실험 전에 미세한 물거품을 뽀글뽀글하게 만들어 매듭 모양이 잘 보이도록 하는 ... ...
PART3. 나는 한국의 파브르입니다.
과학동아
l
2015년 10호
읽었다고 했다. 어린이용 파브르 곤충기는 실제와 달라서 별 도움이 안 됐는데, 김진일
교수
의 완역본은 학명과 실험방법이 구체적으로 나와 있어서 연구에 도움이 됐다고 한다. “조롱박벌이 여치 사냥하는 모습을 보면서 ‘이게 진짜 파브르 곤충기구나, 대단하다’고 생각했어요. 파브르가 ... ...
이전
566
567
568
569
570
571
572
573
57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