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다강체_물질계의 엄친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는 분야이다.특히 상온에서 다강성을 띠는 물질을 찾는다면 응용
가능
성이 무척 크기 때문에 필자의 연구팀도 현재 이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머지않아 산업계에 실제로 응용되는 다강체 소자가 출현할 것이며 이 과정에서 필자를 비롯한 한국의 물리 학자들이 큰 역할을 ... ...
비상! 슈퍼박테리아 한국 상륙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심각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용동은 교수는 “식중독 균처럼 다른 균으로 전이가 될
가능
성이 충분히 있기에 사전 관리를 위해 국가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말했다.항생제 ‘최후의 보루’ 무너져카바페넴은 베타락탐 계열 중에서도 가장 최근에 만든 항생제다. 적용 범위가 매우 넓은 데다 ... ...
전후좌우 움직이는 발목을 보라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두발로봇을 만들려면 고도의 기술이 필요합니다. 1990년대 후반까지도 두발로봇은 ‘불
가능
’하다고 여겨졌습니다. 사실 지금도 로봇의 걸음걸이가 완벽하진 않습니다. 누구나 “이젠 걸을 수 있는 것 아니냐”라고 생각하지만 기계공학을 연구하는 과학자들은 아직도 ‘조금 더 안정적인 ... ...
인공 파도 속 해양강국의 꿈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배려. 그리고 기계 가공전문가인 유극상 연구원과 성실한 연구실 후배들이 있기에
가능
했다. 우리 연구실의 강점은 자유로운 토론 분위기 속에 건실한 연구활동이 보장된다는 것이다. 연구실 구성원 모두가 자유롭게 의견을 개진할 수 있다. 이런 연구실 분위기는 높은 수준의 연구 성과를 낼 수 ... ...
2단계 수학·과학능력 필수 대비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수 있다. 아직 대학의 AP 과정은 협약이 안 된 상태다. 따라서 대학의 학부과정 단축은 불
가능
하다. 또 한국과학영재학교처럼 KAIST 입학에 유리한 지원은 없지만, 수시모집의 특기자 전형이나 과학영재 전형 등의 제도를 통해 상위권 대학에 다수 진학하고 있다. 서울과학고의 2009~2010년 평균 ... ...
수학을 쓰려거든 연필로 쓰세요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지름이 KS가 허용하는 오차범위를 벗어나 더 작았거나, 샤프 끝의 지름이 정상보다 컸을
가능
성이 있다. 볼펜은 연필이나 샤프보다 종류가 다양하고 굵기도 천차만별이다. 물론 펜 끝에 있는 작은 구형 알이 펜을 움직일 때 따라 돌면서, 심 안에 있는 잉크를 종이에 묻게 만드는 원리는 모두 같다. ... ...
영재교육원 입시 어떻게 달라졌나?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있다”고 말했다. 지금까지의 관례를 볼 때 앞으로 영재선발에서 시험이 사라질
가능
성이 매우 높다는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영재교육에 도전할 학생이나 부모라면 이런 점을 감안할 필요가 있다.4단계 관찰추천제관찰추천제는 4단계 선발 과정을 거친다. 서울시 동부교육지원청(이하 ... ...
2050 미리 가 보는 미래의 크리스마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유전자를 합성하거나 살아 있는 생명체를 조종하는 기술은 2050년보다 더 먼 미래에나
가능
할 거예요.2050년 미래의 과학 기술에 감탄을 하고 있는데 어디선가 이런 소리가 들렸어.“눈이다~!”정신을 차려 보니 난 어느 샌가 2010년 12월 25일 아침으로 돌아와 있었어. ‘눈이다’라고 외친 건 ... ...
라디오 방송으로 앙가봉데 업숑을 구하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4호
뉴펀들랜드의 세인트존스까지는 3500㎞가 넘는답니다. 이렇게 먼 곳까지도 무선 통신이
가능
하답니다.”자신감에 넘치는 마르코니. 하지만 문제가 생겼다. 악당 업새블라의 방해로 무슨 문자를 전송했는지 전혀 알아 볼 수 없게 된 것이다.“하하하! 알파벳이 좀 뒤죽박죽이지? 풀려면 골치가 좀 아플 ... ...
코리아노사우루스와 함께하는 2010공룡 大탐구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23호
네 발로 걸으면서 상황에 따라 두 발로 걸었고, 땅을 파는 습성을 지녔을
가능
성이 크다."공룡은 인간과 비교할 수 없이 긴 시간 동안 지구의 생태계를 지배했던 경이로운 동물이에요. 공룡을 연구함으로써 우리는 미래에 다가올 환경 변화에 대한 실마리를 얻을 수가 있답니다" 허 민 (전남대학교 ... ...
이전
553
554
555
556
557
558
559
560
56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