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엘리베이터의 상상과 현실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하루를 주기로 원 운동을 해야 한다. 뉴턴의 운동법칙과 만유인력법칙을 바탕으로
가능
한 구조의 우주엘리베이터를 살펴보고 이 구조가 어떻게 유지되는지 알아보자. Q. 생각해 봅시다 다양한 다리 중 사장교 건설은 우주엘리베이터 건설과 유사하게 교각에서 대칭적으로 진행된다. 이를 바탕으로 ... ...
블랙홀 박사님이 들려주시는 송유근 뛰어넘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장이 마련되어야 한다고 말씀하셨어요. 또한 어린이는 누구나 영재가 될 수 있는 무한한
가능
성을 갖고 있다고도 하셨지요.이번 강연회는 재밌는 우주 이야기와 함께 영재 교육에 대해 진지하게 생각해 보는 시간이었어요. 우리 친구들도 과학을 즐긴다면 ‘송유근 뛰어넘기’, 그리 어렵지 않을 ... ...
노벨사이언스 국가안보 체험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엿듣기 쉽지. 하지만 미래에는 어디든 통과하는 중성미자를 이용해 아주 빠르게 통신이
가능
할 거라고 해. 중성미자는 전기를 띠지 않는 아주 작은 입자란 뜻이야. 중성미자에 관련된 연구로 세 명의 과학자가 노벨상 받았단다.아무도 다치지 않도록!전자기펄스 폭탄‘쾅!’하고 터져도 아무도 ... ...
Part 3. 수학올림피아드와 슈퍼스타K는 다르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가수가 된 것도 같은 맥락이다.그러나 송용진 교수는 수학 분야에서는 깜짝스타가 불
가능
하다고 단정 짓는다. 가장 오래된 학문 중 하나인 수학은 선배 수학자의 업적을 배우고 꾸준히 훈련해야만 스타가 될 수 있다고 설명한다. 수학은 훈련을 거듭하는 중에 자신만의 창의성을 발휘할 때, 다음 ... ...
낭만 올림피아드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포함될 때 이 점이 정사각형 안에 있는 것도 밖에 있는 것도 다
가능
하니까, 2개로는 불
가능
하다. 따라서 정답은 3개다.멋진 방법이었지요? 다음 호에서도 또 다른 낭만을 만나보기로 해요 ... ...
컴퓨터 없인 금융 없다?
수학동아
l
2011년 01호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방법에 획기적인 아이디어를 제공해 현대와 같은 컴퓨터가
가능
하도록 만들었습니다. 노이만 방식 또는 프로그램 내장방식으로 불리는 현대식 컴퓨터가 등장해 디지털 기술이 급속하게 발전할 수 있었죠. 현재 사용되는 컴퓨터의 99.9%가 노이만 방식이거나 이를 변형한 ... ...
Part1. 초고체_원자 따로 노는 '구름' 결정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정도 속도로 진동자를 돌리는 게 뭐 그리 어렵냐고 생각할지 모르지만 초저온에서 이게
가능
한 장치는 전 세계에 3대밖에 없습니다. 그 중 하나가 여기 있습니다!”코노 박사의 말에 잔뜩 기대를 하고 ‘크리오스텟(cryostat)’이란 장치를 본 순간 실망할 수밖에 없었다. 지름이 50cm쯤 되는 길쭉한 ... ...
Part 2. 비소 박테리아는 진실인가 실수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연구팀이 표준적인 실험 절차를 지키지 않아 박테리아에서 뽑아낼 때 DNA가 오염됐을
가능
성도 제기했다. 레드필드 교수는 “박사 과정 학생이 이 데이터를 가지고 왔다면 다시 실험실로 돌려보냈을 것”이라며 연구팀을 혹독하게 비판했다. 그는 “심사위원들을 비난하고 싶지는 않다”며 ... ...
Part2. 우주 항해하는 '종이 돛단배'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펼치고 다닌다. 우주쓰레기를 대기로 떨어뜨려 저절로 불타 없어지게 하는 일이
가능
한지 보기 위해 띄운 나노세일 D는 태양빛으로 움직여 스스로 궤도를 이탈할 예정이다.종이접기는 공학 분야뿐 아니라 의학에서도 활용된다. 막힌 혈관을 뚫는 수술을 보자. 동맥이나 정맥 같은 혈관이 핏덩어리 ... ...
빛으로 떠오르는 광학 날개
과학동아
l
2011년 01호
없이 우주를 항해할 수 있다. 공상 과학에나 나올 법한 이런 우주선을 개발하는 것이
가능
할까.미국 라체스터공대의 그로버 스와츨랜더 교수팀은 머리카락 굵기의 원통형 플라스틱 막대를 만들었다. 이 막대를 세로로 잘라 물속에 집어넣고 레이저로 쬐어주자 중력을 이기고 떠올랐다. 막대가 ... ...
이전
551
552
553
554
555
556
557
558
5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