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태양 빛낼 플라스마의 꿈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보이기에 ‘도전해 보라’고 권했다는 말을 덧붙였다. 이 분야에 대한 애정이 없으면 불
가능
한 일이다. 대를 이어 핵융합을 연구하는 플라스마 과학자 가족이 탄생하는 날을 기대해 본다. 고수의 비법전수 잘 알려진 길이 아닌 새로운 길을 개척하라. 그곳에 더 많은 기회가 잇다. 특히 공부나 ... ...
향기가 퍼져나가는 이유는?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돌릴 수 있습니다. 예시답안 전문가 클리닉 1번 문항은 직관적으로 접근하는 것도
가능
하지만 논리적인 완결성을 부여하기 위해 제2코사인 법칙을 사용합니다. 2번 문항은 정수론 책을 한번쯤 본 학생이라면 비슷한 문항을 많이 경험해봤을 것입니다. 산술-기하 평균 부등식은 매우 중요하므로 ... ...
생명과학의 불 밝힌 유영숙 박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연구에 몰두하고 있다. 통합생물학은 단일학문으로는 생명체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불
가능
하다는 개념에서 출발한 학문이다. 세포가 외부자극에 반응할 때 세포내의 신호 단백질이 어떻게 변화하는지, 핵 안 신호전달을 통해 어떤 생물학적 반응이 일어나는지에 관한 복합적인 연구를 수행한다. 유 ... ...
분자에 숨어 있는 수학 법칙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❷,❺), 맨 안쪽에 있는 탄소(❸, ❹)다. 따라서 메틸기 하나를 붙일 경우 3가지 경우가
가능
하다. 메틸기 두개를 붙이는 방법은 9가지나 된다.똑같이 탄소 6개로 이뤄진 분자이지만 서로 구분할 수 없는 고리형이냐, 구분할 수 있는 선형이냐에 따라 이처럼 메틸기를 더할 때 만들어지는 분자의 개수가 ... ...
기준에 맞춰 모여! 모두 집합!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이용해 ‘현정이는 도구를 사용할 수 있다’라는 특별한 정보를 얻어내는 생각의 과정을
가능
하게 합니다. 이와 같은 수학적 추론 능력을 키우기 위해서 집합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합니다.교과서와 문제집 속에 숨은 의미와 그림자 찾기!서로 다른 학교에 다니는 학생도 수학 교과서만큼은 ... ...
외골격 로봇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하이퍼를 개량한 민간용 입는 로봇 ‘로봇슈트’도 선보였다.2020년이면 실제 도입
가능
군사전문가들은 지금의 속도로 외골격 로봇 기술이 발전하면 2025년에는 군인 한 명이 수십 명의 병사와 맞먹는 힘을 갖게 될 것으로 보고 있다. 10년 후인 2020년에는 실제로 외골격 로봇이 일부 도입될 전망이다 ... ...
뇌 기계 접속 기술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목이 말라요’ 같은 문장을 조립해 냈다.BMI 기술을 이용해 기계를 조작하는 것도
가능
하다. 2003년 10월, 미 국 듀크대 미구엘 니코렐리스 박사팀은 붉은털원숭이 뇌의 앞부분(전 두엽)과 윗부분(두정엽)에 머리카락보다 가는 전극을 이식했다. 이곳 이 근육 운동을 조절하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 ...
안녕! 디스커버리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카운트다운을 들었건만 이번만큼은 특별히 더 떨린다. 연료탱크에서 수소가스가 유출될
가능
성이 있어 한 달 정도 발사가 늦춰졌는데, 부디 큰 문제가 아니길 바란다.이번 미션에는 특별한 친구가 동행한다. 우주인의 역할을 대신할 로봇 ‘로보노트2’다. 상반신까지는 사람과 흡사한데, 하반신이 ... ...
세계의 과학문화에 도전하라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마치 우리나라의 매체가 자주 해외 매체를 인용하는 것처럼. 과학동아의 해외판도
가능
하지 않을까. 미국과 일본의 잡지가 우리나라에서 발행되는 것처럼. 쉽게 말해서 과학동아가 중국어판과 베트남어판을 만들어 성공할 수는 없을까. 이런 질문은 매우 먼 일만은 아니다. 그것이 성공한다면 ... ...
3차 나로호에 실릴 인공위성 공개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아리랑 5호에는 고성능영상레이더를 탑재해 구름이 끼거나 어두운 밤에도 전천후 관측이
가능
하다. 현재 운영 중인 아리랑 2호와 연계해 재난재해 감시 및 각종 자원 이용실태 파악 등에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 ...
이전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56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