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실현
가망
d라이브러리
"
가능
"(으)로 총 13,089건 검색되었습니다.
이 시대 진정한 미인은 누굴까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결코 그들과 똑같은 얼굴을 재현할 수는 없다. 오히려 자기의 원래 외모보다 나빠질
가능
성도 있다. 눈이 크고 코가 높다고 해서 모두 미인은 아니기 때문이다. 중요한 것은 눈, 코, 입 등이 한 얼굴 안에서 얼마나 서로 어울리느냐다. 이 교수는 “특별하게 정해진 아름다운 수치는 없다”면서 ... ...
'바다 위의 기상대’ 기상 1호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차지하고 있다. 이 넓은 면적을 모두 해양기상관측선으로 관리하려는 시도는 애초부터 불
가능
한 일이다.이런 상황을 고려할 때 민간 선박을 해양기상관측 데이터를 수집하는 데 활용하는 ‘자원관측선박(VOS) 제도’는 해양 자료의 빈곤을 해결할 수 있는 현실적인 대안일 수 있다. 이 제도는 먼 ... ...
과거가 없는 현재, 현재가 없는 미래는 없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불
가능
하다”며 “그러나 여러 분야의 사람들이 모여 함께 머리를 맞대면 최대한 성공
가능
성을 높일 수 있다”고 강조했다. 포잠박은 규칙성을 갖지 않은 식물 뿌리가 일정하지 않은 간격으로 솟아나는 ‘히좀’의 개념을 철학에서 빌려와 도시계획에 활용하고 있다. 또 세계 최고의 건축가 10명이 ... ...
1991년 사이먼 르베이 박사의 동성애자 뇌구조 차이발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결정되면 그 뒤로는 바뀌기 어렵다는 말이다. 이는 동성애 성향이 환경의 영향을 받을
가능
성이 크지 않다는 뜻이다.그렇다면 게이는 테스토스테론의 농도가 낮을까. 그렇지는 않다. 남성호르몬은 남성적인 신체적 특징을 만드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성욕의 경우 취향보다는 욕망 자체에 ... ...
통합적 추론 능력이 핵심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모임이다. 같은 전하 간에는 강한 반발력으로 인해 전기적으로 원자핵의 성립이 불
가능
하다. 실제로는 대부분의 원소들이 대체로 안정하며 어떤 원소들은 오히려 더욱 안정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원자핵 내부에는 전기적인 반발력을 이기고 중성자나 양성자들을 서로 강하게 결합하고 ... ...
인공지능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똑같은 능력을 갖기는 어렵다는 설명이다.컴퓨터의 연산속도가 계속 빨라지면 지금은 불
가능
해 보이는 인공지능이 등장할 것이다. 양 교수는 그 시점을 2020년 이후로 봤다. 그는 “어떤 기술이든 조금씩 천천히 발전해 나가다가 어느 순간 대 변혁기를 맞는다”며 “가까운 시기에 변혁기를 맞을 수 ... ...
모로코왕궁 침투작전
수학동아
l
2010년 12호
생각하기로 해요. 알파벳이 써진 원을 두 개씩 직선으로 이어야 하나 봐요. 단, 교차는
가능
하지만 두 점을 잇는 선의 길이는 두 종류로제한돼 있어요.”★ 무서운 바르바리 “역시, 이것만으로는 실마리를 못 찾겠어요. 다른 단서가 있을 텐데….” 지도 더미와 쪽지를 뒤적이다가 아까 허풍이 ... ...
스크램제트 엔진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만들기엔 무리가 따른다. 또 연료 대비 효율도 낮다. 따라서 현재 극 초음속 비행기를
가능
하게 해 줄 가장 유력한 추진기관 후보는 스크램제트 엔진이다. [여객기는 반드시 2개 이상의 엔진을 달아야 한다. 하나가 망가져도 비행을 계속 할 수 있기 때문이다. 강한 힘을 발휘하는 스크램제트 ... ...
네안데르탈인 사춘기 빨랐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시작했다. 치아가 빨리 완성됐다는 것은 그만큼 유년기가 짧고 이른 나이에 생식이
가능
해졌다는 뜻이다. 하지만 영구치에 남아 있는 생장선을 분석한 결과, 네안데르탈인은 현생인류에 비해 수명이 짧았다. 연구팀은 “유년기가 길면 인지 기능이 발달하거나 사회의 관습을 배우는 기간도 ... ...
수혈 받을 피, 미리 만들어 놓고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10년 12호
세포 한 점을 떼어내 수혈이
가능
한 만큼 많은 양의 혈액을 만들 수 있는 방법이 개발됐다. 캐나다 맥마스터 의대 미키 바티아 교수 연구팀은 이같은 기술을 개발해 과학저널 ‘네이처’ 11월 7일자에 발표했다.바티아 교수팀은 혈액 생성에 관여하는 ‘OCT4’ 유전자를 사람의 피부 조직에서 떼어낸 ... ...
이전
556
557
558
559
560
561
562
563
56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