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영양"(으)로 총 2,068건 검색되었습니다.
-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과학동아 l2016년 07호
- 분해우리가 에너지를 만들 때 땔감으로 쓰는 것은 지방과 당이다. 먹을 때는 엄연히 다른 영양소지만 에너지를 만들 때는 탄소 세 개로 이뤄진 피루빈산이라는 작은 분자로 쪼개진다.2단계 TCA 회로를 돌려라피루빈산은 미토콘드리아로 옮겨져 TCA 회로의 재료로 쓰인다. TCA 회로는 연속된 화학 ... ...
- Part 4. 뇌질환과 암의 열쇠가 되다과학동아 l2016년 07호
- 생성물인 호박산염이 저산소 유도인자(HIF)를 안정시켜 새로운 혈관을 만든다. 이 혈관은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할 뿐만 아니라 암 세포가 다른 장기로 옮겨가는 통로로 이용되기도 한다.▼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진화 이끈 작은거인 미토콘드리아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Part 2. ... ...
- [과학뉴스] 3D프린터로 만든 인공 귀!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6호
- 만드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었지요.이에 연구팀은 인공조직에 필요한 세포와 영양소가 섞인 3D프린터용 잉크와, 이 잉크를 사용해 인공조직을 찍어낼 3D프린터를 직접 만들었어요. 이 3D프린터는 형태를 잡아 주는 재료와 인공조직 재료를 동시에 분사할 수 있어 모양을 쉽게 유지시킬 수 있답니다. ... ...
- [Tech & Fun] 국제원자력기구 환경연구소과학동아 l2016년 06호
- 2000~3000원…. 지중해로 유입되던 나일강 강물이 댐으로 가로막히는 바람에 바다가 빈영양해역으로 바뀌었기 때문입니다. 프랑스, 이탈리아, 일본 등의 음식문화가 뒤섞여 모나코만의 대표음식도 찾기가 어렵습니다. 그러나 너무 실망하진 마세요. 지중해잖아요. 연구소와 가까운 카지노 ... ...
- [Knowledge] 청산가리 가득한 대나무를 먹는다?과학동아 l2016년 06호
- 존재하는 대다수의 나뭇잎을 먹이로 이용할 수 있다.물론 초록 잎에도 약점은 있다. 영양분이 매우 부족하다. 이파리를 주식으로 삼으면 다른 동물과 경쟁하지 않는 대신 엄청난 양을 먹어야만 한다. 그만큼 소화하는 시간도 오래 걸린다. 그래서 콜로부스 원숭이들은 마치 내장지방이 가득한 중년 ... ...
- PART 2 빅데이터 꿰뚫어보는 수학수학동아 l2016년 06호
- 여성이 예비 엄마가 됐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았을까?타겟은 임신한 여성들이 초기에는 영양제, 중기에는 로션, 말기에는 유아용품을 주로 구매한다는 결과를 빅데이터 분석을 통해 알아냈다. 그리고 이 여성의 구매 패턴으로부터 여성이 임신했다고 예측하고, 유아용품 할인쿠폰을 보내 소비를 ... ...
- [숲이야기] 두 생물이 합쳐 강해진 지의류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반응하지요. 특히 조류는 대기가 더러워지면 광합성을 하지 못해 결국 죽고 말아요. 그럼 영양분을 더 얻지 못한 곰팡이도 함께 죽어 버린답니다.과학자들은 지의류의 이런 특성을 이용해 대기오염을 연구하고 있어요. 지의류의 수가 급격히 줄어들거나, 다른 지역에 비해 그 수가 적은 곳은 대기가 ... ...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수학동아 l2016년 05호
- 뿌리가 물에 닿게 하는 수경재배 방식을 쓴다. 수경재배를 하는 많은 농가에서 뿌리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인공비료를 녹인 물을 쓰는데, 이곳에서는 물고기가 살았던 어항의 물로 대신한다. 물에 녹은 물고기의 배설물이 자연 비료 역할을 해 좀 더 건강한 채소를 수확할 수 있다.온실 속 온도와 ... ...
- Part 3. 아슬아슬하고 위태위태한 논란들과학동아 l2016년 05호
- 호기심의 충족이다. 또한 이들의 창의성과 교육 활동이 합성생물학의 발전을 도모하는 영양분이 되기도 한다. 하지만 인체에 치명적인 병원체를 합성하는 기술이 언젠가는 바이오해커에게도 전달될 것이라는 우려의 목소리도 있다. 만일 합성생물학자들이 변종 돌연변이를 만들고 그 연구결과를 ... ...
- [Tech & Fun] ‘고독한 미식가’, 독될까 득될까과학동아 l2016년 05호
- ‘비만도에 따른 대학생의 혼자 식사 및 함께하는 식사 시의 식행동 비교’ 대한지역사회영양학회지 2012). 타인과 함께 식사할 때는 섭취량을 조절하지만 혼자 식사를 할 때는 자신이 먹고 싶은 양만큼 먹음으로써 체중조절이 어려워지는 것이다.특히 혼술은 더 위험할 수 있다. 임선영 ... ...
이전50515253545556575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