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스페셜
"
표면
"(으)로 총 1,045건 검색되었습니다.
코로나19 중증 비밀 '네안데르탈인 유전자'에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8
대응하는 CXCR6 유전자나 코로나19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인체세포 침투시 활용하는 세포
표면
단백질 ‘안지오텐신변환효소2(ACE2)’와 상호작용하는 단백질을 만드는 SLC6A20 등 6개 유전자가 위치하고 있다. 페보 단장팀은 이 영역의 염기서열 약 4만9400개에서 유전형의 분포를 분석한 결과 특정 ... ...
코로나19 침투 막을 새 유전자 표적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25일자에 발표됐다. 연구팀은 인체 폐포 상피세포를 이용한 세포주인 A549를 이용해
표면
에 ACE2를 발현시킨 세포를 다량 준비했다. 그 뒤 연구팀이 자체적으로 제작한 크리스퍼 가이드RNA(gRNA) 12만2411개를 이용해 세포가 지닌 1만9050개의 유전자 가운데 하나씩을 선별적으로 작동하지 않게 교정했다. ... ...
인체 세포에서 코로나바이러스 조력자 찾아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사스코로나바이러스-2는 바이러스
표면
의 돌기 단백질인 스파이크 단백질이 인체 세포
표면
의 안지오텐신전환효소2(ACE2)라는 단백질에 달라붙어 인체 세포에 침투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일부 세포는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침투에 무방비로 당하는 반면 일부 세포는 그렇지 않아 ... ...
[코로나19 연구속보] 올 겨울 코로나19 유행 더 심해질 수 있다
2020.10.27
표면
과 공기 중의 입자를 비활성 시킬 수 있다. 또 바이러스는 따뜻하고 습한 환경에서
표면
이 더 빨리 분해된다. 이에 대해 프린스턴대학의 딜런 모리스는 “겨울철에 실내 온도를 약 20℃로 유지하는 경향이 있는데, 건조한 공기, 환기도 잘 되지 않는 등의 실내 환경은 바이러스 안정성에 매우 ... ...
달 남극에서 '물 분자'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0.10.27
달의 남극(왼쪽)과 북극에서 얼음이 존재할 것으로 추정되는 지역들이다. 지금까지는 성분을 확인할 수 없어 추정에 그쳐 왔지만 적외선 관측을 통해 물 분자 ... 기여한다”며 “NASA는 2030년 화성 탐사에 대비하기 위해 2024년 최초의 여성과 다음 남성을 달
표면
에 보낼 것”이라고 밝혔다 ... ...
코로나19 바이러스 침투 돕는 새 단백질 찾았다...치료제 표적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10.23
조각의 끝 부분에 특정 아미노산 서열이 존재하며, 이 부분이 호흡기 및 후각 상피세포
표면
에 존재하는 단백질인 뉴로필린-1과 뉴로필린-2(NRP2) 수용체와 결합한다는 사실을 X선 결정학 기술을 이용해 확인했다. 또 유전자에서 단백질이 형성되는 과정(발현)을 조절할 수 있는 기술인 ‘리보핵산 간섭 ... ...
재료硏, 효율 대폭 끌어올린 고체전해질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22
수준인 6% 이상으로 끌어올린 고체섬유형 태양전지를 개발했다. 재료연구소는 송명관
표면
기술연구본부 에너지융합소재연구센터 책임연구원 연구팀이 안철진 창원대 생물화학융합학부 교수 연구팀과 공동연구를 통해 광전효율을 대폭 높인 고체섬유형 태양전지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22일 ... ...
'오시리스-렉스' 3억km 밖 소행성 베누 '터치다운' 표본 채취도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사막으로 낙하할 예정이다. 로리 글레이즈 NASA 행성과학부문 이사는 “우리가 베누의
표면
을 안전하고 성공적으로 건드렸다는 사실은 태양계 비밀을 계속 밝혀내고 있는 탐험의 살아있는 정신에 대한 증거”라고 말했다 ... ...
[영상]NASA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소행성 베누 암석 샘플 채집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10.21
토양 및 자갈 샘플 등을 수집한 뒤 곧바로 이륙했다. 5초 동안 질소 가스를
표면
에 쏘아 튀어오르는 자갈을 채집하고 다시 물러나는 ‘터치 앤 고(Touch And Go)’ 방식이다. 신호를 보내는 데 최대 18분이 걸리는 먼 거리기 때문에 오시리스-렉스는 이번 임무를 모두 자동으로 수행한다. ■ ... ...
NASA 탐사선 오시리스-렉스, 20일 소행성 '베누' 표본 채집 생중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0.20
조금 더 고른 지형의 ‘오스프레이’로 넘어가게 된다. 오시리스-렉스가 6월 진행한
표면
접근 시험의 모습이다. NASA 제공 오시리스-렉스가 이번 표본 채집에 성공하면 미국은 일본에 이어 두 번째로 소행성을 탐사하고 표본을 채집한 국가가 된다. 소행성 표본 채집에 성공한 탐사선은 일본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