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겉
외면
외부
바깥
얼굴
낯
밖
스페셜
"
표면
"(으)로 총 1,045건 검색되었습니다.
[팩트체크]중국 당국 북미산 돼지머리서 코로나19 발견됐다는데 냉동식품 통한 유입 가능한가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아직까지 돼지나 소가 코로나19 바이러스에 걸린 사례는 없다. 식품 포장재나 식품 자체
표면
에 얼린 상태로 바이러스가 생존해 있을 순 있다. 다만 음식을 조리하거나 포장재를 만진 후 손을 씻는다면 바이러스 전파에 대한 우려를 접어도 된다. 일각에서는 중국이 중국 내 코로나19 재확산의 ... ...
[의학게시판] 박승환 전북대병원 전공의 소아청소년과학회 우수초록상 外
동아사이언스
l
2020.11.26
25일 밝혔다. 임 교수는 한국형 수동식 인공호흡기DHK 인공지능(AI) 비디오 후두경, 공간·
표면
살균 소독기 개발 등 의학과 의공학이 적용된 여러 연구 개발을 해 보건의료현장과 국민 생활에 기여한 공을 인정받았다 ... ...
[소재의 미래]⑵친환경 냉방 소재 혁명 이끄는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술
동아사이언스
l
2020.11.25
찾는 일이 점점 중요해지고 있습니다. 서로 다른 성질을 가진 두 소재를 맞붙이면 그
표면
에서는 이전에는 발견하지 못하던 새롭고 놀라운 기능과 현상들이 나타납니다. 정부가 세계 수준의 성과를 내기 위해 설립한 10개 글로벌프론티어사업단 중 하나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기반 ... ...
고혈당 환자도 코로나19 고위험군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파란색)를 관찰한 전자현미경 영상이다. 사스코로나바이러스-2(SARS-CoV-2, 빨간색)가 세포
표면
을 가득 덮고 있다. NIAID 제공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COVID-19·코로나19) 고위험군에 혈당이 비정상적으로 높은 고혈당 증세를 보이는 환자를 포함해야 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하비에르 카라스코 ... ...
[강석기의 과학카페]두 별이 합쳐졌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11.24
5850K(절대온도)로 태양과 비슷하고 별의 밝기는 태양의 110배에 이르는 것으로 추정됐다(
표면
적은 지름의 제곱에 비례하므로). 예상대로 주계열성을 지나 꽤 부풀어 오른 상태임을 알 수 있다. 추가 관측 결과 병합된 별 주변에는 여전히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원반이 존재하는 것으로 밝혀져 ... ...
[랩큐멘터리]구룡포 바다밑 누비며 정밀해도 작성한 극한로봇
동아사이언스
l
2020.11.24
전파가 통하지 않고 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도 무용지물인 공간이다. 인간은 달의
표면
까지 정밀한 망원경으로 관찰하고 있지만 정작 바로 옆에 있는 물속은 전혀 확인하지 못하고 있다. 사이클롭스는 조류에 몸을 가누기 힘든 물속에서 전후좌우를 수 mm 단위로 정밀하게 헤엄치며 바닷속 ... ...
[코로나19 연구속보] 모유(母乳)가 코로나 바이러스 막아낼 항체 만든다
2020.11.23
RBD)에 결합하는지 검사했다. 코로나 바이러스는
표면
의 돌기인 스파이크를 숙주세포
표면
의 ACE-2 수용체 단백질에 결합시켜 내부로 침투한다. 이때 스파이크의 RBD가 ACE2와 결합한다. 연구진은 코로나 왼치 여성 15명 중 12명에서 면역글로불린(IgA)의 결합 반응을 확인했다. 일부 시료에서는 IgG나 ... ...
[표지로 읽는 과학] 단일 분자 먼 거리 전송하는 '분자 전신' 현상
동아사이언스
l
2020.11.22
nm·10억 분의 1m) 길이의 디브로모터플루오렌(DBTF) 분자를 평평하게 은 원자가 배열된
표면
에 특정 방향으로 정렬시켰다. DBTF 분자는 3개의 플루오렌이 실처럼 연결되고 양 끝에 브롬 원자가 달린 구조다. 여기에 전기장을 걸었더니 DBTF 분자가 완벽하게 직선으로 움직이는 현상이 발견됐다. ... ...
[소재의 미래]⑴서로 다른 물질 만나는 '경계'에서 소재 미래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경계면 연구에서 나왔다. 여러 겹으로 쌓인 배터리 양극소재에서 소재 겹과 겹 사이
표면
을 정밀하게 설계해 동시에 끌어올리기 어렵던 에너지밀도와 안정성이란 두 마리 토끼를 동시에 잡았다. 미국 전기차 회사 테슬라 차량이 사용하는 배터리보다 성능을 30% 올리면서도 10년을 사용해도 초기 ... ...
연료전지로 나는 항모 드론·천체관측기술 들어간 급조폭발물 탐지기 우리 손으로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11.20
최지연 한국기계연구원 광응용장비연구실장 연구팀은 고출력 레이저를 이용해
표면
오염을 제거하는 기술을 공개했다. 장비에 물리적인 힘을 가하지 않는 비접촉식이다. 레이저의 에너지로 오염물질을 작은 입자로 만들어 제거할 수 있다. 샌드 블라스트처럼 폐기물이 생기지 않는 친환경 작업도 ... ...
이전
45
46
47
48
49
50
51
52
5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