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수소는 진정한 ‘그린연료’로 거듭날 수 있을까
2020.06.16
음극(cathode)으로 이뤄져 있다. 광양극이 태양광 패널을 대신하는 셈이다. 그럼에도 역시
전극
등 설비를 갖추는 비용이 만만치 않다. 다른 하나는 광촉매(photocatalysis)로 자연의 광합성과 가까운 메커니즘으로 수소를 만드는 방식이다. 광합성 과정을 보자. 엽록소가 빛을 받아 전자를 뺏기면 여기에 ... ...
[프리미엄 리포트]돌돌 말고 피부에 붙이는 자체발광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6.13
하는 게 목표다. 더불어 디스플레이에는 퀀텀닷 입자만 있는 게 아니라 그 퀀텀닷을
전극
, 전자 수송층 등의 여러 물질이 둘러싸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이 물질들이 새로이 개발된 퀀텀닷과 전기화학적으로 잘 어울리면서도 얇거나 잘 휘어야 플렉시블과 웨어러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할 수 있다. ... ...
"근육통에 효과"…저주파 마사지기 허위·과대광고 438건 적발
연합뉴스
l
2020.06.12
저주파 마사지기는 전기생활용품안전법에 따른 공산품으로, 통증 완화 등을 목적으로
전극
패드를 인체에 부착해 전류를 가하는 의료기기인 '개인용 저주파 자극기'와 구분된다. 만약 통증 완화 목적으로 저주파 자극기를 구매한다면 의료기기가 맞는지 확인해야 한다. 이번 적발 사례를 보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눈이 없어도 볼 수 있을까
2020.05.19
얻는 데 성공했다. 흥미롭게도 이번 실험에서 시각장애인 한 사람의 시각피질에 장착한
전극
60개짜리 보철 장치 시제품인 ‘오리온(Orion)’을 만들어 공급한 회사가 바로 세컨드사이트사다. 과거 인공시각 시스템에 대한 얘기들은 하나같이 해상력(
전극
수)이 관건일 뿐 보철 시스템 자체는 ... ...
꿈의 소재 '그래핀'국내서 첫 대량생산 나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19
그래핀을 디스플레이와 스마트폰 등 전자제품의 방열부품과 이차전지의 도전재,
전극
등에 활용할 예정이다. 박철용 엘브스지켐텍 대표는 “값싼 고품질 그래핀을 대량으로 시장에 공급해 10년간 열리지 않던 그래핀 상용화의 문을 2021년 열 것”이라고 말했다. ... ...
성균관대-삼성전자, 마이크로LED 집적도 20배 높일 접착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5.13
금속입자로 전기가 통하는 접착제를 만든 뒤 얇게 기판을 코팅해 소자 사이 또는 소자와
전극
을 수직으로 연결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이 때 연꽃 표면이 물을 튕기는 특성에서 단서를 얻어, 접착제 표면의 피막 두께 등을 조절해 표면의 안정성을 바꾸는 방법으로 원하는 부위에서만 소자와 기판이 ... ...
하지마비 환자, 뇌파 인식모자 쓰고 로봇옷 입고 걷는 시대 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있고 세포마다 1000개 이상 신호를 주고받는 시냅스를 갖고 있다. 이를 많아야 수천 개의
전극
으로 파악한다는 건 불가능에 가깝다. 연구팀의 외골격로봇이 뇌파를 받아 움직이는 방식을 그림으로 표현했다. KIST 제공 인간의 생각을 곧바로 파악하는 기술은 여전히 개발 중이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 ...
물 잘 빨아들이는 고분자 코팅해 전기분해 효율 5배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16
모습을 볼 수 있다. UNIST 제공 류 교수는 “고분자물질은 수전해 효율을 낮춘다고 생각해
전극
에 쓰인 적 없었지만 표면을 코팅하는 방식으로 활용해 수전해 방식의 단점을 해소했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젤 코팅을 이용해 다양한 고체 표면에 기체를 밀어내는 성질을 구현한 첫 연구로 수전해뿐 ... ...
[의학 바이오 게시판] 이대서울병원, 코로나19 검사 2000건 넘어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암세포를 죽이는 새로운 치료법을 도입했다고 7일 밝혔다. 암세포에 2~6개의 얇은
전극
침을 암을 둘러싸듯이 고정시켜 초당 수백만 번의 전기 펄스를 가해 암세포 벽에 나노 스케일의 구멍을 뚫어 세포를 없애는 방법이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은 2019년도 정책현안자료 10종이 발간됐다고 7일 ... ...
[인간·공감·AI]② AI가 몸 속을 들여다보기 시작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7
않다”고 말했다. 이보름 교수 연구실에서 연구하는 다양한 생체신호 연구 중 하나인
전극
을 통한 신경 신호 측정 실험 모습이다. 동물을 이용해 진행한다. 동아사이언스 제공 의료 영상 분석 AI는 이런 일을 도와줄 최적의 기술이다. 하지만 어려움이 있다. 이 교수는 “딥러닝을 이용하려면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