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극
단자
마지막
터미널
뉴스
"
전극
"(으)로 총 964건 검색되었습니다.
약물 중독 치료하는 뇌 임플란트 세계 첫 이식
동아사이언스
l
2019.11.11
위한 목적으로 이미 DBS’을 승인한 바 있다. 뇌에서 치료가 필요한 영역에 1mm짜리 작은
전극
을 삽입하면 뇌가 지나치게 활성화하거나, 지금까지 DBS를 이식받은 사람은 18만 명이 넘는다. FDA가 약물 중독 치료를 목적으로 승인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웨스트버지니아대병원 연구팀은 약물 ... ...
전도성 고분자로 투명
전극
제조 길 연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8
활용하기 때문에 우선 전도성 고분자를 기판에 바른 후 레이저로 패터닝함으로써
전극
을 쉽게 패터닝하는 것도 가능해졌다. 윤 수석연구원은 “이미 상용화가 완료된 1,064㎚ 파장대의 레이저를 쓰는 것도 비용 면에서 장점”이라고 말했다. 윤창훈 수석연구원은 소재와 공정에 대한 이해를 ... ...
ESS 성능 끌어올릴 새 소재
동아사이언스
l
2019.10.31
지멘스 퍼 제곱센티미터)의 전기전도도를 나타낸다. 별도의 전도체를 첨가할 필요 없이
전극
으로 사용하기에 전기전도도는 이미 충분히 높다. 유정우 UNIST 교수는 “리간드 산화에 따라 부도체이던 2차원 금속유기구조체에 전기 전도성이 유도된다는 것을 보여줬다”며 “더 나아가 리간드 ... ...
[이정아의 미래병원] 전기에서 디자인, AI까지 휠체어의 끝없는 변신
동아사이언스
l
2019.10.30
덕분이다. 로잔연방공대의 생각대로 움직이는 휠체어와 달리 신체에 십수 개의
전극
을 일일이 붙일 필요가 없어 간편하고, AI가 사람의 표정을 읽는 정확도도 꽤 높은 것으로 알려졌다. 인텔과 후박스로보틱스에서는 하지마비 환자와 근위축성측색경화증(루게릭병) 환자를 대상으로 올해부터 ... ...
반도체
전극
속 금속박막 '균열' 막는 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21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1일자에 발표됐다. 반도체와 디스플레이 등 전자 소자에
전극
으로 사용되는 금속 박막의 균열생성을 억제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서울대공대 ... ...
전도성 고분자로 플렉서블 투명
전극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높아지는 물리적 현상을 발견하고 이를 공정에 적용하는 데 성공했다. PEDOT:PSS 투명
전극
은 전도성이 있는 PEDOT을 PSS가 전선 피복처럼 둘러싸고 있는 실뭉치 형태의 고분자 박막이다. 전도도를 높이려면 PSS를 최대한 녹여 PEDOT끼리 서로 연결되도록 해야 한다. PSS를 녹인 용액에 1064나노미터 파장의 ... ...
운동 빨리 배우는 '운동신경'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0.16
실험 참가자들에게 '반복적 경두개 자기자극치료'를 받게 했다. 이 치료법은 머리에
전극
을 붙인 채 반복적으로 자기장을 일으켜 대뇌피질을 자극하는 기술이다. 대뇌피질의 일부를 자극해 그 영역을 일시적으로 억제하거나 활성화시킬 수 있어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조현병, 만성통증 등을 ... ...
구부리고 늘리고 비틀어도 되는
전극
과학동아
l
2019.10.15
소재에 방향성 젖음 국지화 기술을 적용해 신축성이 있는
전극
을 만들었다. 개발된
전극
은 40%가량 늘려도 전기적 특성을 유지했다. doi: 10.1038/s41598-019-49322- ... ...
노벨상위원회 "화학상 수상자들, 전에 없던 신개념 배터리 만든 게 업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물로 된 전해질로 나눠져 있다. 어떤 경우는 물리적으로 나눠져 있는 경우도 있다. 두
전극
사이에서는 화학적 반응이 일어난다. 여기서 나온 전자는 회로로 넘어가며 전기를 공급한다. 쉽게 들리지만 이걸 디자인하고 발전시키고 실제로 잘 작동하게 하는 것은 힘들다. 여전히 쓰이고 있는 알칼라인 ... ...
"충전 가능한 세상 만든 과학자들" 노벨상위원회가 밝힌 노벨화학상 수상자 공적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수 있는 가볍고 내구성이 훌륭한 리튬 이온 배터리가 탄생했다. 이 배터리의 장점은
전극
에서 화학반응이 일어나는 대신, 양극과 음극 사이에서 리튬 이온이 앞뒤로 흐른다는 것이다. 1991년 리튬 이온 배터리는 처음 상용화됐다. 이후 우리의 삶에 거대한 혁신을 가져왔다. 전자기기들을 무선으로 ... ...
이전
51
52
53
54
55
56
57
58
5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