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결합에너지
"(으)로 총 997건 검색되었습니다.
[랩큐멘터리]지구에서 가장 높은 열보다 THE 뜨거운 연구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25
사람이 살아가는 데 필수적인 공기나 물은 기계공학적 관점에서는 열을 전달하는 유체다. 유체와 열 현상을 이용해 발전소에서 전기를 생산한다. 화력, 수력, 원자력 등 열을 만들어내는 에너지원은 각기 달라도 열로 물을 끓여 수증기를 만들어내고 수증기의 힘으로 발전 터빈을 작동시켜 전기 ... ...
[IBS 코로나19 리포트 시즌2] 우리 집 개와 고양이가 코로나19를 옮길 위험이 있을까
2021.03.18
코로나19의 확산과 함께 반려동물의 바이러스 감염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질병관리청에 의하면 작년 11월 20일 기준 세계 19개국에서 456건의 동물 사스코로나바이러스-2 감염 사례가 보고됐다. 지난 1월 국내에서도 첫 동물 감염 사례가 나왔다. 생활공간을 함께 하는 동물들과도 사회적 거리두기가 필 ... ...
연간 50억 번 내리친 번개, 원시 생명체 탄생 도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7
Pixabay 제공 2016년 미국 일리노이주 시카고에서 서쪽으로 39km쯤 떨어진 마을인 글렌 엘린의 한 가정집 뒷마당에 무언가 강타했다. 놀란 주인은 인근의 휘튼칼리지 지질학부에 전화해 하늘에서 운석으로 추정되는 물체가 날아와 뒷마당에 떨어졌고, 그 자리에는 작은 화재가 발생했으며 그로 인해 ... ...
빛 쪼여 약물 주입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8
포스텍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팀과 화학공학과 조길원 교수팀이 유기 태양광발전 소자를 이용해 자동 약물 방출 시스템을 개발했다. 포스텍 제공 빛을 쪼이기만 해도 자동으로 약물이 체내에 주입되는 신개념 약물 전달 시스템이 나왔다. 포스텍은 신소재공학과 한세광 교수팀과 화학공학과 조 ... ...
반도체 한계·난치 췌장암 극복...과학난제 해결에 도전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5
3일과 4일 이틀에 걸쳐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개최한 '2021년 한국 과학난제 도전 온라인 콘퍼런스' 현장이다. 32명의 과학자들이 각기 창의적인 주제로 과학난제 해결을 위한 연구 비전을 제시했다.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제공. 현재 스마트폰과 컴퓨터에 사용되는 실리콘 반 ... ...
[표지로 읽는 과학]상용 태양전지 한 걸음 다가선 페로브스카이트
동아사이언스
l
2021.02.27
네이처 제공 국제학술지 네이처는 25일 발광다이오드(LED)처럼 반짝반짝 빛나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모습을 표지로 실었다. 빨간색과 파란색, 초록색의 네모난 사각형을 볼 수 있는데, 태양전지 모듈을 형상화한 것이다. 페로브스카이트는 두 개의 양이온과 하나의 음이온이 결합한 특이한 ... ...
핵융합 1억도 유지 가로막는 플라스마 붕괴조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초고온 플라스마에서 발생하는 난류와 플라스마를 가둔 자기력선을 붕괴시키는 자기섬 사이의 상호 작용이 실험으로 처음 확인됐다. 분홍색 점선이 자기섬이다. 한국핵융합에너지연구원 제공 ‘한국형 인공태양’으로 불리는 한국형초전도핵융합장치(KSTAR)를 이용해 핵융합 플라스마의 오랜 난제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플라스틱 리사이클링, 혁신은 가능할까
2021.02.23
오늘날 플라스틱 쓰레기는 점점 더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지만, 인류는 아직 획기적인 해결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사진은 각 가정에서 배출된 플라스틱 등 재활용 폐기물 분류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모습이다. 연합뉴스 제공 지난해 지구촌의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전년에 비해 7%나 줄었다고 한다. ... ...
500번 충·방전해도 높은 에너지 밀도 유지하는 양극 소재 합성법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강병우 포스텍 신소재공학부 연구팀(사진)이 충전과 방전을 500번 반복해도 에너지 밀도가 높게 유지되는 양극 소재를 개발했다고 22일 발표했다. 포스텍 제공 국내 연구팀이 최소 500차례 이상 충·방전해도 에너지 밀도가 높게 유지되는 값싼 양극 소재를 개발했다. 리튬 전지로 장거리를 운행할 ... ...
삼성전자, 세계 최초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개발 성공
연합뉴스
l
2021.02.17
인공지능 HBM-PIM 제품화…메모리 반도체에 AI 연산 기능 탑재 기존 제품 대비 성능 2배 향상…ISSCC에서 논문 공개 삼성전자가 세계 최초로 기존 메모리 반도체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지능형 메모리 반도체 기술을 개발했다. 데이터 저장 공간으로만 여겼던 메모리 반도체에 인공지능(AI) 엔진을 탑 ... ...
이전
47
48
49
50
51
52
53
54
5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