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결합
에너지
에네르기
뉴스
"
결합에너지
"(으)로 총 942건 검색되었습니다.
노벨상 올해의 관전 포인트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노벨상재단 홈페이지 캡처 2020년 노벨상 첫 수상자 발표가 다가왔다. 5일 오후 6시 30분(한국시간) 생리의학상 발표를 시작으로 6일 오후 6시 45분 물리학상, 7일 오후 6시 45분 화학상, 8일 오후 8시 문학상, 9일 오후 6시 평화상, 12일 오후 6시 45분 경제학상 순으로 수상자 발표가 시작된다. 이 가운데 생 ... ...
안전성·최고 효율 모두 달성한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10.04
석상일 UNIST 교수(사진)팀이 안정성을 높이고 효율도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한 새로운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기술을 선보였다. UNIST 제공 국내 연구팀이 차세대 태양전지로 꼽히는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의 전기 생산 효율성을 역대 최고 수준으로 높이면서 안전성까지 확보한 기술을 개발했 ... ...
[프리미엄 리포트]'맨해튼 프로젝트' 현장에 가다
2020.09.26
뜻입니다. 반대로 이 만큼의 에너지가 1g의 질량으로 바뀔 수도 있습니다. 핵 내부의
결합에너지
는 강한 핵력이 만듭니다. 전자기력이 전기에너지를 만드는 것것과 비슷합니다. “강한 핵력이 핵의 질량을 만든다”는 말의 뜻이 이해가 가시나요? 원자 폭탄, 원자력 발전소, 태양의 공통점 ... ...
"폐기물 재자원화·디지털치료제 개발·드론 정밀감시 추진한다"
연합뉴스
l
2020.09.24
과기정통부 '혁신도전 프로젝트 추진위'…내년 3월까지 연구목표·수행방식 기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4일 '제3차 혁신도전 프로젝트 추진위원회'를 열고 2020년도 기획연구 테마 3개를 확정한다고 밝혔다. 선정 연구는 '지속가능 환경을 위한 폐기물 재자원화', '난치 질환자의 자가치료·정밀 ... ...
[표지로 읽는 과학]화학 연구를 돕는 양자컴퓨팅
동아사이언스
l
2020.08.29
사이언스 제공. 구글은 지난해 고성능 양자 논리 게이트로 구성된 새로운 양자 큐비트 프로세서 ‘시카모어’를 공개했다. 시카모어를 통해 양자 컴퓨터가 가장 강력한 기존 슈퍼 컴퓨터보다 성능이 더 뛰어날 수 있다는 ‘양자우위’를 처음으로 입증하기도 했다. 이번주 사이언스는 다양한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공공지식은 누구의 소유인가
2020.08.27
미국립생의학연구소(NBRF)에 재직할 당시의 마가렛 데이호프(왼쪽에서 두번째) 의 모습. 그는 이 곳에서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의 데이터베이스를 20년동안 구축했다. 익스페리멘터스 뮤지엄 “가장 중요한 것은 어떤 제한도 두지 않고 이 데이터를 전 세계 사람들이 사용하도록 했다는 것입니다. ... ...
[IBS 과학리포트] 강력했던 2020년 장마는 과연 지구온난화가 주요 원인일까
2020.08.26
연합뉴스 제공 동아시아 여름 몬순의 일부인 한반도 장마는 올해 강력했고 1973년 이래 가장 길었다. 기록적인 폭우는 전국적인 산사태, 홍수, 인명 피해로 이어져 큰 피해를 낳았다. 이번 장마가 이례적으로 강했던 것이 지구온난화 때문일까? 간단하게 답하자면 ‘아니다.’ 지난 100년 동안 지 ... ...
0.001mm 공간에 빛 가두는 이론 나왔다...나노레이저 등 응용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0.08.19
왼쪽은 빛이 박막도파로 광결정에 갇혀 있는 모습이다. 오른쪽은 박막도파로 광결정위로 방출되는 모습이다. GIST 제공 미세한 공간에 빛을 가둘 수 있는 이론적 원리가 규명됐다. 새로운 광소재 개발에 응용해 나노 레이저의 효율을 높이거나 보안성 높은 미래 통신 기술인 양자암호통신 개발에 활 ... ...
붉은 벽돌에 전구 달았더니 빛이 '번쩍'
동아사이언스
l
2020.08.14
줄리오 다르시 미국 워싱턴대 화학과 교수 연구팀이 개발한 벽돌 전지다. 벽돌 하나를 LED 전구에 연결하면 10분간 빛을 낸다. 워싱턴대 제공 스마트폰이 고장 나거나 배터리가 충전이 안될 때 ‘벽돌’이 됐다는 표현을 하곤 한다. 5000년 전부터 건축자재로 쓰여오며 지금도 가장 값싼 자재로 사랑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유전자은행과 수집가의 전통
2020.08.13
GET 컨퍼런스에서 한 연사가 1953년 DNA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직후 모형을 설명하는 프랜시스 크릭(오른쪽 위)과 이를 올려다보는 제임스 왓슨(왼쪽 위)의 모습이 담긴 유명한 사진을 스크린에 비추자 올 해 82세인 왓슨(왼쪽 아래)이 사진속의 크릭을 물끄러미 바라보고 있다. 크릭은 88세인 2004년 사망 ... ...
이전
49
50
51
52
53
54
55
56
5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