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호
암호
사인
서명
시그널
몸짓
부호
d라이브러리
"
신호
"(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韓 토종 박사의 美 퀄컴 입사기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반도체 회로가 연구 대상이었다. 이 회로는 5G 통신의 품질과 속도를 좌우하는 아날로그
신호
인 반송주파수(carrier frequency)를 생성한다. 반도체 회로 설계 분야는 산업과 아주 밀접하게 연결돼 있다. 다른 분야와 달리 실험하고 논문을 쓰는 데 그치지 않고, 대학 연구실에서 개발한 기술이 바로 ... ...
로봇에게 희로애락이란 프로그래밍에 의한 반응일 뿐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한번 해봅시다. 다음과 같은 알고리즘을 만들어 보겠습니다.❶현관문이 열렸다는
신호
가 입력된다. ❷현관으로 접근한다. ❸사람이 들어오면 사람 전방 1m까지 접근한 뒤 멈춘다. ❹사람 얼굴의 위치를 파악한다. ❺로봇의 눈이 사람의 눈의 시선과 일치할 수 있도록 로봇의 머리를 움직여 조정한다. ... ...
한국우주전파관측망(KVN) 구축 10주년 4개의 눈으로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19년 10호
인연이라고 해야 할까, 반전이라고 해야 할까. 처음 KVN을 건설할 당시 전파를 디지털
신호
로 바꿔주는 수신기를 만들 수 있는 엔지니어는 2명뿐이었다. 2명 모두 전파망원경용 수신기를 개발한 경험이 없었을 뿐더러, 값비싼 수신기를 해외에서 사 올 수도 없는 상황이었다. 결국 우리가 만들어내야만 ... ...
통증은 고통스럽기만 한 걸까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정의한다.통증은 우리 몸이 날리는 일종의 경고장이다. 피부에 상처가 났을 때 아프다는
신호
를 보내거나, 뜨거운 프라이팬에 손이 닿는 순간 뜨거움과 아픔을 느끼게 만들어 바로 손을 떼게 만드는 회피반사도 통증에 해당한다. 위험으로부터 신체를 보호하기 위해서다. 통증은 손상 부위의 ... ...
[매스미디어] 의사 요한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나타나는 패턴을 발견했다. 연구팀은 통증 정도에 따라 환자의 신경세포에서 나타나는
신호
를 측정했다. 그 결과 낮에 약하고 한밤중에 세지는 통증의 숨겨진 리듬을 찾아냈다. 이를 이용해 수학 모형을 만들어 통증의 강도와 빈도를 예측했다. 통증을 미리 예측하면 대처하는 것도 쉬워진다. ... ...
음성인식으로 말귀 알아듣고 전자 코로 냄새 맡는다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요즘 바이오나노 분야가 발전하면서 탄소나노튜브, 그래핀 등을 이용해 화학 반응을 전기
신호
로 바꾸는 다양한 방법들이 개발되고 있습니다. 이제 로보트 재권V는 소리도 듣고 냄새도 맡으며 더욱 똑똑한 로봇으로 변신하고 있습니다. 조금만 더 개발하면 우리 곁에서 우리와 함께 지낼 수 있는 ... ...
[수학뉴스] 수학으로 지진 전조현상 식별한다
수학동아
l
2019년 09호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고, 그 원리를 파악하는 연구에 돌입했습니다. 연구팀은 음향
신호
를 이용하면 지진 발생을 몇 시간 혹은 며칠 전에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이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피지컬리뷰레터스’ 7월 29일자에 실렸습니다. ... ...
[통합과학교과서] 토끼의 고민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9호
‘멜라토닌을 만들지 말라’는 신경
신호
가 약해져요. 그러면 솔방울샘은 방해하는
신호
가 없으니 계속해서 멜라토닌을 만들어내지요. 이런 원리로 멜라토닌은 우리가 잠을 자는 시간인 자정부터 아침 8시 사이에 가장 많답니다. 그리고 해가 뜬 뒤부터 다시 줄어들지요. 한편, 멜라토닌은 계절에 ... ...
[과학뉴스] 외계 전파 위치, ‘원샷 원킬’로 확인
과학동아
l
2019년 09호
위치 확인에 성공한 건 2012년 포착된 ‘FRB 121102’에 이어 두 번째다. 특히 단 한 차례
신호
만으로 위치 확인에 성공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8월 9일자 표지논문으로 게재됐다.doi: 10.1126/science.aaw590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19년 08호
모양이지요. 전파가 오목한 접시 모양에 부딪혀 반사돼 중간으로 모이기 때문에 희미한
신호
의 전파도 잘 받는 답니다. 생분해(Biodegradation)1909년 미국인 발명가 베이클랜드가 합성 플라스틱을 만든 이후 플라스틱은 우리 일상 곳곳에서 사용되고 있어요. 가볍고 튼튼해 필수 제품으로 자리 ... ...
이전
46
47
48
49
50
51
52
53
5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