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DGIST 뉴바이올로지전공]‘정크 단백질’을 분해하라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작은 세포 안에는 유전자가 2만여 개 있다. 그리고 여기서 생성된 구조체, 효소, 수용체, 신호전달물질, 전사인자 등 생명체 유지에 필수적인 단백질은 100억 개에 이른다. 유전자 2만여 개가 한 치의 오차도 없이 정확하게 작동하면 좋겠지만, 간혹 염기서열의 전사 과정에서 오류가 생겨 비정상적인 ... ...
- [과학뉴스] 뇌에서 ‘메트로놈 신경세포’ 발견과학동아 l2019년 08호
- 어떻게 활성화되는지 기록하고, 이후 뉴런의 신호를 하나씩 분석했다. 그 결과 뉴런 신호의 약 3분의 1이 일정한 리듬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논문의 제1저자인 신혜영 브라운대 신경과학과 박사과정 연구원은 “이번 연구는 감마파가 뉴런의 리듬을 조율하는 메트로놈 역할을 한다는 가설에 ... ...
- [통합과학 교과서]사오정과 콘서트를!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8호
- 마이크에 입력된 소리를 전기 신호로 바꿔 내부 장치로 전송한답니다. 그러면 이 신호가 달팽이관까지 이어진 전극을 따라 달팽이관 속 청각신경으로 전달돼 마침내 소리를 들을 수 있지요. 최근 과학자들은 크기와 전력 소모를 줄여 몸속에 이식할 수 있는 인공와우를 개발 중이랍니다. 무선 ... ...
- [과학뉴스] 원자 1개까지 들여다보는 MRI과학동아 l2019년 08호
- MRI) 기술을 개발했다. MRI는 고주파 자기장을 이용해 수소 원자핵을 공명시킨 뒤 그 신호를 영상화하는 기술로 주로 병원에서 진단 검사에 사용한다. 기초과학연구원(IBS) 양자나노과학연구단은 주사터널링현미경(STM)에 스핀을 띤 원자들을 붙여 시료 원자와 상호작용을 일으키는 방식으로, 원자의 ... ...
- 신비┃우주에 우리만 있을까과학동아 l2019년 07호
- 외계생명체는 존재할까. 이 질문에 대부분의 천문학자들은 아마도 ‘그렇다’고 대답할 것이다. 우주는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훨씬 더 광활하기 ... 분명하다. 지금까지 외계생명체의 존재를 발견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외계생명체의 신호가 없을 것이라고 섣불리 판단할 수 없는 이유다 ... ...
- 피플┃우주 산업은 왜 인공위성에 주목 하는가과학동아 l2019년 07호
- 군집으로 묶어 상호 보완이 가능하도록 만들었다. 이를 통해 지상의 안테나가 위성 신호를 받을 수 있는 채널의 숫자가 대폭 늘어났고, 이는 안정적인 영상 제공으로 이어졌다. 스포츠 중계에 사용되는 디지털 방송, HDTV, 3DTV 영상 기술이 발전한 것도 SES의 공이 크다. 위성에서 보낸 전파를 가정의 ... ...
- 피플┃아마존은 왜 위성 데이터 비즈니스에 뛰어 들었나과학동아 l2019년 07호
- 통신을 제공하는 시설로 안테나를 사용해 데이터를 수신한다. 제어 시스템으로 무선 신호를 인공위성에 보내며, 이를 통해 인공위성에 명령을 내리고 인공위성을 제어한다. 지상국 서비스는 자체적으로 지상국과 안테나를 구축하거나 임대하는 형식으로 제공되고 있다. AWS 그라운드 스테이션은 ... ...
- 오퍼튜니티가 미래의 로버에게 전하는 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해 주고 싶어요.금속 바퀴는 이제 최선이 아냐작년 큐리오시티의 바퀴가 마모됐다는 신호가 전해졌어요. 큐리오시티는 오퍼튜니티처럼 금속 바퀴 6개로 활동하는데, 바퀴에서 울퉁불퉁하게 튀어나온 부분인 그라우저가 깎여나간 거예요. 특히 왼쪽 가운데 바퀴는 마모가 심각해 유효 수명의 약 60%에 ... ...
- 오퍼튜니티, 성과는?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06호
- 찍으라고 명령했지요. Q 오퍼튜니티의 마지막 순간 그곳의 분위기는?사실 2월 마지막 신호를 받았을 때 우린 모두 오퍼튜니티가 다시 깨어나지 않는다는 걸 예감하고 있었지요. 그럼에도 임무종료가 선언되자마자, 현장에 있던 과학자들끼리 껴안고 울었어요. 20년 동안 오퍼튜니티와 함께했던 분은 ... ...
- [언니오빠 논문연구소] 탄력적인 그대 이름은 스트레처블과학동아 l2019년 06호
- doi:10.1038/s41467-018-04906-1 아주 작은 정전식 센서들을 나열해 지문과 접촉하는 부분의 신호를 읽어내는 원리입니다. 이렇게 개발한 지문 센서는 접히거나 늘어나는 전자기기 전반에 두루 쓰일 수 있습니다. 지문, 압력, 체온을 동시에 감지하는 만큼 기존에 지문만 인식하던 지문 센서에 비해 보안성도 ... ...
이전47484950515253545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