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빛으로 뇌를 조종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채널로돕신 단백질이 만들어져 그곳에 빛을 쏘면 채널로돕신 단백질이 빛과 반응해 전기 신호를 일으켰지요.연구팀이 조작한 건 노래를 듣고 학습하는 뇌 신경 회로예요. 노래를 학습하는 뇌 영역(HVC)과 이와 연결된 입력 신경(NIf)에 채널로돕신을 넣고 빛을 쏘았지요. 그 결과, 연구팀은 아기 ... ...
- [노벨물리학상] 우주의 진화와 구조를 밝혀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1호
- 1964년 미국 벨 연구소에 있던 펜지어스와 윌슨은 홈름델 혼 안테나를 이용해 인공위성과 신호를 주고받으려고 했어요. 그런데 아무리 안테나를 청소하고 주변을 통제해도 강도 4.2K의 전파가 계속 잡혔어요. 이들은 잡음의 정체를 알아내기 위해 과학자들에게 도움을 구했어요. 잡음의 정체는 ... ...
- [섭섭박사와 만들라보] 아껴야 산다! '칭찬 저금통' 만들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9호
- 있는 스포이트 노드는 빛을 인식하고 효과음과 반짝이는 글씨를 내보내도록 출력 노드에 신호를 보내지요. 그렇게 해서 소리와 글자의 반짝임 효과를 동시에 낼 수 있답니다 ... ...
- [쇼킹사이언스] UFO의 침공?! 로켓이 만든 인공 구름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6호
- 일어나는 오로라 현상은 태양 활동이 활발할 때 발생하고, 무선전파 통신과 GPS 신호 등에도 장애를 줘요.NASA 연구팀은 “이번 프로젝트는 오로라가 지구에 주는 영향 등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열쇠가 될 것”이라고 연구의 의미를 설명했답니다. 용어정리 *플라스마 : 초고온으로 가열된 기체가 ... ...
- [출동!반려동물] 동물 행동 훈련으로 반려견의 마음을 살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4호
- 했어요. “동건 친구와 있을 때 즐겁고 안정감을 느끼는 거예요. 보호자를 좋아한다는 신호이니 다행이지만, 아직 무는 힘 조절이 안 되기 때문에 흥분하면 동건 친구가 다칠 수 있어요. 따라서 손을 물려고 하면 바로 놀이를 중단하고, 장난감도 끝 부분만 물도록 훈련시켜야 해요.” ... ...
- [과학뉴스] 130억 년 전, 합쳐지는 두 은하 포착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은하가 하나로 합쳐지고 있다고 판단했어요. 은하의 산소, 탄소, 먼지에서 방출된 전파 신호를 분석한 결과였지요. 또 이 지역에서는 우리 은하보다 100배 더 많은 별을 만들어내고 있었어요. 연구팀은 두 은하가 충돌하는 과정에서 가스 압축이 일어나며 자연적으로 많은 별이 만들어지기 ... ...
- [핫이슈] 24시간 생물다양성 탐사대작전, 바이오블리츠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13호
- 뜬 시간이 점점 줄어들기 시작했어요. 24시간 동안 이어지는 생물종 탐사를 알리는 신호였지요. 바이오블리츠는 ‘생명’을 뜻하는 ‘Bio’와 ‘대대적인 공격’이라는 뜻의 ‘Blitz’라는 두 단어로 이루어진 합성어예요. 시민들이 24시간 동안 생태 전문가들과 함께 특정 지역에 사는 모든 생물종을 ... ...
- 2019 과학기술 10대 뉴스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주입하자 뇌세포가 더 이상 파괴되지 않았고, 심지어 일부 뇌세포에서는 6시간 동안 활성 신호가 포착됐습니다. 비록 고차원적인 뇌 고유의 기능을 재생시키지는 못했지만, 한번 망가지면 재생할 수 없다고 알려진 신경세포를 살려냈다는 점에서 과학계의 큰 관심을 끌었습니다. 이 연구를 ... ...
- 이건 영화가 아니라 현실... 스마트시티가 해킹 된다면과학동아 l2019년 12호
- 차단하는 장치를 손목에 착용하는 것이 한 가지 방법”이라고 말했다. 센 교수는 이런 신호 차단 장치를 만들어 올해 3월 11일 국제학술지 ‘사이언티픽 리포트’에 발표했다. doi: 10.1038/s41598-018-38303-x 드론┃특정 주파수로 정보 교란 통신 기술만 해킹의 대상이 되는 것은 아니다. 김 교수는 ... ...
- [수학뉴스] 세포 사이의 대화 수학으로 엿듣는다수학동아 l2019년 12호
- 주기적으로 물질을 방출하는 ‘동기화 현상’을 보였습니다. 이런 동기화는 전달받은 신호를 증폭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일어난다는 것도 발견했습니다. 연구팀은 세포 사이의 복잡한 의사소통을 단순화시킨 수학모형을 만들었습니다. 세포를 원 위에서 움직이는 두 점으로 나타내자, 두 점이 점점 ... ...
이전43444546474849505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