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신호"(으)로 총 3,108건 검색되었습니다.
- 질문하면 답해줌!어린이과학동아 l2020년 01호
- 대신 붙어 아데노신의 작용을 방해하지요. 즉 카페인이 아데노신으로 하여금 졸음 신호를 전달하지 못하게 방해하면서 잠이 안 오게 되는 거랍니다.하지만 이 글을 읽는 어린이 독자 여러분은 커피를 많이 마시지 않길 바라요! 청소년기의 쥐에게 카페인을 투여하자 수면이 교란되면서, 뇌 발달과 ... ...
- 가짜뉴스와의 전쟁과학동아 l2020년 01호
- 움직임을 이미지로 생성해내는 기술을 2020년 공개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이미 음성신호 자연어 처리 AI를 이용해 배우 유인나의 목소리로 책을 읽어주는 서비스를 시연하기도 했다. 미국 테슬라의 최고경영자(CEO)인 일론 머스크가 설립한 비영리 AI 연구소인 ‘오픈AI(OpenAI)’는 2019년 변수 15억 개를 ... ...
- “저는 전 세계에 친구를 둔 과학자입니다" 2019 노벨 생리의학상 수상자그레그 서멘자 인터뷰과학동아 l2020년 01호
- 국제콘퍼런스홀.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부 교수가 주최한 ‘2019 SNU 생명과학 신호전달 및 염색질 심포지엄’에 귀한 친구가 찾아왔다. 2019년 노벨 생리의학상을 수상한 그레그 서멘자 미국 존스홉킨스대 의대 교수였다. 2008년 인연을 맺은 두 과학자는 10년 넘게 서로의 연구에 도움을 주고받은 동료 ... ...
- 태양계의 끝을 넘다! 보이저 2호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아아, 휴스턴, 휴스턴, 혹시 제 신호가 잡히나요? 여긴 보이저 2호예요. 쌍둥이 보이저 1호와 함께 지구를 떠난 지도 어느덧 42년이 지났네요. 그동안 태양계를 여행하면서 많은 행성과 위성을 만났지요. 그리고 작년 11월, 마침내 태양계의 끝을 넘어섰어요! 지금까지 제가 발견한 태양계 이야기가 ... ...
- [가상인터뷰] 대왕고래는 심박수를 마음대로 조절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건 이번 연구가 처음이었거든. 야생 고래는 돌고래처럼 배를 뒤집지 않아 심장의 전기 신호를 읽는 심전도 장치를 심장 가까이 붙이기 어려워. 게다가 우리는 먹이를 먹으면서 배 부분이 아코디언처럼 늘어났다 줄어들기를 반복하기 때문에 장치가 쉽게 떨어지지. 이번 연구 결과를 접한 ... ...
- [통합과학교과서] 늑대의 반성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4호
- 특정 호르몬을 받아들일 수 있는 수용체를 갖춘 세포를 만나면 그곳으로 들어가 신호를 전달하지요. 호르몬은 우리의 기분과 같은 정신 활동은 물론, 우리의 신체 활동도 좌지우지해요. 사람이 잠을 잘 때, 소화를 할 때, 또 호흡하고 감각을 느낄 때 등 거의 모든 행동에 영향을 주지요. 예를 들어 ... ...
- [섭섭박사와만들라보~!] 크리스마스에는 카드를~라보로 비밀 카드를 만들자!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3호
- 인식한 IR 카메라는 조이콘의 버튼을 눌러야 신호를 출력 노드로 전달하죠. 이제 신호를 전달받은 출력 노드에서 캐롤이 나오도록 코딩할 차례예요. 이때는 출력 노드의 ‘소리가 난다’ 기능을 사용하면 돼죠. 원하는 캐롤의 계이름 순서대로 출력 노드를 만든 다음, ‘타이머’ 노드를 써서 ... ...
- 뇌파로 마음을 읽는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생각과 행동, 감정을 처리하는 핵심 장기예요. 우리가 잠자는 동안에도 쉬지 않고 전기 신호를 주고받으며 활동하지요. 이때 일어나는 전류를 기록한 것을 ‘뇌파*’라고 해요. 뇌파는 우리의 생각과 감정에 따라 패턴이 달라지기 때문에, 과학자들은 이를 파악해 뇌 기능을 알아내고 있어요.지난해 ... ...
- 뇌, 이젠 직접 만든다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그 결과, 뇌 오가노이드에서 전기 신호가 포착됐지요. 인공지능을 통해 분석하자 전기 신호의 패턴이 약 6~9개월 만에 태어난 미숙아의 뇌파와 비슷하다는 사실을 알 수 있었지요. 과학자들은 뇌 오가노이드가 아직 생각을 할 수 있는 수준은 아니라고 보고 있어요. _INTERVIEW 황동연(차의과학대학교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9년 22호
- 850억 개가 있을 것으로 추정돼요. 신경세포에 영양 물질을 공급하기도 하고, 신경세포가 신호를 잘 전달할 수 있도록 주위로부터 전기 활동을 차단하는 절연체 역할을 하기도 하지요. 또, 신경세포가 손상됐을 때 이를 회복시키거나 오염 물질을 없애는 청소부 역할도 한답니다. ... ...
이전42434445464748495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