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Rome
roma
롬
d라이브러리
"
로마
"(으)로 총 553건 검색되었습니다.
냄새로 대화하는 여우원숭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
여우와 닮아서 사람들은 저를 ‘여우원숭이’라고 불러요. 영어이름은 ‘레무’인데,
로마
신화의 나쁜 귀신 ‘레무르’에서 이름을 따왔어요. 야행성이라 밤에 돌아다녔더니 저를 귀신이라고 부르기 시작했지 뭐예요. 하지만 저는 여우와는 완전히 달라요. 오히려 원숭이에 가깝지요.한국 ... ...
엄마도 깜짝 놀란 채소의 변신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6
주변을 맴도는데…. 너 왜 자꾸 귀찮게 따라다니는 거야?
로마
네스코와 양배추는 친척!“
로마
네스코! 나 기억 안 나? 우리 친척이잖아!”엥? 이건 무슨 소리? 이렇게 둥그스름하고 심심하게 생긴 양배추가 내 친척이라니? 말도 안 된다고 말하려는 찰나! 여기저기서 내 친척이라는 채소들이 튀어나오기 ... ...
아이돌 매니저의 스타 만들기
수학동아
l
201506
있을지 고민이에요. 어떻게 해야 우리 애들을 대한민국 최고의 스타로 만들 수 있을까요?
로마
의 철학자 보에티우스가 6세기 초에 쓴 책 에 따르면, 기원전 500년경 피타고라스학파는 진동수의 비를 정수로 나타낼 수 있는 소리가 서로 어울린다는 것을 알아냈다. 피타고라스는 진동수의 ... ...
화산재에 숨어 있던 도시 폼페이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
‘모든 길은
로마
로 통한다’는 말처럼 고대
로마
는 번성한 문명의 중심지였어요. 그런
로마
사람들이 휴가지로 선택한 곳은 얼마나 멋진 곳일까요? 화산 ...
로마
사람이 때를 밀었던 도구도 있답니다.현대와 비교해도 손색없을 정도로 발달했던
로마
문화를 이번 전시에서 만나 보세요~ ... ...
[Photo] 클레오파트라가 사랑한 보석
과학동아
l
201504
사랑을 받았다. 특히 고대 이집트의 클레오파트라가 가장 사랑한 보석으로 유명하며,
로마
의 폭군 네로는 왕비 포파이아와 함께 에메랄드 안경을 눈에 대고 악명 높은 검투사 경기를 즐겼다고 한다 ... ...
[과학뉴스] 두 얼굴을 가진 고대 물고기
과학동아
l
201502
뇌 주변 신경과 혈관은 연골어류와 비슷했던 것이다. 연구팀은 두 얼굴을 가진 고대
로마
신 야누스의 이름을 따 물고기의 학명을 ‘야누시스쿠스 스컬자이(Janusiscus schultzei)’라고 붙였다. 자일스 교수는 “두 그룹의 물고기들은 공통조상에서 갈라진 후 각각 다른 형질로 진화했다”며 ... ...
그들이 말했다, "빛이 있으라!"
수학동아
l
201501
향해 반사시키는 원리를 이용한 것이다.혹시 이 이야기를 들어본 적 있나요? 2세기
로마
의 작가인 루키아노스는 그리스 문학을 대표하는 사람이었는데, 그의 기록에 나오는 이야깁니다. 꽤 마음에 드는군요. 사람들은 이 사건에 대해서 ‘꾸며낸 이야기다’라며 수군거립니다. 사실 이 사건은 ... ...
[과학뉴스] 미라 100만 구 묻힌 거대 묘지 발견
과학동아
l
201501
상태로 발견됐다. 그중에는 18개월 된 여아와 키가 213cm나 되는 남성도 있었다. 시신들은
로마
와 비잔틴제국이 점령했던 1~7세기에 묻혔을 것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해당 시기에는 묘지 근처에 시신을 수용할 만한 큰 도시가 없어 100만 구가 넘는 시신이 어디서 왔는지는 수수께끼로 남아있다 ... ...
[생활] 상식을 뒤집어 생각을 전환하라! 무한의 발견 ∞
수학동아
l
201412
00을 나타내는 옛
로마
숫자 CI 또는 C 에서 유래했을 것으로 추측하고 있다. 이는 1000이 옛
로마
뿐만 아니라 당시 영국에서도 무한대를 의미할 만큼 매우 큰 수였기 때문이다. CI 나 C 의 모양도 ∞와 매우 비슷하다. 한편, ∞가 그리스의 알파벳 가장 마지막 글자인 오메가 ‘ω’에서 유래했다는 설도 ... ...
[knowledge] 출발! 오로라 여행
과학동아
l
201412
대기 입자의 화려한 충돌사람을 이렇게 애타게 만드는 오로라는 정체가 무엇일까.
로마
신화에서는 태양이 솟도록 새벽의 여신이 하늘의 문을 여는 과정이라고 하며, 아리스토텔레스는 하늘에 생긴 틈에 빛을 내는 공기가 빠져나오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오로라를 자주 목격한 알래스카의 에스키모 ... ...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