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로마"(으)로 총 553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Fun] 광물이야기14_이란에서 온 눈송이과학동아 l201604
- 또 로마 시대는 와인의 산패를 막기 위해 산화납을 이용했는데, 와인을 즐겨 마셨던 로마의 네로 황제가 바로 납 중독 때문에 신경계가 망가져서 폭군으로 변했다는 주장도 있다.납은 전자제품의 회로기판과 자동차 휘발유 첨가물 등 다양한 분야에 쓰였지만 지금은 다 퇴출됐다. 백연석도 하얀 ... ...
- [재미] 파이송 작곡 도전기수학동아 l201603
- 하는 생각이 스쳐 지나갔다.이게 무슨 말일까? 음악에서는 각 키(key)에서 쓰이는 음에 로마 숫자를 붙여서 나타낸다. 예를 들어 ‘도, 레, 미, 파, 솔, 라, 시’의 7개 음으로 구성돼 있는 다장조(C 키)에서는 도를 Ⅰ도, 레를 Ⅱ도, …, 시를 Ⅶ도라고 표현한다. 이때 각 음을 기본으로 하는 코드를 Ⅰ도 ... ...
- [지식] #數수스타그램수학동아 l201603
- 이건 수학으로도 해결이 되지 않을 것만 같았거든요.며칠 전 조혜인 기자가 이탈리아 로마로 여행을 간다고 자랑하더니, 기어코 콜로세움 앞에서 찍은 사진을 올린 것이 아니겠어요(61페이지)! 저는 이에 질세라 미국 나이아가라 폭포에서 찍은 사진을 올리기로 했습니다. 그러나 사진첩을아무리 ... ...
- 평생 달력 하나로 살 수 있을까?수학동아 l201512
- 종교적인 이유에 따라 바뀌었다. 지금 세계 표준으로 쓰고 있는 그레고리력은 1582년 로마에서 제정됐다. 3300년에 하루 정도 오차가 생기는 그레고리력은 128년에 하루만큼 오차가 생겼던 이전 달력보다 훨씬 정확했다.하지만 그레고리력에도 단점이 있다. 날짜와 요일이 매번 바뀌고, 달마다 일수가 ... ...
- 지구의 자전을 밝힌 무리수수학동아 l201512
- 판테온은 신고전주의 초기에 만들어진 건축으로 반구형 천장인 돔이 있고, 건물 정면은 로마에 있는 판테온과 같은 모습을 하고 있다. 처음에는 성 주네비에브에게 봉헌된 교회였는데, 현재는 예배 장소이자 위인들의 묘지 역할을 하고 있다.1851년 어느 날 판테온 내부 돔에 줄이 걸렸다. 프랑스의 ...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과학동아 l201510
- 건축의 유행을 선도하는 세련된 도시지만, 가우디가 활동했던 100여 년 전만 해도 그리스, 로마 건축의 규범을 기반으로 하는 신고전주의 전통을 따르고 있었다. 이런 풍조는 학창시절 가우디의 작품에도 반영돼 있다.1900년 경 가우디와 동료 건축가들이 건설한 에이샴플라.도시 전체를 주거 블록으로 ... ...
- 한글을 그리다수학동아 l201510
- 처음에는 기본 폰트의 굵기를 두껍게, 또는 얇게 만들어 차이를 뒀다. 이후에 한글은 로마자와 다르게 블록을 쌓듯이 만든 글자라서 정사각형틀에 맞추면 오히려 왜곡이 일어난다는 의견이 나왔다. 그래서 세로로 긴 직사각형틀에 맞춰진 폰트가 나왔고, 그중 하나가 맑은 고딕이다.완전히 다른 ... ...
- [Life & Tech] 2015 이스라엘 세계과학컨퍼런스 탐방기 “과학은 가장 좋은 대화법”과학동아 l201510
- 간직하고 있는 역사 도시다. ‘준비된 평화’라는 뜻의 이름과 달리 알렉산더제국, 로마제국, 오스만제국 등 주인이 수없이 바뀌며 지금까지 분쟁의 역사 한가운데 놓여 있다. 또한 기독교, 유대교, 이슬람교 3대 종교의 성지이기도 하다. 옛 시가지를 둘러싼 예루살렘의 성벽과 예수가 십자가에 못 ... ...
- 가우디 그의 생각을 엿보다수학동아 l201509
- 모른다.덕분에 가우디는 공간의 마술사로 성장했다. 가우디 건축의 특징은 로마 고전 양식과 고딕 요소를 합한 아르누보 양식을 통해 특별한 공간을 만드는 데 있다. 공간의 활용도도 높을 뿐 아니라, 자연스러운 채광으로 멋을 낸 공간의 예술을 만나 보자.혁신의 아이콘, 천상 예술가 ... ...
- [Knowledge] 예수는 어떤 와인을 마셨을까과학동아 l201509
- 오래 두고 익혀먹는다는 개념도 없었다. 와인을 보존할 수 있는 기술이 없었기 때문이다. 로마시대 기술로는 가을에 담근 와인은 그해 겨울도 넘기기 힘들었다. 와인을 숙성시키기 위해서는 포도를 발효시킬 때 사용한 효모를 제거해줘야 하는데 이런 기술은 파스퇴르가 등장한 19세기에 나타났다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