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음식
조리
안주
밥반찬
반찬
요리사
조리사
d라이브러리
"
요리
"(으)로 총 73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순간의 대변신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만들 수 있다. 이 모든 과정은 단 3분 만에 이뤄진다.면의 굵기가 얼마나 고르냐는 자장면
요리
사의 실력에 달려 있다. 하지만 굵기가 고르지 못한 면이 나와도 큰 문제는 아니다. 최근 손으로 면을 뽑아 낸다고 하면서도 기계로 만든 면을 쓰는 곳이 있기 때문에 굵기가 다른 면이 섞여 있으면 손으로 ... ...
한겨울 추위 이기게 하는 입 큰 생선 대구
과학동아
l
2010년 02호
‘음식디미방’에는 대구 껍질누르미, 대구 껍질채, 대구 껍질강회 등 다양한 대구 껍질
요리
가 소개돼 있다. 마지막으로 한 가지 더! 대구탕을 먹다 보면 하얗고 꼬불꼬불하게 꼬여 있는 부위가 들어 있는 경우가 있다. 사람들은 ‘곤이’라고 부르는 이것에 대해 영양가가 높다느니 안 들어가면 ... ...
3. 차이가 만드는
요리
수학동아
l
2010년 02호
음식의 모양과 맛을 결정하는 데 수학이 널리 쓰이고 있답니다. 눈과 혀를 즐겁게 하는
요리
속 수학. 오늘 당장 부엌에 숨어 있는 수학을 찾아보세요.짜게 먹는 우리나라우리나라 사람은 1.0~1.2%의 소금 농도인 음식을 맛있다고 느낀다. 문제는 우리나라의 하루 소금섭취량은 세계보건기구(WHO)가 ... ...
광결정으로 전자종이와 잠자리 눈 센서 만든다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연구단을 이끌고 있는 KAIST 생명화학공학과 양승만 교수는 빛을 마음대로
요리
하고 담아둘 수 있는 ‘특별한 그릇’을 만들고 있다. 이 그릇의 이름은 광결정(photonic crystal).양 교수의 설명에 따르면 광결정은 특정 파장의 빛을 100% 반사할 수 있다. 반대로 내부에 공간을 만들면 빛이 밖으로 새나가지 ... ...
제3의 불 밝히는 프로메테우스의 후예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않은 길입니다. 그 안에서 핵재료의 필요성이 대두됐죠.”음식재료가 있어야 어떤
요리
를 할지 구상할 수 있듯이, 원자력 분야에서도 재료는 무척 중요하다. 아직은 고열과 다량의 방사선을 견디는 현실적인 재료의 개발이 이뤄지지 않은 상태. 환경과 안전에 민감한 핵물질인만큼 재료가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시나리오 농도인 1260ppm의 두 배가 넘는 수치다. 만약 온실가스 농도가 이렇게 높아지면
요리
의 재료인 동물은 물론, 먹을 사람까지 멸종한 뒤일 가능성이 높다.제주도가 아름다운 산호 섬으로?2008년, 우리나라 국립해양조사원은 지금처럼 온실가스를 계속 방출할 경우 2100년에는 한반도 전체의 ... ...
찰칵 사진으로 떠나는 생태여행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잠자리를 물고 있는 흰눈썹황금새 수컷을 발견했어요. 마치 잡은 잠자리를 어떻게
요리
할지 생각하고 있는 것처럼 보여요. 한국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는 흰눈썹황금새는 한국에서 여름을 보내고 따뜻한 중국 남부와 동남아시아에서 겨울을 지낸답니다.❶ 우포 가시연꽃 (김선희, 식물 부문 우수상 ... ...
아귀 땀 뻘뻘 흘리며 먹는 한겨울 제맛 아귀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파를 넣고 또 고추장을 듬뿍 넣어 맵게 조리했더니 의외로 맛이 있었다고 한다. 또 이
요리
가 어부나 인부에게 인기가 좋아 팔기 시작한 것이 오늘날의 아귀찜이라는 얘기다. 마산, 그중에서도 오래된 술집이 즐비한 오동동 네거리 일대는 지금까지도 아귀찜의 중심지로 남아 있다. 이태원 교사는 ... ...
떠다니는 과학 실험실 아라온 호, 남극 간다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찾아간다아라온 호 1층 안쪽 끝까지 들어가자 식당과 주방이 있었다. 항해 내내 전직 호텔
요리
사들이 함께하며 승무원과 연구원의 식단을 책임진다. 주방은 배의 안전을 고려해 가스 대신 전기를 사용하는 핫플레이트 같은 조리기구를 갖췄고 해양 오염을 막기 위한 처리시설도 있었다.아라온 호 ... ...
알싸한 겨울철 별미 홍어
과학동아
l
2009년 12호
하게 된다. 이처럼 독특한 홍어맛의 비밀은 물고기 자체의 성질과 삭혀서 먹는 특별한
요리
법에 있다. 홍어의 몸에는 사람의 오줌 속에 들어 있는 성분인 요소가 다량으로 함유돼 있다. 요소는 단백질을 분해할 때 생기는 최종산물이다. 바닷속 생물들은 늘 수분 손실의 위험에 직면하며 살아간다. ... ...
이전
42
43
44
45
46
47
48
49
50
다음
공지사항